'너무 빨리 오른' 금값, 온스당 4000달러 붕괴…"거품 걷히는 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7주 만에 27% 급등 뒤 급락…업계 "3,500달러까지 조정 가능성" 경고 전문가들 '투기성 자금 정리 과정' 평가…내년엔 5000달러 전망도 [서울=뉴시스] 27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7주간 27% 급등해 지난 20일 온스당 438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은 뒤, 불과 일주일 만에 9% 이상 급락해 이날 장중 한때 온스당 3980달러까지 떨어졌다. 사진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한 금은방 앞에서 시민이 상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5.10.28. [서울=뉴시스]박미선 기자 = 쉼 없는 랠리를 이어오던 금값이 일주일 만에 9% 넘게 하락하며 '거품이 빠지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7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7주간 27% 급등해 지난 20일 온스당 438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은 뒤, 불과 일주일 만에 9% 이상 급락해 이날 장중 한때 온스당 3980달러까지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
기사 본문
'금값 조정' 본격화…"3700달러까지 빠질 수도" 미·중 무역휴전 기대에 단기 조정 국면 진입 금리 인하·달러 약세 전망에 장기 상승세 견인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완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27일(현지시간) 국제 금값이 하락해 온스당 4000달러선을 내줬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3700달러까지 조정받을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장기적으로는 내년에 5000달러선 회복이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주얼리 지구 내 세인트빈센트 주얼리센터에 금괴가 전시돼 있다. AP연합뉴스 금빛 질주 멈췄다…일주일 새 9% 넘게 하락 로이터에 따르면 이날 금 현물 가격은 미 동부시간 기준 오후 12시25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2.9% 내린 온스당 3991.39달러에 거래됐다. 뉴욕상업거래소(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도 오전 11시께 전일 대비 3.7% 급락한 온스당 3985.9달러까지 밀렸다. 국제 금값은 이달 초 처음으로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한 ...
기사 본문
국민일보DB 급등 랠리를 이어가던 금값에 제동이 걸렸다. 일주일 만에 9% 넘는 하락을 보였다. 시장에서는 “거품이 빠지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7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7주간 27% 급등해 지난 20일 온스당 438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그러나 불과 일주일 만에 9% 이상 급락해 이날 장중 한때 온스당 3980달러까지 떨어졌다. 업계에서는 이번 금값 하락이 “지속 불가능한 랠리에 대한 건전한 조정”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향후 몇 주간은 더 깊은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존 리드 세계금협회(WGC) 시장전략가는 “현재보다 더 큰 폭의 조정이 오히려 환영받을 일”이라며 “지금의 가격 수준은 업계 누구도 지속 가능하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 글로벌 금 거래은행의 고위 임원은 “금값이 이렇게까지 오른다고 믿은 건 제정신이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금값이 급등한 이유는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각국의 높은...
기사 본문
“명확한 조정 국면...온스당 3500달러까지 내려갈 수도” 장기적 낙관론 우세...”세계적으로 거래량 늘어나” ◆…최고치를 경신하며 온스당 4300달러를 넘었던 금값이 한 주 만에 급락해 27일 40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사진=로이터> 최근 연이어 최고치를 경신하며 온스당 4300달러를 넘었던 금값이 한 주 만에 급락해 40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시장의 거품이 빠지며 과열된 랠리가 진정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2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날 거래에서 현물 금은 온스당 3980달러까지 하락했다. 이는 최근 7주간 27% 급등하며 지난 20일 기록한 최고치(4381달러) 이후 나타난 급락세로, 불과 일주일 만에 9%가 빠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하락세를 "지속 불가능했던 폭등세에 대한 건전한 조정"으로 평가하면서도, 금값이 더 떨어질 가능성에 대해 경고했다. 올해 금값 상승은 지정학적 불확실성, 정부 부채 급증, 달러 약세에 대비하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