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액 3.5배↑”…무신사 도쿄 팝업 스토어, 8만 명 몰리며 성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달 3~26일 24일간 누적 방문객 8만명 ‘무신사 도쿄 팝업 스토어 2025’ 방문객들이 스냅 아카이브 존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제공=무신사 [서울경제] 무신사가 80개 K브랜드를 앞세워 일본에서 개최한 ‘무신사 도쿄 팝업 스토어 2025’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8일 밝혔다. 무신사에 따르면 이달 3일부터 26일까지 도쿄 시부야에서 열린 팝업 스토어에는 총 8만 2천여 명이 방문했다. 평일에는 평균 3000여 명이, 주말에는 4000명 이상이 현장을 찾았고 13일에는 하루 방문객이 5000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오픈 전부터 시부야 스크램블 교차로 등 주요 거점에 광고를 진행한 결과 사전 방문 예약자는 1만 명을 돌파했다. 행사 기간 참여 브랜드 거래액은 전월 동기 대비 3.5배 이상 증가했다. O4O(Online for Offline) 전략을 강화해 온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점이 주효했다. 현장 결제가 불가능한 팝업 스토어에서 브랜드를 접한 고객이 QR코드를 스캔해 온...
기사 본문
무신사가 일본에서 개최한 '도쿄 팝업 스토어 2025'에 8만명 이상의 소비자들이 방문했다. /사진=무신사 무신사가 80개 K브랜드를 앞세워 일본에서 개최한 '무신사 도쿄 팝업 스토어 2025'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8만명이 넘는 소비자들이 다녀갔고 참여 브랜드들은 억대 거래액을 기록했다. 28일 무신사에 따르면 지난 3일부터 26일까지 24일간 도쿄 시부야에서 열린 무신사 팝업 스토어에는 총 8만2000여명이 방문했다. 평일에는 평균 3000여명, 주말에는 4000명 이상이 찾는 등 한국의 인기 패션 브랜드를 직접 경험하려는 일본 소비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지난 13일에는 하루 방문객이 5000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무신사는 이번 팝업 스토어 오픈 전부터 시부야 주요 거점에서 대형 디지털 전광판을 활용한 캠페인 영상을 선보였다. 시부야 스크램블 교차로에 5개의 사이니지 광고와 대로변을 가득 채운 포스터를 동시다발적으로 선보였다. 그 결과 사전 방문 예약자는 1만명을 돌파하고 오...
기사 본문
하루 최대 5000명 방문 참여 브랜드 거래액 3.5배 증가 온·오프라인 연계 전략 효과 일본 MZ, 한국 스타일링에 호응 [이데일리 김지우 기자] 무신사가 일본 ‘무신사 도쿄 팝업 스토어 2025’를 통해 현지 MZ세대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주요 상권을 장악한 옴니채널 마케팅과 ‘디깅 서울’ 콘셉트 전시를 통해 K-패션의 존재감을 각인시켰다는 평가다. 무신사는 지난 10월 3일부터 26일까지 24일간 도쿄 시부야에 연 무신사 팝업 스토어에 총 8만 2000여 명이 방문했다고 28일 밝혔다. 평일에는 평균 3000여 명이, 주말에는 4000명 이상이 다녀갔다. 특히 지난 13일에는 하루 방문객이 5000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무신사 도쿄 팝업 스토어 2025 방문객들이 스냅 아카이브 존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무신사) 이번 팝업 스토어는 오픈 전부터 시부야 주요 거점에 대형 디지털 전광판을 활용해 캠페인 영상을 선보이며 현지 이목을 집중시켰다. 무신사는 패션과 문화를 즐기는 Z세대...
기사 본문
하루 최대 5000명 방문, 연일 대기 행렬 팝업 기간 차여 브랜드 거래액 3.5배 늘어 무신사가 지난 10월 3일부터 26일까지 24일간 일본 도쿄 시부야에서 개최한 '무신사 도쿄 팝업 스토어 2025'에 총 8만2000여명이 방문했다고 28일 밝혔다. 팝업스토어에는 평일 평균 3000여명, 주말 평균 4000명 이상이 찾는 등 한국 인기 패션 브랜드를 직접 경험하려는 일본 소비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특히 지난 13일에는 하루 방문객이 5000명을 넘어서는 등 현장 열기가 뜨거웠다. ‘무신사 도쿄 팝업 스토어 2025’ 스냅 아카이브 존을 둘러보는 방문객들. 무신사 제공. 이번 팝업 스토어는 오픈 전부터 시부야 주요 거점에 대형 디지털 전광판을 활용해 캠페인 영상을 선보이며 현지 이목을 집중시켰다. 무신사는 패션과 문화를 즐기는 Z세대의 방문율이 높아 핵심 상권으로 꼽히는 시부야 스크램블 교차로에 5개의 사이니지 광고와 대로변을 가득 채운 포스터를 동시다발적으로 선보였다. 그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