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구재단-기보, 첨단기술기업 최대 20억 보증우대 확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전경 /뉴스1 (대전=뉴스1) 김종서 기자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연구개발특구 내 첨단기술기업의 성장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보증기금과 보증 우대지원을 확대한다고 28일 밝혔다. 기존 연구소기업에 한정된 보증 우대혜택을 기술 집약도가 높은 첨단기술기업까지 넓혀 특구 내 기술기반 기업들의 안정적인 자금 조달 및 기술사업화, 시장진출 지원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특구재단은 전국 5개 광역특구 및 14개 강소특구 소재 특구기업 중 첨단 분야 지정기술·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연구개발비와 첨단기술제품 매출액 관련 요건을 충족하는 우수한 기업을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 유도할 계획이다. 기보는 △기술평가등급에 따라 보증한도 최대 20억원 차등 적용 △보증비율 최대 100% 상향 △보증료율 최대 0.5%p 감면 등 우대조치를 적용해 원활한 기술사업화 자금조달과 금융비용 경감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희권 특구재단 이사장은 "기술집약형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자금을 확보해 연구개...
기사 본문
최대 20억원 보증 한도 차등 적용 혜택 등 [서울=뉴시스] 기술보증기금 본점 전경. 2025.10.28. (사진=기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강은정 기자 = 기술보증기금(기보)은 '연구소기업 및 첨단기술기업에 대한 우대보증'을 시행하고 지원 범위를 첨단기술기업까지 확대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우대보증은 첨단기술기업의 연구 개발과 기술 사업화를 촉진하고 국가 전략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자 마련됐다. 기보는 기술사업평가등급에 따라 보증 한도(최대 20억원)를 차등 적용하고 보증비율을 100%까지 올렸다. 최대 0.5%포인트 보증료 감면 혜택도 도입돼 기술기업의 금융 부담이 완화될 전망이다. 지원 대상은 연구소기업 및 첨단기술기업이다. 첨단기술기업은 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정한 업체로, 연구개발특구 입주사 중 정보통신기술, 생명공학기술 등에 주로 종사한다. 김종호 기보 이사장은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첨단기술기업의 성장은 ...
기사 본문
- 기술집약기업 자금조달 강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전경.[헤럴드DB]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연구개발특구 내 첨단기술기업의 성장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보증기금과 보증 우대지원을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은 기존의 연구소기업에 한정되어 있던 보증 우대혜택을 기술 집약도가 높은 첨단기술기업까지 확대함으로써 특구 내 기술기반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통해 기술사업화와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특구 고유의 기업지원 제도인 첨단기술기업은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12조의3에 따라 특구 내 기술혁신성이 높은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정한 기업이다. 지정요건은 ▷연구개발특구 내 입주 ▷첨단기술제품 매출 총매출액의 20% 이상 ▷연구개발(R&D)비 총매출액의 3~5% 이상이다. 특구재단은 대덕, 광주, 대구, 부산, 전북 전국 5개 광역특구 및...
기사 본문
특구재단, 기술보증기금과 보증 우대 지원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연구개발특구 내 첨단기술기업의 성장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보증기금과 보증 우대지원을 확대해 시행한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사진=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기존 연구소기업에 한정돼 있던 보증 우대혜택을 기술 집약도가 높은 첨단기술기업까지 확대해 특구 내 기술기반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통해 기술사업화와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도록 지원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특구 고유의 기업지원 제도인 첨단기술기업은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12조의3에 따라 특구 내 기술혁신성이 높은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정한 기업이다. 지정요건은 △연구개발특구 내 입주 △첨단기술제품 매출이 총매출액의 20% 이상 △연구개발(R&D)비가 총매출액의 3~5% 이상이다. 특구재단은 대덕, 광주, 대구, 부산, 전북 전국 5개 광역특구 및 14개 강소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