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9월 'K-푸드' 수출, 역대 최고치 찍었다"

2025년 10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8개
수집 시간: 2025-10-28 10:3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파이낸셜뉴스 2025-10-28 09:00:11 oid: 014, aid: 0005425409
기사 본문

전년比 8.9%증가한 84억8000만 달러..."경주 APEC 정상회의, K-푸드 글로벌 홍보 및 수출확대 기회" K-푸드 품목군별 수출 현황 [파이낸셜뉴스] 올들어 9월까지 ‘K-푸드’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관세청은 올해 1~9월까지의 ‘K-푸드’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증가한 84억 8000만 달러를 기록, 같은 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고 28일 밝혔다. 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증가한데 이어 올해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특히, 올해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글로벌 흥행과 함께 20년 만에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2025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10월 31일~11월 1일)로 전세계의 시선이 우리나라로 집중돼 K-푸드 인지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수출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품목군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였다. K-푸드 전체 수출액의 60...

전체 기사 읽기

매일신문 2025-10-28 09:38:17 oid: 088, aid: 0000977705
기사 본문

올해 9월까지 1년 전보다 8.9% 증가 라면·김 등 주요 품목 전반적 성장세 김혜경 여사가 27일 쿠알라룸푸르 K-푸드 팝업스토어에 전시된 군고구마 기계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K-푸드' 수출이 올해 9월까지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라면과 김 등 주요 품목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며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관세청은 28일 "올해 9월 누계 기준 K-푸드 수출액이 1년 전보다 8.9% 증가한 84억8천만달러를 기록하며 같은 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021년), 'K-팝' 아파트(2024년)를 잇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2005년 이후 20년 만에 경북 경주에서 개최되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31일~다음달 1일)를 계기로 전 세계의 시선이 집...

전체 기사 읽기

조선비즈 2025-10-28 09:34:09 oid: 366, aid: 0001117787
기사 본문

3분기 누적 K푸드 수출액 85억불, 전년比 9% ↑ 대미 수출도 13% 증가… 품질로 관세 장벽 넘어 김민석 국무총리(가운데)가 24일 경상남도 밀양시 삼양식품 밀양공장을 방문,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함께 불닭볶음면을 시식하고 있다. /연합뉴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글로벌 K-콘텐츠 바람을 타고 K-푸드 수출도 함께 날고 있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K-푸드 수출액은 84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동 기간 역대 최대 실적이다. 관세청은 오징어게임과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넷플릭스 시리즈의 글로벌 흥행이 K-푸드 수출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로 K-푸드에 대한 인지도가 더 높아져 향후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품목별로 보면 K-푸드 전체 수출액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가...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0-28 09:40:07 oid: 005, aid: 0001810534
기사 본문

서울의 홍익대학교 인근에 있는 라면 도서관에서 2024년 1월 4일 한 외국인이 라면을 보고 있다. 권현구 기자 K컬처 흥행에 힘입어 올해 9월까지 K푸드의 수출액이 80억 달러를 돌파해 같은 기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한국 식품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8.9% 증가한 84억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K푸드 수출은 2016년 60억6000만 달러로 이때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체 수출액 중 가공식품이 61.3%로 52억 달러였다. 지난해 동기 대비 6.7% 늘었다. 수산물은 23억3000만 달러로 11.2% 증가했고 축산물(2억8000만 달러, 50.3%), 농산물(6억6000만 달러, 5.6%), 임산물(2000만달러, 24.6%) 등도 모두 증가했다. 세부 품목으로 수출을 견인한 것들은 라면(11억3000만 달러, 24.5%)과 김(8억8000만달러, 14.0%)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라면·김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