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중협상 합의 이를 것"…미 증시, 또 천장 뚫었다[뉴욕마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쿠알라룸푸르 로이터=뉴스1) 김지완 기자 = 26일(현지시간)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마치고 협상장을 떠나고 있다. 2025.10.26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쿠알라룸푸르 로이터=뉴스1) 김지완 기자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에 대한 낙관론이 커지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최고치로 마감했다.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보다 337.47포인트(0.71%) 오른 4만7544.59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83.47포인트(1.23%) 상승한 6875.16에, 나스닥종합지수는 432.59포인트(1.86%) 오른 2만3637.46에 각각 마감했다. 이날 강세장으로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무역 협상 낙관론이 증시를 끌어올렸...
기사 본문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정상회담을 앞두고 무역 갈등을 누그러뜨리면서 낙관론이 시장을 끌어올렸습니다. 27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7.47포인트(0.71%) 오른 47,544.59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3.47포인트(1.23%) 뛴 6,875.16, 나스닥종합지수는 432.59포인트(1.86%) 급등한 23,637.46에 장을 마쳤습니다. 중국과의 긴장감이 기대감으로 전환하면서 인공지능(AI) 및 반도체주로 매수세가 집중됐습니다. 엔비디아는 2.81% 오르며 190달러선을 회복했고 브로드컴과 ASML, AMD도 2%대 강세였습니다. 퀄컴은 엔비디아 및 AMD와 경쟁할 수 있다는 AI 칩을 발표한 뒤 주가가 11% 급등했습니다. 인텔도 3.29% 상승하며 실적 개선으로 얻은 탄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시가총액 ...
기사 본문
미·중 합의 낙관에 뉴욕증시 또 최고치 대중 관세 100% 부과 보류·희토류 수출 통제 유예 가능성 차세대 AI 칩 공개 퀄컴 11%↑…기술주 강세 국내 증시 강세 전망…2000년대 이후 월간 상승률 3위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최고치로 마감했다. 오는 30일로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에서 무역합의의 큰 틀이 논의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했다. 이에 따라 주요 대형 기술주들이 급등세를 보였고 금융시장 내 안전자산 선호 경향은 약화하면서 금값이 4000달러 밑으로 하락했다. 다음은 28일 개장 전 주목할 뉴스다. 지난 2019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계기로 진행된 미중 정상회담 당시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FP) 뉴욕증시 또 사상 최고치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보다 1.23% 오른 6875.17에 거래를 마쳐. 기술...
기사 본문
100% 추가 관세 철회·희토류 수출제한 유예 가능성↑ 미·중 무역 완화 조짐에 금값 4000달러 밑으로 하락 OPEC+ 12월 추가 증산 가능성…유가 소폭 하락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가 미·중 무역 합의 가능성에 힘입어 일제히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면서 위험자산 선호가 강화됐고, 금과 단기 국채 등 안전자산은 약세를 보였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가 전광판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AFP)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보다 1.23% 오른 6875.17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86% 상승한 2만3637.456을,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71% 오른 4만7544.59를 기록하며, 3대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100% 추가 관세 철회·희토류 수출제한 유예 가능성↑ 30일(한국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