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김 인기에 'K-푸드' 수출 역대 최대 84억 달러 기록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올해 9월까지 이른바 'K-푸드' 수출액이 84억 달러를 넘어서며 같은 기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관세청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한국 식품 수출액이 지난해 동기 대비 8.9% 증가한 84억 8천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겁니다. 품목별로는 전체 수출액의 61.3%를 차지하는 가공식품이 52억 달러로 6.7% 늘었고, 수산물은 11.2% 증가한 23억 3천만 달러를, 농산물과 임산물은 각각 6억 6천만 달러, 2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고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세부 품목별로는 라면이 전년동기대비 24.5% 증가한 11억 3천만 달러, 김이 14% 증가한 8억 8천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관세청은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과 2025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K-푸드에 관심과 브랜드 인지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K-푸드 수출 기업...
기사 본문
- 2025년 9월 기준,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한 84.8억 달러 기록 - 경주 APEC 정상회의, K-푸드 글로벌 홍보 및 수출확대 기회될 듯 < 최근 10년간 K-푸드 수출액 증감 추이 > (단위: 백만달러) [헤럴드경제= 이권형기자] 관세청(청장 이명구)은 2025년 9월 누계 기준 ‘K-푸드’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한 84.8억 달러를 기록하며 동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2016년부터 전년도까지 9년 연속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021년), K-팝 아파트(2024년)를 잇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지난 2005년 이후 20년 만에 경주에서 개최되는 2025 APEC 정상회의(10.31 ̄11.1)를 계기로 전세계의 시선이 우리나라로 집중되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K-푸드에 대한 관심과 브랜드 인지도에도 긍정적...
기사 본문
올해 9월까지 1년 전보다 8.9% 증가 라면·김 등 주요 품목 전반적 성장세 김혜경 여사가 27일 쿠알라룸푸르 K-푸드 팝업스토어에 전시된 군고구마 기계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K-푸드' 수출이 올해 9월까지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라면과 김 등 주요 품목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며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관세청은 28일 "올해 9월 누계 기준 K-푸드 수출액이 1년 전보다 8.9% 증가한 84억8천만달러를 기록하며 같은 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021년), 'K-팝' 아파트(2024년)를 잇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2005년 이후 20년 만에 경북 경주에서 개최되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31일~다음달 1일)를 계기로 전 세계의 시선이 집...
기사 본문
APEC 정상회의, 수출확대 기회…맛있게 매운 라면 인기 여전 미국 중국 일본 3개국 전체 절반, 라면 24.5%·김 14.0% 증가 지난 7월 3일 서울 마포구 CU 홍대상상점 라면 라이브러리를 찾은 외국인들이 라면을 먹고 있다. (서울=뉴스1) 김도우 기자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9월 누계 기준 ‘K-푸드’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한 84억8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동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2016년부터 전년도까지 9년 연속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021년), K-팝 아파트(2024년)를 잇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지난 2005년 이후 20년 만에 경주에서 개최되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전세계의 시선이 우리나라로 집중되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K-푸드에 대한 관심과 브랜드 인지도에도 ...
기사 본문
3분기 누적 K푸드 수출액 85억불, 전년比 9% ↑ 대미 수출도 13% 증가… 품질로 관세 장벽 넘어 김민석 국무총리(가운데)가 24일 경상남도 밀양시 삼양식품 밀양공장을 방문,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함께 불닭볶음면을 시식하고 있다. /연합뉴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글로벌 K-콘텐츠 바람을 타고 K-푸드 수출도 함께 날고 있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K-푸드 수출액은 84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동 기간 역대 최대 실적이다. 관세청은 오징어게임과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넷플릭스 시리즈의 글로벌 흥행이 K-푸드 수출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로 K-푸드에 대한 인지도가 더 높아져 향후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품목별로 보면 K-푸드 전체 수출액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가...
기사 본문
서울의 홍익대학교 인근에 있는 라면 도서관에서 2024년 1월 4일 한 외국인이 라면을 보고 있다. 권현구 기자 K컬처 흥행에 힘입어 올해 9월까지 K푸드의 수출액이 80억 달러를 돌파해 같은 기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한국 식품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8.9% 증가한 84억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K푸드 수출은 2016년 60억6000만 달러로 이때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체 수출액 중 가공식품이 61.3%로 52억 달러였다. 지난해 동기 대비 6.7% 늘었다. 수산물은 23억3000만 달러로 11.2% 증가했고 축산물(2억8000만 달러, 50.3%), 농산물(6억6000만 달러, 5.6%), 임산물(2000만달러, 24.6%) 등도 모두 증가했다. 세부 품목으로 수출을 견인한 것들은 라면(11억3000만 달러, 24.5%)과 김(8억8000만달러, 14.0%)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라면·김 ...
기사 본문
핵심요약 농·축·수산물 포함 거의 모든 제품군에서 고른 상승세 미·중·일 3개국 전체 수출 절반…관세청 "수출기업 적극 지원" 최근 10년간 K-푸드 수출액 증감 추이. 관세청 제공 관세청은 올해 9월까지 K-푸드 수출액이 84억 8천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전년 대비 8.9% 증가한 수치로 같은 기간 역대 최대 실적이다. K-푸드 수출은 2016년(60억 5800만 달러)부터 지난해 106억 6300억 달러까지 9년 연속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제품군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수출액의 61.3%를 차지하는 가공식품이 52억 달러로 6.7% 늘었다. 수산물은 23억 2600만 달러로 11.2% 증가했고 축산물(2억 8300만 달러, 50.3%), 농산물(6억 5500만 달러, 5.6%), 임산물(1900만 달러, 24.6%) 등도 증가세를 보였다. 세부 품목별 살펴보면 라면은 11억 2500만 달러로 24.5% 증가했...
기사 본문
관세청 집계…8.9% 증가한 84.8억 달러 라면 24.5% 급증…김 수출도 14% 늘어 올해 1~9월 한국 식품의 누계 수출액이 80억 달러를 돌파하며 동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를 비롯한 문화 콘텐츠의 글로벌 흥행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10월 31일~11월 1일) 개최에 따른 K-푸드 인지도 상승 등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된다. 케데헌과 협업한 농심의 컵라면 제품. 연합뉴스 관세청은 올해 들어 9월 말까지 한국 식품(이하 K-푸드)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 증가한 84억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역대 1~9월 중 가장 많은 액수다. 연간 기준 K-푸드 수출(이하 금액 기준)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증가했다. 올해에도 9월까지 호조세를 보인 만큼 ‘10년 연속 플러스’ 행진을 이어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관세청은 “케데헌 흥행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세계의 시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