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 동반성장위와 협력사 지원 맞손…상생자금 183억으로 확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 체결 183억원 들여 상생협력 프로그램 KCC 사옥 전경.사진제공=KCC [서울경제] KCC(002380) 가 동반성장위원회와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을 맺고 협력사 상생 프로그램 운영자금을 183억 원으로 확대했다고 28일 밝혔다. KCC는 향후 3년간 '납품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제값 쳐주기·제때 주기·상생결제로 주기) 준수를 포함해 다양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2022년 첫 체결 이후 재협약이다. 협력 중소기업의 복지와 기술경쟁력, 금융지원 등을 포함한 상생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자금을 기존 157억 원에서 26억 원을 늘린 총 183억 원 규모로 확대했다. 협력사 임직원을 위한 복지 프로그램은 기존 △내일채움공제 지원 △우수 직원 격려금 지급 △스포츠 경기 관람 티켓 및 휴양시설 지원 제도에 올해는 '복지포인트 제도’를 도입했다. KCC 임직원 전용 쇼핑몰을 개방하고 직무/ESG/어학 등 온라인...
기사 본문
2022년보다 26억원 확대 [서울=뉴시스] 동반성장위원회 로고. (사진= 동반성장위원회 제공) [서울=뉴시스] 권혁진 기자 = 동반성장위원회(동반위)는 28일 KCC와 대·중소기업 양극화 해소를 위한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납품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 준수를 포함해 향후 3년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뼈대로 한다. 기존 157억원에서 26억원을 늘린 총 183억원 규모의 지원 계획을 마련했다. KCC는 2022년에도 동반위와 관련 협약을 맺은 바 있다. 협약에 따라 KCC는 협력 중소기업 임직원 대상 ▲내일채움 공제 ▲우수 직원 격려금 ▲스포츠 관람 티켓 지원 등의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복지포인트 제도를 새로 도입해 협력 중소기업 임직원의 근로 의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협력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기술개발(R&D) ▲생산·검사 설비 무상 임대 ▲직무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
기사 본문
‘납품대금 3원칙’ 준수·무이자 대출 신설…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확대 동반성장위원회 로고. 동반성장위원회 제공 [파이낸셜뉴스] 동반성장위원회가 KCC와 대·중소기업 간 양극화 해소를 위한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2022년에 이어 2차로 진행된 재협약이다. ‘납품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 준수와 상생협력 프로그램 확대를 주요 골자로 한다. 협약에 따라 KCC는 향후 3년간 기존 157억원에서 26억원을 추가한 총 183억원 규모의 상생협력 지원 계획을 마련했다. 협력 중소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내일채움공제 가입 지원 △우수 직원 격려금 △스포츠 관람 티켓 지원 등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신규 복지포인트 제도를 도입해 근로 의욕과 삶의 질 향상을 돕는다. 또한 △공동기술개발(R&D) △생산·검사 설비 무상 임대 △직무교육 프로그램 등 기술·인력 분야 지원을 강화한다. 현장 수요를 반영해 △홍보콘텐츠 제작 △안전설비 투자 △인증시험비 ...
기사 본문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 재협약 체결 동반성장위원회는 KCC와 대·중소기업 양극화 해소를 위한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2022년 첫 체결 이후 재협약으로, '납품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 준수를 포함해 향후 3년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주요 골자로 한다. 기존 157억원에서 26억원을 늘린 총 183억원 규모의 지원 계획을 마련했다. 협약에 따라 KCC는 협력 중소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내일채움 공제 ▲ 우수 직원 격려금 ▲ 스포츠 관람 티켓 지원 등의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복지포인트 제도를 새로 도입해 협력 중소기업 임직원의 근로 의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협력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기술개발(R&D) ▲ 생산·검사 설비 무상 임대 ▲ 직무교육 프로그램 등을 함께 운영한다. 뿐만 아니라 ▲ 홍보콘텐츠 제작 ▲ 안전설비 투자 ▲ 인증 시험비용 지원 등 현장의 요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