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수장관 "부산이전 특별법 늦어도 11월까지 통과돼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025 국감] "부산시의회가 조례 원만하게 만들 수 있어" "이전 대책 발표 후 이탈 인력 없어" [세종=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과 관련 특별법과 관련 “아무리 늦어도 11월 중순까지는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전 장관은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특별법을 언제까지 처리하면 되냐’는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전 장관은 “이 법을 근거로 부산시가 조례도 만들어야 되고 이런 근거가 있어야 된다”며 “부산시(의회)에서 정기회 일정이 있다. 그래서 (11월까지 통과돼야)조례가 좀 원만하게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전 장관은 해수부 부산 이전 발표 이후 이탈 이원은 28명이라고 밝혔다. 전 장관은 “중앙정부와 부산시의 지원 대책이 나오기 전 이탈 인력이 있었다”...
기사 본문
[KBS 부산] [앵커] 해양수산부에 대한 국정감사가 오늘(15일) 있었는데요, 해수부 부산 이전 효과를 어떻게 극대화할지, 또 해수부 기능을 어떻게 강화할지가,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일단, 올해 안에 HMM 이전 계획을 내놓겠다고 답했습니다. 이이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는 12월, 부산 이전을 앞둔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 나선 위원들은 먼저, 해수부 이전 효과에 대한 우려를 짚었습니다. 해수부에 이어 해양 공공기관과 해운 대기업이 함께 이전해야 한다며, 그 진행 상황을 물었습니다. [조경태/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 : "HMM도 같이 포함해서 그럼 연내에 발표할 예정입니까?"]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최대한 서두르겠다"고 답했습니다. [전재수/해양수산부 장관 : "가능하면 해수부가 연내 부산 이전하기 전에, 올해 안에 HMM의 지배구조 문제나 부산 이전 문제의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할 겁니다."] 이전 과정에서 해수부 인력 이탈과 행정...
기사 본문
해수부 이전에 여야의 걱정·격려 이어져 전재수 "해수부 부산 이전 올해 안에 국회 보고" "해수부 부산 이전을 연내 완료하고 국적선사와 협의해 북극항로 시범운항을 실시하겠습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해양수산부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국회=배정한 기자 15일 오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는 모처럼 여야가 한목소리를 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업무보고에서 "연내 해수부 이전·내년 북극항로 시범운항"에 대해 말했으며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질의에서도 여야의 해수부 이전과 관련된 질의가 이어졌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해양수산부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국회=배정한 기자 국정감사가 진행함에 따라 타 국정감사와는 다른 고성·중단 등의 조짐조차 보이지 않...
기사 본문
15일 해양수산부 국정감사 출석한 전재수 장관, '해수부 연내 이전' 의지 확인 부산 이전 직원에 대한 지원, 해수부 기능 강화 등 질문 이어져 전 장관 "이전 계획·직원 지원 방안 차질 없이 추진" 강조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5일 오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15일 해양수산부를 대상으로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과 관련한 각종 질의가 이어졌다. 전재수 장관은 연내 해수부 이전을 마무리하겠다고 못박으며 직원에 대한 지원 등에도 차질이 없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해수부에 대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국감에 출석한 전재수 장관은 "해양수도를 육성해 행정과 사법, 산업과 금융 기능을 집적화하겠다"며 "그 첫 단추인 해수부 부산 이전을 연내 완료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진 질의에서 농해수위 의원들은 부산에 이전하는 해수부의 기능과 역할, 직원들에 대한 지원 대책 등에 대해 집중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