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업계 실적 회복 조짐…인천공항 '빈자리' 입찰 흥행할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3분기 실적 개선 기대감 현대百 흑자 전환 전망 비용 감축·방한객 증가 효과···中 무비자도 긍정적 11월 인천공항 DF1 입찰···롯데·현대·CDFG 등 각축 예상 공항공사 조건·신라 재입찰 여부 등 변수 주목 공항 면세점 전경. 연합뉴스. [서울경제] 오랜 적자에 시달려 온 면세업계가 비용 절감 노력과 방한 외국인 증가세에 힘입어 실적 회복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신라면세점 철수로 공석이 된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구역에 대한 다음 달 신규 입찰이 업계의 개선 기대감 속에서 흥행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면세업계의 3분기 실적 전망은 길었던 부진에서 벗어나 희망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2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등에 따르면, 현대백화점(069960) 면세점 부문은 올 3분기 약 30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3분기 이후 계속된 영업손실에서 8개 분기 만에 턴어라운드 하는 것이다. 지난 8월 동대문점을 폐점하며 고정비 부담을...
기사 본문
300억원 달하는 월 임대료에 '휘청' 신라는 철수 결정, 신세계도 따라갈까 공항면세점 향후 입찰 흥행 여부 '미지수'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 T2 향수 매장. /사진=신세계면세점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면세업계 간 임대료 갈등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여행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정작 면세점 이용객은 예전만 못해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어서다. 신라면세점은 1900억원의 위약금을 감수하고 인천공항에서 철수를 결정했다. 신세계면세점은 법원의 '보정 명령'을 기다리며 고심을 이어가고 있다. 승자의 저주 그동안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사업자 선정 입찰에는 주요 면세업체들이 참여해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인천공항은 외국인 관광객이 반드시 거쳐가는 곳이다. 그런만큼 유동 인구가 보장돼 안정적인 매출을 올릴 수 있는 '황금 입지'였다. 글로벌 허브 공항이 갖는 상징성도 커 사업권을 확보하는 것이 면세점 입장에서는 여러모로 유리했다. 실제로 지난 2020년 진행된 인천공항 제1터미널 면세점 4기...
기사 본문
현대, 2년여만에 흑자전환 예상 호텔신라·신세계디에프도 훈풍 '부진 늪' 탈피 업황 회복 기대속 신라免 운영구역 새 사업자 뽑아 롯데·현대면세점·中업체 ‘눈독’ 인천공항 파격카드 꺼낼지 관심 공항 면세점 전경. 연합뉴스. [서울경제] 고질적인 적자의 늪에 빠졌던 면세업계가 허리띠 졸라매기와 외국인 관광객 증가라는 쌍끌이 효과에 힘입어 실적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신라면세점의 철수로 인천국제공항이 다음달 실시할 면세점 신규 입찰이 업황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흥행에 성공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면세업계의 3분기 실적은 길었던 부진의 터널 끝에서 한 줄기 빛을 발견한 모습이다. 2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등에 따르면 현대백화점(069960) 면세점 부문은 올해 3분기 30억 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을 할 전망이다. 2023년 3분기 이후 줄곧 영업 적자를 기록하다가 8개 분기 만에 턴어라운드 하는 것이다. 올해 8월 문을 닫은 동대문점 철수에 따른 고정...
기사 본문
전체 면세 고객 중 외국인 비중 40% 육박…매출 ↑ 10월, 무비자 입국 제도에 APEC 효과로 중국인 유입 증가 중국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이 시작된 29일 서울 중구 신라면세점 서울점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면세점을 둘러보고 있다. 2025.9.29/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윤수희 기자 = 면세점업계의 외국인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해 지난 9월 100만 명을 돌파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열풍으로 K-컬처 부흥기를 맞자, 개별 관광객 수가 증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0월엔 유커 단체 무비자 입국과 중국 국경절 연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방문 효과가 이어지면서 정체 중인 면세점 매출이 반등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9월 면세점 구매 외국인 100만 명…매출 전월 대비 ↑ 28일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올해 9월 국내 면세점에서 구매한 외국인 수는 전년보다 19.2% 늘어난 101만 2368명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