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부동산 대책에도…소비자 집값 상승 기대는 4년만에 최고

2025년 10월 28일 수집된 기사: 3개 전체 기사: 15개
수집 시간: 2025-10-28 07:08:0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23개

연합뉴스 2025-10-28 06:00:07 oid: 001, aid: 0015704892
기사 본문

주택가격전망지수 10p 뛴 122…"10·15 대책 전 답변이 75%"… 한미 무역 협상 장기화에 소비자심리지수 두 달 연속 하락 서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정부가 잇달아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는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p) 상승했다. 이달 지수는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였으며, 상승 폭 역시 지난 2022년 4월(10p) 이후 가장 컸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반영한다. 이 지수가 100을 웃돌면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한은에 따르면 수도권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지수도 상승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조사 기간이 14일부터 2...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8 06:00:00 oid: 277, aid: 0005670275
기사 본문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 122 2021년 '패닉바잉' 수준까지 급등 "6·27 대책 이전 수준만큼 다시 올라" 소비자심리지수는 두달 연속 하락…109.8 집값 상승 기대심리에 다시 불이 붙었다.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기대심리는 '패닉바잉(공포 매수)'이 횡행했던 2021년 10월 수준으로 치솟았다. 정부의 6·27 가계대출 규제 이후 주춤하는 듯했던 집값 기대심리가 연이은 대책에도 좀처럼 꺾이지 않는 모습이다. 주택가격전망지수, 한 달 만에 10P 상승…"6월보다도 높아"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주택가격전망CSI는 122로, 전월 대비 10포인트 뛰었다. 2030세대까지 패닉바잉에 나선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데다, 과거 장기 평균(107)도 크게 웃돈다. 상승 폭도 2022년 4월(10포인트 상승) 이후 3년 만에 최대다. 주택가격전망CSI는 1년 뒤 주택 가격에 대한...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8 06:01:15 oid: 016, aid: 0002548214
기사 본문

한은,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 122 기록 수도권 중심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에 영향 10·15대책 효과 여부 11월 판가름 전망 연이은 부동산 대책에도 주택가격지수는 폭등해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성동·광진 등 아파트 단지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주택가격지수가 한 달 사이 10포인트 폭등하면서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연이은 집값 대책에도 서울 중심 부동산 시장 과열이 전혀 식지 않은 모양새다. 전반적인 소비자심리는 2개월 연속 하락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전월 대비 10포인트 상승한 122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오름폭도 지난 2022년 4월(+10포인트)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컸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8 06:01:11 oid: 014, aid: 0005425352
기사 본문

한국은행, 2025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발표 6·27, 9·7, 10·15 3연속 규제에도 상승세 지속 수도권 중심 전국 아파트값 오름세 확대 영향 소비자심리지수는 무역협상 장기화에 2개월째↓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지난 6월 27일, 9월 7일에 이어 10월 15일에도 초강력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으나, 이달 집값 상승 기대감이 3년 6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수도권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값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집값 기대심리가 4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오른 것이다. 국내 소비자심리의 경우 한·미 무역협상 장기화, 미·중 무역갈등 재부각 등 통상 관련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2개월 연속 주저앉았다. ■10·15 부동산 대책에도 집값 기대감 상승일로 한국은행 제공.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이달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122로 전월 대비 10p 상승했다. 지난 2022년 4월(10p) 이후 최대폭 상승이자, 지수 ...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0-28 08:02:17 oid: 629, aid: 0000437843
기사 본문

한국은행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 CSI(소비자동향지수)는 122를 기록했다. /이선영 기자 정부가 6·27, 9·7, 10·15 등 연이어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소비자 집값 상승 기대가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 CSI(소비자동향지수)는 122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10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의미한다. 이달 기록한 122는 지난 2021년 10월 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다. 상승은 2022년 4월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정부가 6·27과 9·7, 10·15 등 연이어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고 있으나,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오른 셈이다. 10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9.8로 전월 대비 0.3p 하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 경제 상황...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0-28 08:01:15 oid: 023, aid: 0003937240
기사 본문

주택가격전망지수 전달보다 10포인트 상승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가 지난 2021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정부가 고강도 부동산 대책을 연달아 내놓고 있지만 기대가 꺾이기는커녕 집값이 오를 것으로 내다본 소비자가 더 많았다는 뜻이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달(112)보다 10포인트 올랐다. 이 지수는 1년 후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본 소비자가 더 많으면 100을 웃돈다. 이달 지수는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다. 상승 폭 역시 지난 2022년 4월(10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이재명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인 ‘6·27 가계부채 대책’ 전에 발표된 6월 주택가격전망지수(120) 수준까지 올랐다. 다만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조사 기간이 10월 14일부터 21일까지였는데, 응답의 75% 정도가 첫날인 1...

전체 기사 읽기

MBN 2025-10-28 08:23:08 oid: 057, aid: 0001915514
기사 본문

"10·15 대책 전적 반영으로 보기는 어려워" 사진=연합뉴스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가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8일) 발표한 '소비자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달 주택 가격 전망 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이번 달 지수는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였으며, 상승 폭 역시 지난 2022년 4월(10p) 이후 가장 컸습니다. 주택 가격 전망 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반영합니다. 이 지수가 100을 웃돌면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더 많다는 뜻입니다. 한은에 따르면 수도권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지수도 상승했습니다. 이혜영 한은 경제 심리 조사팀장은 "조사 기간이 14일부터 21일까지였는데, 응답의 75% 정도가 첫날인 14일에 이뤄졌다"며 "10·15 부동산 대책에 관한 소비자들의 의견이 지수에 전적으로 ...

전체 기사 읽기

kbc광주방송 2025-10-28 07:41:13 oid: 660, aid: 0000095597
기사 본문

▲ 자료이미지 정부가 지난 15일 내놓은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감이 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지수(CSI)는 122로, 한 달 전보다 1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1년 10월 문재인 정부 말기(125)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며, 상승 폭 또한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였던 2022년 4월 이후 최대입니다. 이번 조사는 이달 14일부터 21일까지 진행돼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시점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올해 3월 서울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다가 6·27 대출규제 강화 대책 이후 한때 11포인트 하락했지만, 8월 이후 다시 반등세로 돌아섰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공급 확대 대책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체감 효과가 즉각적이지 않아 여전히 상승 기대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28 07:23:00 oid: 032, aid: 0003404812
기사 본문

정부가 오는 20일부터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 전체의 아파트 ‘갭 투자(전세끼고 매매)’를 전면 금지하는 초강수 집값 안정 대책을 15일 발표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도심. 2025.10.15 문재원 기자 정부가 잇달아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는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을 보면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 올랐다. 이는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 폭 역시 2022년 4월(10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반영한다. 이 지수가 100을 웃돌면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한은에 따르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주택가격전망지수도 함께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10월 14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됐으며, 응답...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28 07:19:07 oid: 022, aid: 0004078140
기사 본문

6·27,9·7,10·15 대책에도 ‘상승 심리’ 꺾이지 않아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4년 만에 최고치 수도권 중심으로 심리 확산, 상승 폭도 2년 만의 최대 “대책보다 빠른 건 사람 마음”…부동산 온도, 다시 끓어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 122… 2021년 10월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뉴스1 “요즘 부동산 대책이 계속 나온다지만,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오를 것 같아요.” 서울 마포에 사는 40대 직장인 김모씨는 최근 전세 재계약을 앞두고 고민이 깊다. 그는 “작년엔 가격이 좀 잡히는가 싶었는데, 주변에선 또 ‘이제는 바닥 찍었다’는 말이 많아요”라고 말했다. 김씨처럼 ‘집값이 다시 오를 것 같다’는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28일 한국은행의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 대비 10포인트(p) 급등했다. 이는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0-28 08:14:18 oid: 422, aid: 0000795468
기사 본문

통상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경제 심리가 두 달 연속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소비자심리지수, CCSI는 109.8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CCSI는 가계 재정상황, 경제상황, 물가상황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조사해 지수화한 지표로, 100보다 높으면 소비 심리가 낙관적임을 뜻합니다. 1년 뒤 주택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한 소비자 비중은 석 달 연속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포인트를 기록하며 전달과 비교해 10포인트 올랐습니다. 한은은 "수도권 중심의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주택가격전망지수가 상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집값 #아파트 #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 #주택가격전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SBS Biz 2025-10-28 06:20:12 oid: 374, aid: 0000470968
기사 본문

정부가 잇달아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는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8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이달 지수는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였으며, 상승 폭 역시 지난 2022년 4월(10p) 이후 가장 컸습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반영합니다. 이 지수가 100을 웃돌면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더 많다는 뜻합니다. 한은에 따르면 수도권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지수도 상승했습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조사 기간이 14일부터 21일까지였는데, 응답의 75% 정도가 첫날인 14일에 이뤄졌다"며 "10·15 부동산 대책에 관한 소비자들의 의견이 지수에 전적으로 반영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전체 기사 읽기

조세일보 2025-10-28 09:23:11 oid: 123, aid: 0002370718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발표 10월 소비자심리지수 전월대비 0.3p 내려…1개 주요지수 하락, 5개 지수 동일 “경기 더 나빠진다” 향후경기전망 3p↓…집값 전망 꿈틀, 주택가격전망 10p ‘쑥’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에 영향 줄 주요 품목…농축수산물·공공요금·공업제품 순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의하면 10월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9.8로 전월대비 0.3p 하락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10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9.8로 두 달 연속 하락했다. 한·미 무역협상 장기화, 미·중 무역갈등 재부각 등 통상 관련 불확실성 등으로 소폭 내렸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의하면 10월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9.8로 전월대비 0.3p 하락했다.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Composite Consumer Sen...

전체 기사 읽기

시사저널 2025-10-28 09:28:17 oid: 586, aid: 0000114636
기사 본문

[조주연 디지털팀 기자 shscja123@naver.com]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 122…"6·27 대책 이전 수준" 한미 무역 협상 장기화에 소비자심리지수 두 달 연속 하락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 올랐다. 지난 2022년 4월(10p)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상승할 것이란 전망은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 올랐다. 이달 지수는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다. 과거 장기 평균(107)도 크게 웃돈다. 상승폭 역시 지난 2022년 4월(10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보여준다. 이 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웃돌면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

전체 기사 읽기

KBS 2025-10-28 09:05:45 oid: 056, aid: 0012055007
기사 본문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도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는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8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 폭 역시 지난 2022년 4월(10p) 이후 가장 컸습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반영합니다. 이 지수가 100을 웃돌면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더 많다는 뜻입니다. 다만 이번 조사는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 기간을 일부 포함하고 있어, 대책 효과가 전적으로 반영된 것은 아니라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입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조사 기간이 14일부터 21일까지였는데, 응답의 75% 정도가 첫날인 14일에 이뤄졌다"며 "10·15 부동산 대책에 관한 소비자들의 의견이 지수에 전적으로 반영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28 09:12:13 oid: 028, aid: 0002773138
기사 본문

10월 소비자동향 조사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까지 기준으로 올해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가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를 보면,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 급등했다. 이달 지수는 2021년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다. 상승 폭도 2022년4월(10) 이후 가장 컸다. 20년 장기 평균값(107)을 크게 웃돌았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반영한다. 지수가 100을 웃돌면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정부의 6.·27 대출 규제 이후인 7월 이후 석달 동안 보합세(109→111→112)를 보였는데 이달 큰 폭 상승했다. 한은은 수도권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지수...

전체 기사 읽기

JIBS 2025-10-28 11:22:10 oid: 661, aid: 0000064240
기사 본문

CCSI 두 달 연속 하락 속 주택전망지수 4년래 최고 “불안은 일상, 기대는 부동산으로 쏠렸다” 10월, 국민들의 체감 경제는 한 문장으로 압축됩니다. “지갑은 닫히고 집값 생각은 더 커졌다.” 경기 체온은 식는데 부동산 기대는 더 달아오르는 흐름입니다. 금리를 잡고 대출을 조여도, 기대 심리는 다른 방향으로 질주합니다. 시장 신호와 정책 목표가 엇갈리며 불균형이 깊어진 모습입니다. 전문가들은 “지표가 보내는 경고를 간과하면 버블과 침체가 한꺼번에 밀려올 수 있다”며, 정부와 시장 모두 “위험한 온도차를 풀 해법이 필요하다”고 짚습니다. 28일 한국은행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9.8로 두 달 연속 하락했습니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충격 이후 어렵게 이어온 회복 흐름에 브레이크가 걸린 셈입니다. 한·미 무역협상 장기화, 미·중 갈등, 환율 불안 등이 가계 지출 의지를 움켜쥐고 있습니다. 반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p) 급등했습...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0-28 11:24:15 oid: 469, aid: 0000894223
기사 본문

통상 불확실성에 소비심리지수 0.3p 하락 주택가격전망지수 112… "6월 이전 수준"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집값 상승을 점치는 소비자가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늘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보다 0.3포인트 하락한 109.8로 집계됐다. 두 달 연속 하락세다. 한미 무역 협상이 장기화되고 미중 무역 갈등이 다시 부각되는 등 통상 관련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금리수준전망지수(95)는 전월보다 2포인트 올랐다. 환율 변동성 확대와 부동산 가격 상승 우려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진 영향이다. 10·15 부동산 대책 등 연이은 정부 대책에도 집값 상승 기대감은 견조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전월보다 10포인트 오른 122로 석 달째 상승 했다.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 수준이며, 상승 폭 기준으로는 2022년 ...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0-28 10:28:12 oid: 009, aid: 0005580245
기사 본문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 122, 전월보다 10p 상승 “시장 상황 더 지켜봐야” 소비자심리지수 외려 하락 서울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인근 부동산 앞으로 한 시민이 지가나고 있다. [김호영 기자]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가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정부가 6·27 가계대출 규제를 시작으로 연이어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집값 기대심리가 꺾이지 않는 모습이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p) 상승했다. 이달 지수는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였으며, 상승 폭 역시 지난 2022년 4월(10p) 이후 가장 컸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을 반영한다. 이 지수가 100을 웃돌면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한은에 따르면 수도권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지수도 ...

전체 기사 읽기

매경이코노미 2025-10-28 10:30:14 oid: 024, aid: 0000100872
기사 본문

주택전망지수 4년 만에 최고 한은 “수도권 중심 매매가격 상승 영향” 정부 연이은 규제에도 기대 심리 회복 무역 갈등·금리 불확실성에 소비는 위축 서울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잇달아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는 되레 커지고 있다. 주택가격전망지수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112)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상승 폭 역시 2022년 4월(10포인트) 이후 최대치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뒤의 집값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로 100을 웃돌면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가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많다는 뜻이다. 한은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의 오름폭이 확대되며 지수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이혜영 한국은행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조사 ...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28 12:09:17 oid: 025, aid: 0003478393
기사 본문

정부의 세 차례 부동산 대책 발표에도,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더 커졌다.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내년에도 주택가격이 오를 거라 보는 심리가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 전경.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올해 10월 소비자동향 조사 결과의 내용이다. 1년 후 집값 전망에 대한 심리를 보여주는 주택가격전망심리지수(CSI)는 9월보다 10포인트 급등한 122를 기록했다. 집값 오름세가 이어지던 2021년 10월(12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증가 폭(10포인트)도 지난 2022년 4월 이후 3년 반 만에 최대다. 당시 윤석열 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던 때다. 앞서 서울 집값 오름세가 절정이었던 지난 6월 주택가격전망CSI는 120이었는데, 정부가 6ㆍ27대책을 내놓은 이후 7월에 109로 한 풀 꺾였다. 하지만 지난 8월에 111로 곧바로 반등했다. 정부의 9ㆍ7공급 대책이 나온 9월에...

전체 기사 읽기

문화일보 2025-10-28 12:03:15 oid: 021, aid: 0002745742
기사 본문

한은, 10월 소비자동향조사 주택가격 전망지수 10P ↑ 김윤덕 “이상경 사태 송구” 정부가 ‘10·15 대책’ 등 각종 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는 4년 전 문재인 대통령 집권 당시 이래 최고치까지 오르고 상승 폭은 3년 6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또 ‘부동산 논란’에 휩싸인 이재명 정부 고위 인사들이 연이어 사과를 하고 있지만 부동산 정책 관련 불만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112) 대비 10포인트 상승했다. 이 지수는 석 달 연속 상승해 지난 2021년 10월 수준(125)까지 올랐다. 상승 폭은 윤석열 전 대통령 당선 직후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던 시기였던 2022년 4월(+10포인트) 이후 최대였다. 이번 소비자동향조사는 지난 14일부터 21일까지 이뤄져 10·15 부동산대책 발표 시점이 포함됐다. 이와 관련,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28 11:41:11 oid: 374, aid: 0000471061
기사 본문

[앵커] 수출 호조와 반짝한 소비가 우리 경제의 밝은 면이라면 멈출 줄 모르는 부채 증가세와 그에 연동된 집값은 어두운 면입니다. 이에 정부가 세 차례 강도 높은 부동산 대책을 내놨습니다만,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감은 4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규준 기자, 집값 상승 기대를 수치화한 통계가 있죠. 어떻게 나왔습니까? [기자] 이번 달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달 대비 10포인트 올랐습니다. 이 지수는 100을 웃돌면 1년 뒤 집값이 오를 거라고 본 소비자들이 더 많다는 걸 의미합니다. 이번 달 지수는 2021년 10월 이후 4년 만에 최고치고, 상승폭도 3년 반 만에 가장 컸습니다. 정부가 6·27, 9·7, 10·15 등으로 고강도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집값이 오를 거란 심리가 꺾이지 않는 겁니다. 다만 한국은행은 "설문조사 기간이 이달 14일부터 21일까지였는데 응답의 75%가 14일 이뤄졌다"라며 "10·15부동산 대책에 대한 소비자들...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