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걷던 파킨슨병 환자가 탁구 쳐”…한국서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관련 기사 목록 10개
기사 본문
국내 연구진, 배아줄기세포 활용 기존 치료로 효과없는 환자에 시험 고용량 투여군 증상 평균 43% 호전 오케스트라 지휘하고 배드민턴 쳐 국내 연구진이 배아줄기세포 유래 파킨슨병 치료제 임상 시험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임상 결과 걷지 못했던 환자가 탁구나 배드민턴을 즐기는 등의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 배아줄기세포를 활용한 파킨슨병 치료제 임상에 나선 것은 한국이 미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두 번째다. 김동욱 연세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 이필휴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과학교실 교수, 장진우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은 배아줄기세포 유래 파킨슨병 치료제 임상 1·2상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14일자에 발표했다. 셀은 네이처, 사이언스와 함께 세계 3대 학술지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이 임상 시험을 한 치료제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도파민 세포치료제다. 파킨슨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만드는 신경세포가 소실되면서 나타나는 퇴행성 뇌질...
기사 본문
배아줄기세포유래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임상 결과 셀(Cell)지 발표 인간 배아줄기세포유래 도파민 신경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환자 임상 시험의 주요 연구진/사진제공=에스바이오메딕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14일 인간 배아줄기세포유래 도파민 신경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환자 임상 시험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한 결과가 세계적 과학 저널 셀(Cell)지에 보고됐다고 밝혔다. 이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수행된 12명 투여 대상자(저용량 및 고용량 각각 6명)에 대한 뇌내 도파민 세포 이식 후 1년 추적관찰 결과이다. 배아줄기세포유래 도파민 세포의 파킨슨병 임상은 세계 두 번째이고 아시아 최초로 수행됐다. 이번 임상 연구 대상은 파킨슨병 진단 후 5년 이상 경과한 환자들로 항파킨슨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약효 소진현상(wearing off)이나 보행 동결현상(freezing of gait)등의 부작용을 보이는 환자다. 세브란스 병원과 에스바이오메딕스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
기사 본문
김동욱 연세대 교수 연구팀, 국제학술지 '셀'에 임상 결과 공개 도파민 신경세포 이식 후 생착을 시사하는 고용량 투여군의 뇌 영상(FP-CIT-PET) 사진. 이식 전(Baseline) 대비 12개월 후 영상 신호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세대 의대 제공. 파킨슨병 환자에게 도파민 세포치료제를 투여한 임상시험 결과가 공개됐다. 고용량을 투여해도 특별한 부작용이 없고 환자의 보행 이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동욱 연세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바이오기업 ‘에스바이오메딕스’와 함께 파킨슨병 환자 대상으로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 치료제를 투여하는 1/2a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연구결과를 14일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가 파괴돼 움직임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총 12명의 파킨슨병 환자에게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 치료제를 투여했다.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해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를 만...
기사 본문
사진=이솔 기자 에스바이오메딕스가 급등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유래 도파민 신경세포를 이용한 파킨슨 병 환자에 대한 임상 1상 결과가 유력 학술지인 셀(Cell)지에 게재됐다고 밝히면서다. 14일 오전 9시13분 현재 에스바이오메딕스는 전일 대비 2950원(10.69%) 오른 3만5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에는 21.01% 상승한 3만34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Cell지에 게재된 임상 1상 결과가 고무적인 영향으로 보인다. 임상 1상 결과에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과 에스바이오메딕스 공동 연구팀이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에게 이식한 뒤 1년간 추적관찰한 결과가 담겼다. 피험자 중에는 파킨슨병으로 인해 오케스트라 지휘를 중단했던 환자도 있었다. 그는 에스바이오메딕스의 치료제를 이식한 뒤 오케스트라 지휘봉을 다시 잡을 수 있게 됐다고 한다.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특별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다.
기사 본문
연세대 김동욱 교수팀, 배아줄기세포 치료제 임상 결과 ‘셀’지 발표 “기존 약물과 차원 다른 근본적 치료”…환자 운동능력 뚜렷한 호전 지휘봉 다시 잡고 탁구 즐겨…12명 환자 일상 되찾는 ‘기적’ 황우석 사태 20년…배아줄기세포 연구, 난치병 극복 결실로 파킨슨병으로 지휘봉을 내려놔야 했던 전직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다시 무대에 섰다. 걷기조차 힘들었던 환자는 탁구와 배드민턴을 즐기고, 자꾸만 넘어져 외출을 꺼리던 환자는 친구들과 동네 축제를 만끽한다. 이는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배아줄기세포 치료제를 투여받은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일어난 실제 변화다. 국내 연구진이 파킨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길을 열었다. 파킨슨병은 뇌에서 움직임을 조절하는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만드는 세포가 점차 사라지면서 몸이 떨리고 걸음걸이가 어려워지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지금까지 파킨슨병에 사용되는 약물은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해 증상을 완화시킬 뿐 병의 진행을 막지는 못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과 에...
기사 본문
세브란스병원·에스바이오메딕스, ‘셀’에 1년 경과 보고 배아줄기세포를 도파민 생성 세포로 분화, 뇌에 이식 이식 도파민 세포의 생착을 시사하는 고용량 투여군의 환자 뇌 영상(FP-CIT-PET) 사진. 이식 전(왼쪽·Baseline)과 비교 시 1년 후 영상 신호 증가를 화살표로 표시했다. /에스바이오메딕스 국내 연구진이 손발이 떨리고 몸이 서서히 마비되는 파킨슨병 환자에게 배아줄기세포를 투여해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과 에스바이오메딕스 공동 연구진은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에게 이식한 임상 1·2a상 시험에서 안전성과 효능을 확인했다”고 14일 국제 학술지 ‘셀(Cell)’에 발표했다. 배아줄기세포를 도마핀 세포 분화 파킨슨병은 1817년 영국 의사 제임스 파킨슨이 처음 발견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줄어들면서 손발이 떨리고 걸음걸이가 무거워지는 등 운동 장애 증...
기사 본문
세브란스 병원과 (주)에스바이오메딕스 공동 연구팀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도파민 줄기세포를 이식한 임상 결과가 오늘(14일) 세계적 과학 잡지 셀(Cell)지에 게재됐다고 밝혔습니다. ■ 도파민 줄기세포 이식 1년 후, 파킨슨병 증상 최대 43% 개선 연구팀은 파킨슨병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배아줄기 세포 유래 도파민 신경세포를 뇌에 이식 후 1년간 추적한 결과, 저용량 투여군(6명)에선 파킨슨병 증상이 평균 28%, 고용량 투여군(6명)에선 평균 43% 개선됐다고 밝혔습니다. 걷다가 갑자기 발이 바닥에 붙어 움직이지 않는 '보행 동결 현상'의 경우 저용량에선 5명 중 4명이 호전됐고, 고용량에선 6명 모두 호전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용량 투여군 환자 뇌 영상 사진 : 이식 전(Baseline)과 비교해 12달 뒤 화살표 표시 부분 신호 증가 (자료 제공 세브란스병원, 에스바이오메딕스) ■ 뇌 영상 검사, 이식 1년 후 도파민 줄기세포 생착 신호 증가 이식 1년 후 시행한 도파민 뇌 ...
기사 본문
- 뇌 도파민 부족해 파킨슨병 발발 - 우울증, 언어·삼킴 장애도 흔해 - 약물치료 등으로 삶의 질 유지 - 유전 여부 아직 밝혀진 것 없어 나이가 들면 몸이 예전 같지 않다고 한다. 걸음이 짧아지고, 허리가 굽어지고, 말소리가 작아지는 모습까지 자연스러운 노화로 치부하기 쉽다. 하지만 신경과 진료실에서 보면 그중에는 파킨슨병 환자가 적지 않다. 본인은 병인지도 모르고 지내다가, 뒤늦게 병원을 찾는 예가 많다. 조기에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하면 충분히 좋아질 수 있는데도 그렇다. 전석휘 동의의료원 신경과 과장이 파킨슨병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동의의료원 제공 파킨슨병은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 생기는 만성질환이다. 도파민은 우리 몸이 섬세하게 움직이게 돕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물질이 줄어들면 손이 떨리고, 근육이 뻣뻣해지고, 동작이 느려지며,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하게 된다. 증상이 심해지면 결국은 침대나 휠체어에 의지해야 한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는 아직 ...
기사 본문
연세대 김동욱 교수팀, 파킨슨병 세포치료 효과 입증 아시아 최초, 세계 두 번째 임상 “환자들, 지휘·걷기 다시 가능해져” 파킨슨병을 앓던 환자들이 임상 치료 1년 만에 오케스트라를 다시 지휘했고,걸어서 동네 축제에도 갔다. 국내 연구진이 파킨슨병 환자에게 배아줄기세포로 만든 도파민 신경세포를 이식해 증상이 뚜렷하게 호전된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조선일보 DB 연세대 세브란스 연구팀이 파킨슨병 환자에게 배아줄기세포(수정란에서 유래해 인체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만능 줄기세포)로 만든 도파민 신경세포를 이식해 증상이 뚜렷하게 호전된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도파민은 중추신경계에서 신경 전달 물질이자 호르몬으로 작용하는 유기 화합물로, 뇌의 보상 회로와 운동 조절 등 다양한 신체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선 최초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보고된 배아줄기세포 파킨슨병 세포 치료 임상이다. 해당 연구 결과는 14일 국제 학술지 ‘셀(Cell)’에...
기사 본문
국내 연구진 임상 결과 과학저널 '셀' 게재 오케스트라 지휘자 환자, 다시 지휘봉 잡아 후속 연구 거쳐 5년 내 치료제 상용화 목표 도파민 세포를 고용량 이식한 뒤 촬영한 환자의 뇌 영상 사진. 이식 전(왼쪽)과 비교했을 때 1년 뒤(오른쪽)에는 영상 신호가 증가했다. 김동욱 연세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에게 적용한 임상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치료제를 투여받은 일부 환자에게선 중단했던 오케스트라 지휘를 다시 시작하거나 보행이 어려웠던 상태에서 탁구를 즐길 정도로 호전된 사례가 확인됐다. 김동욱 연세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는 이필휴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와 장진우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 진행한 이같은 임상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과학저널 셀(cell)에 게재했다고 14일 밝혔다. 파킨슨병에 걸리면 중뇌에 위치한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며 다양한 행동장애를 일으킨다. 중장년층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