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코픽스 0.03%p...주담대 변동금리 소폭 상승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1년 만에 반등했다. 신규 대출을 받는 고객의 금리가 소폭 오를 가능성이 있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9월 기준 신규 취급액 코픽스는 연 2.52%로, 전월(2.49%)보다 0.03%p 상승했다. 작년 10월 이후 12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오다 처음으로 오른 것이다. 반면 잔액 기준 코픽스는 2.94%에서 2.89%로 0.05%p 낮아졌고, '신(新) 잔액기준 코픽스'도 2.54%에서 2.49%로 0.05%p 하락했다. 코픽스는 은행이 예·적금, 은행채 등으로 자금을 조달할 때 부담하는 금리의 평균을 나타낸다. 쉽게 말해 은행이 돈을 모으는 데 드는 '비용'을 보여주는 지표다. 코픽스가 오르면 은행의 조달비용이 커져 대출금리가 오를 수 있고, 코픽스가 내리면 반대로 대출금리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은행권은 이르면 16일부터 이번에 공개된 코픽스 변동분을...
기사 본문
코픽스 1년 만에 반등… 9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2.52% 이재명 정부의 3차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15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의 한 금융기관 앞에 부동산 담보 대출 관련 현수막이 걸려있다. /사진-뉴스1 내일(16일)부터 서울과 경기 전역에서 고가 주택을 구입할 때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2억원으로 제한된다. 은행권의 대출 문턱이 올라간 가운데 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 금리가 상승해 연말 '대출가뭄'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9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 금리는 연 2.52%로 전달(2.49%)보다 0.03%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이어지던 하락세가 끊기며 12개월 만에 반등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실제로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를 반영하는 지수다. 은행 예·적금과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코픽스가 오르면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했다는 뜻이다. 코픽스 금리는 주택담보대출 등 주...
기사 본문
코픽스 변화 추이/그래픽=이지혜 은행권 변동형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등 변동금리의 산정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12개월만에 상승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과도하게 선반영됐던 시장금리와 정기예금 금리 등이 다시 오르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은행연합회는 15일 '9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2.52%로 전월(2.49%)보다 0.03%포인트(P) 올랐다고 공시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코픽스가 높아졌다는 건 은행이 그만큼 이자를 더 많이 내고 자금을 확보했다는 의미다. 신규 코픽스를 반영하는 변동형 대출 상품을 운영 중인 은행들은 곧바로 인상분을 반영할 예정이다. 이르면 다음 영업일인 오는 16일부터 KB국민·우리은행 등은 주담대와 전세대출 변동형 상품의 금리를 0.03%P 인상한다. 신규 코픽스는 11개월 연속 하락세를 멈추고 1년 만에 반등했다. 지난 3월(공시월 기준) 30개월 만에 2%대에 들어서는 등 기준금...
기사 본문
시장금리 신속 반영 신규취급액 코픽스 금리↑ 내일부터 일부 변동형 주담대·전세대출 금리 조정 [이데일리 김형일 기자] 은행권 변동형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금리가 오를 전망이다. 변동금리 산정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시장금리가 상승 영향으로 1년 만에 반등해서다. 가계대출 관리 기준 강화로, 총량을 관리해야 하는 은행권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사진=은행연합회) 15일 은행연합회는 신규취급액 코픽스가 전월 대비 0.03%포인트 오른 2.52%라고 공시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SC제일·한국씨티)이 조달한 가중평균금리로, 코픽스 상승은 은행의 조달 부담이 커진 것을 의미한다. 특히 신규취급액 코픽스는 신규 조달 자금을 대상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시장금리 변동을 신속히 반영한다. 실제 은행채(1년물·AAA) 평균 금리는 지난달 2.543%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올랐다. 5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