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023년 소득이동통계' 결과 상향 이동 17.3%, 하향 이동 16.8% 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계층(소득분위)이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2명 남짓에 그쳤다. 소득 상위 20%(5분위)로 진입하기는 여전히 어렵지만, 일단 오르면 내려오지 않는 구조가 고착화했다. 반면 하위 20%(1분위)는 가난에서 벗어나기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불평등이 완화되지 못한 채, 사회이동성이 3년째 둔화하는 모습이다.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3년 소득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소득 분위가 달라진 사람은 전체의 34.1%였다. 전년(34.9%)보다 0.8%포인트 감소해 이동성이 3년 연속 둔화했다. 이 중 소득이 상향 이동한 사람은 17.3%, 하향 이동한 사람은 16.8%로, 상향 이동 비중이 근소하게 높았다. 다만 상향·하향 이동 모두 감소하면서 전반적인 소득이동성은 약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35.2%로 남성(33.3%)...
기사 본문
데이터처 ‘2023 소득이동통계’ 소득이동성 34.1% 전년比 0.8%p↓ 2017년 35.8% 이후 꾸준히 하락세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이동 급감 경제활동 시작 청년층 비중 등 줄어 남성보다 여성의 상향 이동이 많아 5분위 85.9%·1분위 70.1% 계속 유지 ‘부익부 빈익빈’ 현상 고착화 보여줘 한 해 동안 소득 증가로 소득분위 계층이 상승한 국민은 5명 중 1명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계층의 이동은 통계 집계 이래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로, 소득이 낮거나 높을수록 계층 간 이동이 적었다.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3년 소득이동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으로 소득분위가 상승 또는 하락하는 ‘소득이동성’은 34.1%로 나타났다. 소득이동성은 전년(34.9%)과 비교해 감소했고, 통계를 처음 시작한 2017년(35.8%) 이후로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다. 그만큼 사회 전체의 이동성이 감소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사진=뉴시스 소득계층...
기사 본문
2023년 기준 상승비율 17% 그쳐…고소득자일수록 계층 유지도 잘해 - 부산 상승율 8대 도시 중 4위 기록 대한민국 국민 가운데 2023년 연간 소득이 전년보다 늘어 계층(소득 분위)이 상승한 사람이 17%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자와 저소득자의 계층 유지율도 여전히 높았다. 사실상 ‘금수저’는 금수저 그대로, ‘흙수저’는 흙수저 그대로 소득 분위가 유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는 27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소득이동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우선 2023년 소득 분위가 전년보다 올라가거나 내려간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소득 분위 이동성’은 전국 기준 34.1%로 집계됐다. 나머지 65.9%는 2022년과 같은 분위에 머물렀다는 의미다. 소득 분위 이동성은 ▷2019→2020년 35.8% ▷2020→2021년 35.0% ▷2021→2022년 34.9% 등 3년 연속 하락세(전년 대비)를 이어갔다. 계층 간 이동이 그만큼 줄고 있다는 뜻이...
기사 본문
고소득 10명 중 9명 제자리 지켜…중산층 상향 이동은 늘어 청년층 양극화 심화…저소득 못 벗어나는 비율, 노년층 가장 높아 소득분위 상승 10명 중 2명뿐…고소득·저소득 '계층 격차' 여전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계층(소득분위)이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2명 선에 그쳤다.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는 변동 없이 자리를 지킨 비율이 높아 소득기준 계층 이동이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중산층에선 상향 이동한 경우가 늘었다. 국가데이터처는 27일 '2023년 소득이동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 통계에서 소득은 개인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합으로, 가구소득이나 재산·이전소득은 포함되지 않는다. 소득 하위 분위에 속하더라도 가구 전체 소득이 높거나 다른 형태의 소득이 많을 수 있어, 단순히 빈곤층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국가데이터처는 설명했다. 소득계층 이동성 3년째 하락세…상·하향 이동 모두 역대 최저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