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D 전기차 10% 관세, 10년 걸쳐 완전 철폐… 한-말레이시아 FTA 타결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완성 전기차 SUV 관세는 30%→15% 자동차 시장 추가 개방… 디지털 협력 확대 철강에선 냉연 등 9개 품목 관세 5% 철폐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이 26일(현지시각)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컨벤션센터(KLCC)에서 열린 2025 한-아세안 정상회의 계기 한-말레이시아 FTA 타결 공동선언문 서명식에서 뜽쿠 자프룰(Tengku Zafrul)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부 제공 한국과 말레이시아가 새 자유무역협정(FTA)을 타결하면서 자동차와 철강 등 주력 수출 품목의 관세가 대폭 낮아진다. 전기차 조립용 부품세트(CKD)의 10% 관세는 10년에 걸쳐 완전히 철폐되고, 완성 전기차 SUV 관세는 30%에서 15%로 줄어든다. 냉연·도금강판 등 주요 철강 제품도 5~15% 수준이던 관세가 추가로 인하돼 수출 여건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산업통상부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26일(현지시각)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뜽쿠 자프...
기사 본문
여한구 통상본부장, FTA 타결 공동선언문 서명 27번째 FTA...농수산물은 보호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2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컨벤션센터(KLCC)에서 틍쿠 자프룰 아지즈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한-말레이시아 FTA 타결 공동선언문에 서명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말레이시아의 자유무역협정(FTA)이 협상 6년 만에 타결됐다. 아세안 자동차 시장 2위 국가인 말레이시아와의 FTA 타결로 완성 전기차 SUV 관세가 30%에서 15%로 낮아지는 등 우리 기업의 수출 기반이 확대됐다. 다만 민감한 농수산물 수입에 대한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했다. 산업통상부는 27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뜽쿠 자프룰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FTA 타결을 확인하는 공동선언문에 서명하며 협상 타결을 공식화했다. 이번 협정은 한국의 27번째 FTA이자, 아세안 국가 중 싱가포르·베트남·캄보디아·인도네시아·필리핀에 이은 6번째 양자 협정이다....
기사 본문
한국이 말레이시아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최종 타결했습니다. 말레이시아는 자동차, 철강 등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에 대해 추가로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고, 한국은 말레이시아에 레몬주스, 두리안, 넙치, 게, 연어 등 농식품을 중심으로 추가 시장을 열어주기로 헀습니다. 산업통상부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현지시간 26일 쿠알라룸푸르에서 뜽쿠 자프룰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함께 한-말레이시아 FTA 협상을 최종 타결하고 이를 확인하는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타결된 한국과 말레이시아 FTA는 우리나라가 체결한 27번째 FTA입니다. 한국과 말레이시아는 이미 한-아세안 FTA, 한·중·일과 아세안이 참여한 메가 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체결한 상태입니다. 이처럼 기존의 중첩된 FTA가 존재함에도 별도로 양자 FTA를 체결하기로 한 것은 더 높은 수준의 시장 개방을 통해 상호 이익을 극대화하자는 데 양국이 뜻을 모았기 때...
기사 본문
정상회담 계기로 타결 공동선언 아세안 여섯번째 양자 FTA 체결 車 반제품·철강 등 수출 늘어날듯 "미래 전략적 협력관계 심화 기대"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한국과 말레이시아가 27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자동차와 철강, 화학 등 대(對)말레이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거나 크게 낮아지게 됐다. 이재명 대통령과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가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에서 양자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 대통령실에 따르면 양국은 이날(현지시간) 말레이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 총리와의 첫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말레이 FTA 협상 최종 타결했다.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뜽쿠 자프룰 말레이 투자통상산업부 장관이 하루 앞선 26일 협상 타결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에 서명한 후 이날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를 발표했다. 한-말레이 FTA는 한국이 체결한 27번째 FTA이자 아세안(동남아국가...
기사 본문
한국, 레몬주스·두리안·넙치·게·연어 등 농식품 관세 감축·철폐 통상본부장 "불안정 통상 환경 속 수출 다변화 필요성 커져" 이재명 대통령, 말레이시아 총리와 양자회담 (쿠알라룸푸르=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가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에서 양자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25.10.27 [공동취재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superdoo82@yna.co.kr (끝)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한국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핵심국 말레이시아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최종 타결해 자동차, 철강 등 우리나라 주력 제품 수출 확대 기반을 닦은 것으로 평가된다. 대신 한국은 말레이시아에 레몬주스, 두리안, 넙치, 게, 연어 등 농식품을 중심으로 추가 시장을 열어주기로 했다. 산업통상부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26일(현지시간) 쿠알라룸푸르에서 뜽쿠 자프룰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함께 한...
기사 본문
여한구 통상본부장, FTA 타결 공동선언문 서명 FTA 통해 韓 94.8%·말레이시아 92.7% 자유화 CKD 전기차 관세 철폐…완성전기차 SUV '절반' 철강 9개 품목 관세 철폐·12개 품목은 5%p↓ [세종=뉴시스] 산업통상부는 27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뜽쿠 자프룰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FTA 타결을 확인하는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사진=산업부 제공) 2025.10.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우리나라가 말레이시아와 자유무역협정(FTA)을 타결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수출 확대와 미래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FTA를 통해 자동차·철강·화학 등 우리의 주력품목은 추가 개방을 얻어냈고 민감한 농수산물 수입에 대한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했다. 산업통상부는 27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뜽쿠 자프룰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FTA 타결을 확인하는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고 ...
기사 본문
농수산물은 추가 개방없어...국내시장 영향 최소화 경기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는 모습.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한국이 말레이시아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한-말레이시아 FTA는 우리나라가 체결한 27번째(협상 타결 기준) 자유무역협정이다. 산업통상부는 26일(현지시간)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뜽쿠 자프룰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FTA 협상을 최종 타결하고 이를 확인하는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한국은 한-아세안 FTA(2007년 발효) 및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2022년 발효)을 통해 기계, 가전, 화장품, 의약품, 가공식품(라면) 등 말레이시아 시장 개방을 상당 부분 확보했으나, 말레이시아의 민감성에 따라 자동차·철강 등 일부 주력 수출 품목은 개방이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이번 양자 FTA를 통해 우리는 전체 품목의 94.8%, 말레이시아는 92.7%를 자유화하게 됐다. 특히 말레이시...
기사 본문
車·철강 시장도 개방 이재명 대통령이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우리는 보호무역주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새로운 지경학적 위기에 봉착해 있다”며 “한·아세안 협력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했다. 쿠알라룸푸르=김범준 기자 한국 정부가 말레이시아와 진행해 온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최종 타결됐다. 정부는 지난 26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FTA 협상 타결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현지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양국 간 경제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국가 중 세 번째로 큰 교역 대상국이다. 2007년 한·아세안 FTA, 2019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발효를 통해 두 국가 간 무역에서 90% 이상 품목의 관세가 철폐됐다. 여기에 양국 간 FTA가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