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따라 땅값도 미쳤다···서울 지가 3년 만에 최대 상승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서울·수도권 중심 상승세 뚜렷해 전국 평균도 1년 만에 최고 수준 고가 지역 중심으로 오름세 확산 지방은 둔화세 지속·온도차 심화 남양주왕숙 A1·A2지구 [연합뉴스] 올해 3분기 서울 지가가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수도권 전반의 오름세가 뚜렷해지며 전국 평균 지가도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지방은 상승 폭이 줄어들며 지역 간 온도차가 뚜렷했다. 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분기 전국 지가는 전분기 대비 0.58%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3분기(0.59%) 이후 1년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수도권이 0.80%, 서울이 1.07%를 기록하며 전국 평균을 끌어올렸다. 특히 서울은 2022년 2분기(1.20%) 이후 3년 1분기 만의 최고치다. 지역별로는 용산구(1.96%), 강남구(1.68%), 서초구(1.35%) 등 고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252개 시군구 중 40곳이 전국 평균(0.58%)을 웃돌았고, 199곳이 0~0.8% 구...
기사 본문
지난 2분기(0.55%) 대비 0.03%포인트 상승폭 확대 올해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국토부 제공] 올해 3분기 전국 땅값이 0.5% 상승하며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 서울 용산구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27일 발표한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3분기 전국 지가는 0.58%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 2분기 대비 0.03%포인트 올랐고,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0.01%포인트 축소됐다. 수도권은 0.74%에서 0.80%로 2분기보다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지방권은 0.22%에서 0.19%로 오히려 둔화됐다. 특히 서울은 1.07% 오르며 전국 평균(0.58%)을 웃돌았다. 전국 252개 시군구 가운데 서울 용산구(1.96%), 강남구(1.68%), 서초구(1.35%) 등 40곳이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전국 252개 시군구 중 199곳의 변동률은 0.00∼0.80% 구간에 분포했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세...
기사 본문
31개월 연속 상승…상승폭은 전기比 0.03%p↑ 서울 1.07% 올라…강남이 상승률 2위 차지 지방·인구감소지역은 둔화…격차 더 벌어져 토지거래량 6% 감소…수요 위축세 지속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2025년 3분기 전국 땅값이 평균 0.58% 오르는 등 2분기(0.55%)보다 상승폭이 커지며 오름세를 이어갔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사진=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이번 분기 지가 상승률은 0.58%로 나타났다. 작년 3분기(0.59%)보다 0.1%포인트 낮았지만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0.03%포인트 올랐다. 9월 한 달간 지가변동률은 0.20%로 8월(0.19%)보다 0.01%포인트 높았다. 전년 동월(0.19%)과 비교해도 0.01%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전국 지가는 2023년 3월 상승 전환 이후 31개월 연속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5년 7월부터는 2개월 ...
기사 본문
국토부, 지가변동률·토지거래량 발표 서울 1.07% 상승…수도권 중심 오름세 전국 지가 31개월째 상승…상승폭 확대 인구감소지역 지가변동률 0.13% 그쳐 [서울=뉴시스] 2025년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인포그래픽. (그래픽=국토교통부 제공) 2025.10.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올해 3분기(7~9월) 전국 지가(토지가격)는 0.5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용산구, 강남·서초구 등의 지가 상승폭이 높았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7일 '2025년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상승폭은 지난 2분기(0.55%) 대비 0.03%포인트(p) 확대됐으며, 작년 3분기(0.59%)와 비교해선 0.01%p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지가 변동률은 0.20%로 8월(0.19%) 및 전년동월(0.19%) 대비 0.01%p 높아졌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분기 0.7...
기사 본문
전국 땅값 31개월 연속 올라…서울 지가는 1.07% ‘쑥’ 전국 토지거래량 44만5000필지, 2분기 대비 6.0% 감소 전국 지가 변동률.ⓒ국토교통부 [데일리안 = 임정희 기자] 올해 3분기 유일하게 서울 지역의 지가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에서도 용산구가 1.96%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지가 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지가는 0.58% 상승했다. 이는 지난 2분기(0.55%) 대비 0.03%포인트(p) 확대, 지난해 3분기(0.59%) 대비 0.01%p 축소된 수치다. 월별 변동률을 살펴보면, 지난달 지가변동률은 0.20%로 1년 전 대비 0.01%p 높았다. 전국 지가는 2023년 3월 0.008%를 기록하며 상승전환한 이후 31개월 연속 올랐으며 지난 7월부터 2개월 연속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0.74%→0.80%)의 경우 지...
기사 본문
용산·강남·서초 등 상승폭 높아…전국 지가 31개월 연속↑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올 3분기 전국 땅값이 0.5%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전국 지가는 0.58% 올랐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상승폭은 2분기 대비로는 0.03%포인트 커졌고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0.01%포인트 축소됐다. 수도권(0.74%→0.80%)은 2분기 대비 상승률이 높아졌고 지방권(0.22%→0.19%)은 낮아졌다. 서울(1.07%)은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252개 시군구 중에서는 서울 용산구(1.96%), 서울 강남구(1.68%), 서울 서초구(1.35%) 등 40곳이 전국 평균을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다. 252개 시군구 중 79%(199개)는 변동률 0.00%∼0.80% 구간에 분포했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기사 본문
올 3분기 전국 땅값이 0.5%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7~9월 전국 지가는 0.58% 올랐습니다. 상승 폭은 2분기 대비 0.03%포인트 커졌고,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0.01%포인트 줄었습니다. 수도권(0.74%→0.80%)은 2분기 대비 상승률이 높아졌고 지방권(0.22%→0.19%)은 낮아졌습니다. 서울(1.07%)은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252개 시군구 중에서는 서울 용산구(1.96%), 서울 강남구(1.68%), 서울 서초구(1.35%) 등 40곳이 전국 평균을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52개 시군구 중 79%(199개)는 변동률 0.00%~0.80% 구간에 분포했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구 감소 지역으로 분류된 89개 시군구의 지가변동률은 0.13%로 비대상...
기사 본문
국토부,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조사 올해 3분기 전국 땅값이 0.58%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3년 만에 지가 상승폭이 가장 컸다. 전국에서 땅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 용산구였다. 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전국 지가는 0.58% 올랐다. 이는 전분기 대비 0.03%포인트(p) 커진 수치다.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0.01%p 축소됐다. 2025년 3분기 전국 지가 변동률 인포그래픽. /국토교통부 제공 수도권의 지가 상승률은 0.80%로 전분기(0.74%)보다 0.06%p 높아졌다. 비수도권은 상승률이 0.22%로 전분기(0.19%)보다 둔화됐다. 특히 서울은 1.07%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2022년 2분기(1.20%) 이후 3년 1개 분기 만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군구별로는 서울 용산구가 1.96%로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서울 강남구(1.68%), 서울 서초구(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