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에 약해지는 소득 사다리…10명 중 2명만 계층 상승

2025년 10월 2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8개
수집 시간: 2025-10-27 17:28:0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이데일리 2025-10-27 12:02:20 oid: 018, aid: 0006148301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2023년 소득이동통계' 2023년 소득이동성 34.1%…3년째 내리막길 소득이동성 높은 청년층 줄고 노년층 증가 소득 하위 20% 중 27.8%는 7년 지나도 제자리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고령화 여파로 우리 사회 소득 이동성이 3년 연속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상·하위 20%일수록 소득 수준을 그대로 유지한 비율이 높아졌으며, 하위 20%의 10명 중 3명은 7년째 탈출을 하지 못하기도 했다. 계층 간 사다리가 점점 약화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27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3년 소득이동통계’에 따르면 2023년 소득이동성은 34.1%로 전년(34.9%)보다 0.8%포인트 낮아졌다. 소득이동성은 소득 분위가 전년과 비교해 올라가거나 내려간 사람의 비율을 뜻한다. 이 중에서 소득분위 간 상향이동한 비율은 17.3%로, 하향 이동한 비율(16.8%)보다 높았다. 전년과 비교했을때도 하향이동이 0.5%포인트 감소하며 상...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27 16:27:08 oid: 011, aid: 0004548256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2023년 소득이동통계 소득 하위 20%인 1분위 탈출률 29.9% 5분위 유지율 85.9%···전년比 0.1%P↓ 소득이동성 3년째 둔화···23년 기준 34% 최바울 국가데이터처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이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소득이동통계 결과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우리나라 소득 하위 20%(1분위) 국민이 차상위 계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확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해 동안 소득이 늘어 계층이 상승한 국민도 10명 중 2명 선에 그쳤다. 대한민국의 계층 이동 사다리가 무너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국가데이터처는 27일 이같은 내용의 ‘2023년 소득 이동 통계’를 발표했다. 이 통계는 15세 이상 국민을 근로·사업 소득 수준에 따라 분위(계층)로 나눈 뒤 매년 계층 간 이동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농업 등 비과세소득·미신고소득과 근로·사업 소득이 아예 없는 경우는 제외된다. 이번 통계에 따르면 ...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7 17:08:36 oid: 008, aid: 0005268823
기사 본문

한국 사회의 계층이동 사다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하위층으로의 하락은 줄었지만 상위층으로의 이동도 둔화됐다. 7년째 소득 하위 20%(1분위)에 머무는 사람은 10명 중 3명이고 상위 20%(5분위)를 유지한 사람은 10명 중 6명이다. 특히 노년층·여성층의 장기 저소득 고착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추세다. 계층 이동의 관성이 멈추며 불안과 함께 희망도 줄어든 것이 한국 사회의 초상이다.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3년 소득이동통계'에 따르면 2023년 소득분위가 변동한 국민 비율은 34.1%로 전년(34.9%)보다 0.8%포인트(p) 줄었다. 소득 1분위 유지율은 70.1%로 1.0%포인트 상승했고, 탈출률은 같은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5분위 유지율은 85.9%로 가장 높았다. 하위층은 위로의 이동이 줄고, 상위층은 굳건히 자리를 지키는 가운데 중간계층(2~4분위)에서만 상하 이동이 활발했다. 소득 계층의 고착화는 장기 추적에서도 뚜렷하다. 2017년 1분위였던 사람 중 ...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7 16:13:08 oid: 016, aid: 0002548081
기사 본문

하위 20%, 10명 중 7명은 이듬해에도 ‘그대로’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한 해 동안 소득이 변동하면서 소득분위 수준이 바뀐 국민이 10명 중 2명 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간 소득 격차로 인한 계층 이동이 어려운 현상도 계속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데이터처는 2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소득이동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통계에서 소득은 개인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합을 말하며, 가구소득이나 재산·이전소득은 제외됐다. 소득 하위 분위에 속하더라도 가구 전체 소득이 높거나 다른 형태의 소득이 높을 수 있는 만큼 빈곤층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국가데이터처는 설명했다. 인파로 북적이는 서울 명동 거리. [연합] 2023년 소득분위 이동성은 전년보다 0.8%포인트 하락한 34.1%로 파악됐다. 나머지 65.9%는 전년과 같은 분위에 머물렀다. 소득이동성은 2019→2020년 35.8%, 2020→2021년 35.0%, 2021→2022년 34.9...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