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전국 땅값 0.58% 상승…서울만 전국평균 상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용산·강남·서초 등 상승폭 높아…전국 지가 31개월 연속↑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올 3분기 전국 땅값이 0.5%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전국 지가는 0.58% 올랐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상승폭은 2분기 대비로는 0.03%포인트 커졌고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0.01%포인트 축소됐다. 수도권(0.74%→0.80%)은 2분기 대비 상승률이 높아졌고 지방권(0.22%→0.19%)은 낮아졌다. 서울(1.07%)은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252개 시군구 중에서는 서울 용산구(1.96%), 서울 강남구(1.68%), 서울 서초구(1.35%) 등 40곳이 전국 평균을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다. 252개 시군구 중 79%(199개)는 변동률 0.00%∼0.80% 구간에 분포했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기사 본문
[김혜인 디지털팀 기자 haileykim0516@gmail.com] 수도권 상승폭 확대 속 지방 둔화세 뚜렷 토지 거래량은 2분기 대비 감소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올해 3분기 전국 땅값이 0.58% 상승하며 완만한 오름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폭은 2분기보다 0.03%포인트 커졌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0.01%포인트 낮았다. 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분기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수도권의 상승률은 0.80%로 2분기 대비 확대된 반면 지방권은 0.19%로 둔화됐다. 서울은 1.07% 상승하며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서울 내에서는 용산구가 1.96%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강남구(1.68%)와 서초구(1.35%)가 뒤를 이었다. 전국 252개 시·군·구 중 40곳이 평균치를 상회했으며 전체의 79%에 해당하는 199개 지역은 변동률이 0.00~0.80% 사이에...
기사 본문
31개월 연속 상승…상승폭은 전기比 0.03%p↑ 서울 1.07% 올라…강남이 상승률 2위 차지 지방·인구감소지역은 둔화…격차 더 벌어져 토지거래량 6% 감소…수요 위축세 지속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2025년 3분기 전국 땅값이 평균 0.58% 오르는 등 2분기(0.55%)보다 상승폭이 커지며 오름세를 이어갔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사진=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27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이번 분기 지가 상승률은 0.58%로 나타났다. 작년 3분기(0.59%)보다 0.1%포인트 낮았지만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0.03%포인트 올랐다. 9월 한 달간 지가변동률은 0.20%로 8월(0.19%)보다 0.01%포인트 높았다. 전년 동월(0.19%)과 비교해도 0.01%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전국 지가는 2023년 3월 상승 전환 이후 31개월 연속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5년 7월부터는 2개월 ...
기사 본문
2분기(0.55%) 대비 0.03%p 상승폭 확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땅값은 0.5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올해 3분기 전국 땅값이 0.5%대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국토교통부·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5년 3분기 지가변동률·토지거래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땅값은 0.58%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 2분기(0.55%) 대비 0.03%포인트(p) 커졌고, 지난해 3분기(0.59%) 보다는 0.01%p 축소됐다. 수도권(0.74%→0.80%)은 2분기 대비 상승률이 높아진 반면, 비수도권(0.22%→0.19%)은 낮아졌다. 17개 시·도 가운데서는 서울(1.07%)이 전국 평균(0.58%)을 웃돌았다. 올해 3분기 인구감소지역의 지가변동률은 0.13%로, 비대상지역 0.62% 대비 0.49%p 낮았다. 같은 기간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44.5만 필지(240.7㎢)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분기 대비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