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장관 “‘부산 이전’ 관련 인력 이탈 미미…연내 HMM 이전 계획 발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해수부 부산 이전으로 인한 인력 이탈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의 부산 이전 계획도 올해 안에 발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전 장관은 오늘(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부산 이전으로 인한 인력 이탈이나 행정 공백 우려가 없냐는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을 받았습니다. 이에 전 장관은 “중앙정부나 부산시 차원의 지원 대책이 나오기 전에는 (우려가) 좀 있었지만, 9월 대책 발표 이후에는 한 분도 없다”면서 “현재까지 일방 전출 인원이 2명, 1대 1 인사 교류 인원이 26명이고 대책 발표 이후에는 거의 미미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해수부 이전의 법적 근거와 직원 정주 여건 개선 등의 내용을 담은 해수부 부산 이전 특별법이 다음 달까지는 국회에서 통과돼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유관 공공기관과 HMM은 언제쯤 부산으로 이전할 계획이냐는 조 의원 질문엔 “내부 검토가 한창...
기사 본문
HMM 지배구조·이전 관련 구체적 로드맵도 연내 발표 계획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 부산 이전과 관련해 "올해 안으로 국회에 보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매각설이 돌고 있는 HMM의 지배구조, 이전과 관련한 구체적인 로드맵도 연내에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전재수 장관은 15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해수부 국정감사에서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산하 기관 이전은 언제 진행되는 것이냐"고 질의하자 "내부적으로 지금 검토가 한창 이뤄지고 있다. 올해 안에 구체적인 이전 로드맵을 국회에 보고할 것"이라고 답했다. 매각설이 돌고 있는 HMM에 대해서는 "올해 안에 구체적인 이전 로드맵을 국회에 보고하고 부산시민과 국민께 공개하는 일정이 있다"면서 "HMM의 지배구조나 매각 문제 등과 관련해 시장 불확실성이 있어 불확실성을 제거해 준다는 차원에서 가능하면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기 전에 구체적인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
기사 본문
전재수 장관, 해수부 국감서 "해수부 직원들 희생시키고 부산시장 되겠다는 것 말 안돼" "HMM 부산 이전 로드맵 올해 말 안에 발표할 것"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5일 오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부산시장 유력 예비후보로 거론되는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선거 불출마를 언급했다.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해양수산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조승환 의원은 (내년) 부산시장 출마 계획이 있는지 전재수 장관에게 물었다. 조 의원은 "결국 해수부의 부산 이전 성과를 갖고 해수부 기능 강화는 나몰라라하고 부산시장 선거에 출마하는것 아닌가 이런 여론이 있다"고 질의했다. 이에 전재수 장관은 "송구스럽습니다만 손톱 만큼도 그런 마음이 전혀 없다. 아무리 그래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통해 해수부 직원들을 희생시키고 부산시장이 되겠다는 것이 말이 되겠습니까"라고 출마할 ...
기사 본문
전 장관, 이날 국회 농해수위 국정감사 참석 "다음 달 내로 부산 이전 특별법 통과해야" 전재수 해양수산부(해수부) 장관은 15일 "올해 안에 HMM에 대한 지배구조나 (본사의) 부산 이전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HMM 본사의 부산 이전 로드맵도 연내 발표할 거냐"라고 묻자, "지배구조나 매각 문제 등 시장의 불확실성이 있다"면서도 이같이 답했다. 전 장관은 해수부의 관계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 "올 연말 안에 구체적인 로드맵을 국회에 공개하고 부산 시민과 국민에게도 공개하도록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사진=곽영래 기자] 전 장관은 해수부 부산 이전의 최종 계획 보고서가 아직 나오지 않았냐는 질의에는 "최종 보고서를 어디 제출해야 하는 명확한 법적 근거가 없고 행정안전부(행안부)에서도 불필요하다는 해석을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