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 있다? 없다?"…10·15 부동산대책 여론평가 엇갈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김혜인 디지털팀 기자 haileykim0516@gmail.com] 리얼미터 조사서 수도권·호남 '긍정', 대구·경북 '부정' 보유세 강화엔 찬반 '팽팽' 사진은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10·15 부동산대책의 단기 효과를 두고 국민 여론이 엇갈렸다. 49.8%의 국민은 부동산 안정화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평가했으나, 43.2%는 회의적인 평가를 내렸다. 27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3~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15 부동산대책이 주택가격 안정화에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49.8%로 나타났다. 반면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43.2%, 잘 모르겠다는 의견은 7.1%였다. 지역별로는 △서울 51.5% △인천·경기 54.4% △강원 54.4% △광주·전라 56.9% △제주 58.6%에서 대책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대구·경북 53.0% △부산·울산·경남 50.7%...
기사 본문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까지 기준으로 올해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이날 KB부동산이 발표한 10월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10·15 대책 발표 이전인 10월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46% 오르며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전월과 비교해 0.64%포인트 커졌고, 상승률은 올해 최고치다. 오름폭이 높은 지역은 광진구(4.46%), 강동구(4.17%), 성동구(3.95%), 마포구(2.96%), 송파구(2.68%), 동작구(2.16%), 영등포구(1.79%) 등 순이었다. 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국민 절반 가까이는 단기적인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본다는 여론조사가 27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3∼24일 만 ...
기사 본문
인천·경기도 54.4% 긍정 응답…전국 49.8% '효과 있을 것' 부동산 세제 개편엔 '동의한다' 48.9%·'동의 않는다' 41.2% 올해 최고 상승률 기록한 서울 아파트값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까지 기준으로 올해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이날 KB부동산이 발표한 10월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10·15 대책 발표 이전인 10월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46% 오르며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전월(0.82%)과 비교해 0.64%포인트 커졌고, 상승률은 올해 최고치다. 오름폭이 높은 지역은 광진구(4.46%), 강동구(4.17%), 성동구(3.95%), 마포구(2.96%), 송파구(2.68%), 동작구(2.16%), 영등포구(1.79%) 등 순이었다. 2025.10.27 dwise@yna.co.kr (서...
기사 본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국민 절반 가까이는 단기적인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27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3∼24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10·15 부동산대책이 주택 가격 안정화에 미치는 단기 효과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49.8%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43.2%, ’잘 모름‘은 7.1%로 각각 조사됐다. 지역별로 서울(51.5%)과 인천·경기(54.4%), 강원(54.4%), 광주·전라(56.9%), 제주(58.6%)에서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이 과반이었다. 반면 대구·경북(53.0%)과 부산·울산·경남(50.7%)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이번 대책에 대해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에서는 77.0%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봤으나, 보수층에서는 ‘효과가 없을 것’(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