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25, 유튜브 이어 인스타도 100만 팔로워 달성…숏폼 전략 먹혔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업계 최초 두 플랫폼 100만 팬덤 형성 숏폼 중심 소통형 콘텐츠 강화···1020 참여유도 100만 달성 기념 'BAG만 채워' 이벤트 진행 GS25가 업계 최초로 유튜브에 이어 인스타까지 100만 팔로워를 돌파했다. 사진 제공=GS리테 [서울경제]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업계 최초로 유튜브·인스타그램 두 플랫폼에서 각각 100만 팬덤을 형성했다고 27일 밝혔다. 숏폼 중심의 소통형 콘텐츠 강화로 1020 참여를 유도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GS25는 이달 24일 인스타그램 팔로워 100만 명을 돌파했다. 2019년 4월 인스타그램을 개설한 이래 약 5년 6개월 만이다. 앞서 2022년 8월 유튜브 구독자 100만 명을 달성한 데 이어 SNS 주요 채널 양대 축에서 모두 100만 팬덤을 구축한 것은 업계 최초다. GS25 인스타그램은 2021년 통합 마케팅 조직 신설과 함께 ‘재미상점’ 이라는 타이틀로 개편 후 △2022년 74만 9000명 △2023년 80만 300...
기사 본문
편의점 GS25가 업계 최초로 유튜브에 이어 인스타까지 100만 팔로워를 돌파했다. /사진제공=GS리테일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업계 최초로 유튜브·인스타그램 두 플랫폼에서 모두 100만 팬덤을 달성했다. 최근 잇따라 선보인 '숏품(짧은 동영상)' 콘텐츠가 인기를 끌면서다. GS25는 인스타그램을 개설한 이래 5년 6개월 만인 지난 24일 팔로워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2022년 8월 유튜브 구독자 100만 명을 달성한 데 이어 SNS(사회관계서비스망) 양대 채널에서 모두 '100만 팔로어'를 달성한 것. 특히 GS25 인스타그램은 2021년 통합 마케팅 조직 신설과 함께 "재미상점" 이라는 타이틀로 개편 후 빠르게 팔로워 60만명을 넘어섰고 이후 매년 꾸준히 성장하며 올해 마침내 100만명 고지를 넘었다. 현재까지 누적 게시물 수는 약 1만 건에 달하며 일상 속 GS25를 담은 콘텐츠가 자연스럽게 고객과 소통하는 채널로 자리 잡았다. GS25는...
기사 본문
사진=GS25 제공 편의점 GS25가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 각각 100만 구독자를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GS25는 2019년 4월 인스타그램 계정을 만든 뒤 약 5년 6개월 만인 지난 24일 구독자 100만명을 돌파했다. 2022년 8월에는 유튜브 구독자 100만명을 기록하기도 했다. GS25에 따르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양대 축인 두 채널에서 모두 ‘100만 팬덤’을 구축한 건 업계 최초다. 회사는 기존 일방향 콘텐츠에서 벗어나 고객이 자발적으로 공유하고 대화할 수 있는 ‘릴스(Reels) 우선’ 숏폼 콘텐츠 전략을 강화한 게 인기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GS25는 향후 SNS 채널을 ‘BIG 팬덤 놀이터’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 중심의 콘텐츠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참여형 캠페인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정표 GS리테일 마케팅부문장은 “앞으로도 고객 팬덤이 직접 참여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
기사 본문
숏폼 중심 소통형 콘텐츠 강화 전략 1020세대 공감·참여 이끌어내 달성 기념 오프라인 이벤트 진행 [이데일리 김지우 기자] GS리테일(007070)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업계 최초로 유튜브·인스타그램 두 플랫폼에서 모두 100만 팬덤을 형성했다. ‘소통형 브랜드’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GS25가 업계 최초로 유튜브에 이어 인스타까지 100만 팔로워를 돌파했다. (사진=GS리테일) GS25는 지난 24일 팔로워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2019년 4월 인스타그램을 개설한 이래 약 5년 6개월 만이다. 앞서 2022년 8월 유튜브 구독자 100만 명을 달성한 데 이어 SNS 주요 채널 양대 축에서 모두 ‘100만 팬덤’을 구축한 것은 업계에서 드문 사례다. GS25 인스타그램은 2021년 통합 마케팅 조직 신설과 함께 ‘재미상점’ 이라는 타이틀로 개편했다. 이후 △2022년 74만 9000명 △2023년 80만 3000명 △2024년 84만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