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4곳, 이자만 14.5억 지급…'캄보디아 범죄 배후' 프린스그룹 자금 911억 동결[2025국감]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캄보디아 프놈펜에 프린스그룹 본사 건물에 위치한 프린스은행. 연합뉴스 국내 은행의 캄보디아 현지 법인들이 '캄보디아 범죄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 그룹에 지급한 이자만 14억5000만원에 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은행은 프린스 그룹과의 거래 규모가 가장 컸으며 가상자산 자금 세탁 의혹을 받는 후이원 그룹과도 유일하게 거래한 은행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은 프린스 그룹에 예금 이자로 총 14억5400만원을 지급했다. 전북은행이 7억87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민은행(6억7300만원), 신한은행(6100만원), 우리은행(1100만원) 등 순이었다. 이 은행들에는 프린스 그룹 자금 911억7500만원이 예치돼 있으며, 국제 제재에 따라 은행들이 이를 자체 동결한 상태다. 프린스 그룹과 국내 은행 간 거래 금액도 당초 금감원에서 파악한 수준(1970억4500...
기사 본문
연합뉴스 [서울경제] 국내 은행들의 캄보디아 현지 법인들이 '캄보디아 범죄 배후'로 지목돼 국제 제재 대상에 오른 프린스그룹(Prince Group)에 지급한 예금 이자만 14억 54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은 프린스그룹에 각각 7억870만 원, 6억7300만 원, 6100만 원, 1100만 원의 이자를 지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전북은행은 프린스그룹과의 거래 규모가 가장 클 뿐 아니라, 가상화폐를 이용한 자금 세탁 의혹을 받는 후이원그룹(Huione Group)과도 국내 은행 중 유일하게 거래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이들 은행에는 프린스그룹 자금이 911억 7500만 원 예치돼 있으며 국제 제재에 따라 자체 동결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프린스그룹과 국내 은행 간 거래 금액 역시 기존 1970억 4500만 원에서 21...
기사 본문
국내서 부동산 전문 인력 채용공고 면접자 “회사 이름 나중에야 오픈”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 범죄단지의 배후로 의심받는 프린스그룹이 국내 부동산 관련 채용 공고를 내면서 7년 이상의 부동산 실무 경력을 요구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면접자들에게는 회사 이름을 숨기려 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프린스그룹의 부동산 계열사인 프린스 리얼이스테이트그룹은 올 상반기 국내 채용 사이트에 외국계 부동산개발회사 한국연락사무소 영업총괄 채용공고를 게시했다. 해당 공고에는 한국 시장 개척 및 확장, 한국 지사 관리 등이 주요 담당 업무로 명시됐다. 현재는 채용 공고가 삭제된 상태다. 자격 요건으로는 7년 이상 부동산 관련 회사 마케팅 및 영업 실무 경력을 제시했다. 이는 캄보디아 범죄조직이 월 2000만원 보장 등 고액 아르바이트를 미끼로 텔레마케팅 등의 업무를 제시했던 것과는 다르다. 단순 인력 모집을 넘어 국내외 부동산 경력을 요구하는 등 전문 인력까지 포섭하려 한 것 아...
기사 본문
전북은행 거래금액 1천252억원 달해…후이원 당좌예금도 발견 강민국 "코인거래소와 인증 제휴 은행, 검은돈 세탁 조사해야" 국내 은행 현지법인에 프린스 자금 912억 (프놈펜=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인신매매와 감금 등 범죄 혐의로 국제사회의 제재 대상에 오른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의 자금 912억원이 국내 금융사의 캄보디아 현지법인 계좌에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21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시내의 한 국내 은행의 현지법인 지점들. 2025.10.21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국내 은행의 캄보디아 현지법인들이 '캄보디아 범죄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 그룹(Prince Group)에 지급한 이자만 14억5천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행은 프린스그룹과의 거래 규모가 가장 클 뿐 아니라, 가상자산 자금 세탁 의혹을 받는 후이원 그룹(Huione Group)과도 유일하게 거래한 은행으로 나타났다. 27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
기사 본문
범죄조직 돈세탁 이용 가능성 캄보디아 범죄 단지의 배후 세력으로 알려진 ‘프린스 그룹’(Prince Group)에 국내 은행 캄보디아 현지 법인들이 지급한 이자가 14억 원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1년 사이 한국과 캄보디아 간의 가상자산 송금액도 폭증했다. 캄보디아 조직들의 불법 자금 세탁과 연관이 있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캄보디아 범죄 배후에 韓은행 14억 이자 지급 강민국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 2025.03.19. 서울=뉴시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우리, 전북 등 4개 은행은 프린스 그룹에 예금 이자로 총 14억5400만 원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행이 7억870만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KB국민(6억7300만 원), 신한(6100만 원), 우리(1100만 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현재 이들 은행에는 프린스 그룹 자금 911억7500만 원이 예치돼 ...
기사 본문
범죄 배후 지목된 프린스 그룹과 거래 "금융위, 금융 거래 제재 대상자 지정해야" 캄보디아 프놈펜 시내의 한 국내 은행의 현지법인 지점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국내 은행의 캄보디아 현지법인들이 '캄보디아 범죄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 그룹(Prince Group)에 지급한 이자만 14억5000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행은 프린스그룹과의 거래 규모가 가장 클 뿐 아니라, 가상자산 자금 세탁 의혹을 받는 후이원 그룹(Huione Group)과도 유일하게 거래한 은행으로 나타났다. 27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은 프린스 그룹에 예금 이자로 총 14억5400만원을 지급했다. 전북은행이 7억87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민은행(6억7300만원) ▲신한은행(6100만원) ▲우리은행(1100만원) 등 순이었다. 현재 이들 은행에는 프린스 그룹 자금 911억7500만원이 ...
기사 본문
프린스 그룹, 전북·KB국민·신한·우리에 정기예금 예치…코인거래소 입출금 은행도 강민국 "검은 돈 자금세탁 있었는지 철저히 검사해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의, 담당 수사관 등이 탑승한 차량이 20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턱틀라사원에서 지난 8월 보코산 지역의 온라인스캠범죄단지에 감금돼 고문 끝에 숨진 대학생 박모씨의 시신을 부검하기 위해 안치실로 들어서고 있다. 2025.10.20/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서울=뉴스1) 서상혁 기자 = 국내 대형 은행이 캄보디아 한국인 상대 범죄 배후로 지목되는 프린스 그룹과 후이원 그룹에 14억원이 넘는 이자를 지급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업체와 국내 은행 간 금융거래 규모만 2146억 원이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금융업권 캄보디아 프린스 및 후이원그룹 거래 내역'에 따르면 올 9월 말까지 5개 은행이 프린스 그룹, 1개 은행이 후이원 그룹과 금융 거래가 있...
기사 본문
전북은행 거래 금액 1252억원 달해 가상자산 자금 세탁 의혹 후이원 당좌예금도 발견 ▲ 인신매매와 감금 등 범죄 혐의로 국제사회의 제재 대상에 오른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의 자금 912억원이 국내 금융사의 캄보디아 현지법인 계좌에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21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시내의 한 국내 은행의 현지법인 지점들. 연합뉴스 국내 은행들이 캄보디아 범죄 조직의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Prince Group)에 지급한 예금 이자만 14억5000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은행은 가상자산 자금 세탁 의혹을 받는 후이원그룹(Huione Group)과도 거래한 사실이 확인돼 금융당국의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7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은 프린스그룹에 총 14억5400만원의 예금 이자를 지급했다. 은행별로는 전북은행 7억870만원, 국민은행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