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전국 아파트 2.2만가구 '집들이'…서울, 월별 기준 '최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청담르엘·래미안원페를라 등 서울 7242가구 입주 ⓒ 뉴시스 [데일리안 = 배수람 기자] 연말이 다가오며 아파트 입주물량이 풍성해지고 있다. 27일 직방에 따르면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2만2203가구로, 전월 대비 약 2배 증가할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24개 단지가 입주하며, 수도권에선 11개 단지의 아파트 집들이가 시작된다. 최근 4개월간 월평균 1만3000여가구 수준의 입주가 이어졌던 데 비해, 11~12월에는 각각 2만 가구 이상 입주예정이다. 한동안 부족했던 공급 여건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권 입주물량은 1만3321가구로 전월(1514가구)보다 약 9배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은 7242가구가 입주를 앞두며 올해 월별 기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강남 '청담르엘', 서초 '래미안원페를라' 등 대단지 입주가 서울 물량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청담르엘은 지난 9월 전용 84㎡ 입주권이 61억5000만원에 거래 돼, 입주 후 시세 흐름에도 관심이 쏠린다....
기사 본문
서울 새 아파트만 7242가구 월별 기준 올해 최고 청담르엘 아파트 투시도 [자료출처=롯데건설] 다음 달 수도권에서만 2만 가구가 넘는 입주 물량이 쏟아진다. 최근 부족했던 수도권 공급 여견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27일 직방에 따르면 다음 달 수도권 입주 물령은 1만3321가구로 전월(1514가구)보다 약 9배 많다. 지난 7월 이후 4개월 만에 입주 물량이 1만 가구를 넘어서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서울(7242가구)의 경우 올해 월별 기준 입주 물량이 가장 많다. 12월 입주 예정 물량도 4583가구로 11월 물량의 60% 수준이다. 서울 강남구의 ‘청담르엘’과 서초구의 ‘래미안 원페를라’ 등 대단지 입주가 서울 물량 증가를 견인했다. 경기(5030가구)와 인천(1049가구)에서는 광명과 검단 등에서 대규모 입주가 이뤄진다. 반면 지방 입주 물량은 전월보다 10% 감소한 8882가구가 입주한다. 충북(4010가구) 충남(1474가구) 대구(1204가구) 경북(975가구) 대...
기사 본문
다음달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2만가구를 넘어 전월의 약 2배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7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24개 단지에 2만2천203가구로 전월(1만1천357가구)보다 1만846가구 늘었습니다. 수도권 물량이 전체의 60%인 1만3천321가구(11개 단지)로, 전월(1천514가구)의 약 9배로 증가했습니다. 서울은 5개 단지·7천242가구가 입주해 올해 월별 기준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강남구 청담르엘(1천261가구), 서초구 래미안원페를라(1천97가구), 동대문구 이문아이파크자이(4천321가구) 등 정비사업 대단지 입주가 서울 전체 물량 증가를 견인했습니다. 청담르엘은 지난 9월 전용면적 84㎡ 입주권이 61억5천만원에 거래돼 입주 후 시세도 관심 대상입니다. 경기도(5천30가구)와 인천(1천49가구)에서는 광명, 검단 등에서 대규모 입주가 진행됩니다. 지방에서는 전월 대비 약 10% 감소한 8천882가구가 입주합니...
기사 본문
청담르엘 입주권 61.5억에 거래···시세 관심 서초 래미안원페를라·이문아이파크자이 등 월별 입주 물량 그래프. 사진 제공=직방 [서울경제] 다음 달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전월 대비 약 2배 증가한 2만 가구 수준으로 집계됐다. 27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24개 단지에 2만2203가구로 전월(1만 1357가구)보다 1만 846가구 늘었다. 수도권 물량이 전체의 60%인 1만 3321가구(11개 단지)로, 전월(1514가구)의 약 9배로 증가했다. 서울은 5개 단지·7242가구가 입주해 올해 월별 기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강남구 청담르엘(1261가구) △서초구 래미안원페를라(1097가구) △동대문구 이문아이파크자이(4321가구) 등 정비사업 대단지 입주가 서울 전체 물량 증가를 견인했다. 청담르엘은 지난달 전용면적 84㎡ 입주권이 61억 5000만 원에 거래돼 입주 후 시세도 관심 대상이다. 경기도(5030가구)와 인천(1049가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