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째 평행선…트럼프 오면 3500억달러 관세협상 타결될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불확실성 증폭에 환율 급등 타결돼도 2차 충격 우려 있어 3개월째 평행선을 이어오고 있는 3500억달러(약 504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을 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이 분수령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방한이 한국 경제에는 1차 갈림길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9~30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한다. 한미 양국 정부 관계자는 이 때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해서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대미 투자 펀드는 상호관세율을 낮추기 위한 핵심이다. 한미는 지난 7월 31일 미국이 한국의 상품 전반에 적용키로 한 상호관세율 25%를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문제는 이 펀드의 규모와 구성 등을 두고 양국간 입장차가 크다. 때문에 관련 협상 타결 가능성이 불투명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액 직접 투자, 즉 선불을 요구했지만 우리...
기사 본문
3개월 평행선…상호관세 25→15% 인하 분수령 불확실성 증폭에 환율 뛰며 487조→504조원으로 늘어 타결돼도 품목별 관세·환율 불안 등 변수…2차 충격 우려도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안채원 송정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한미 양국이 3천500억달러(약 504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을 두고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전액 현금 선불 투자'를 주장한 트럼프 대통령과 현실적으로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신용 보증과 장기간 '할부'가 불가피하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 사이에서 절충점이 도출될 것이라는 기대가 일단은 우세한 상황이다. 다만 3개월간 평행선을 이어온 양측이 큰 틀에서 의견을 모으더라도 이후에 세부 항목을 두고 다시 불확실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또, 이번 협상은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 위한 필...
기사 본문
트럼프 '선불투자' vs 한국 "장기분납 아니면 불가" 3개월 평행선…상호관세 25→15% 인하 분수령 3500억 달러 펀드, 환율 뛰며 504조 원으로 불어나 타결돼도 품목별 관세·환율불안 등 2차 충격 우려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도하에서 열린 에어포스원에서 카타르의 총리 겸 외무장관과의 회담 후 언론과 대화하고 있다. AFP 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9~30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하는 것을 계기로 한미 양국이 이견을 보여온 3500억 달러(약 504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을 두고 합의안을 도출할 지 주목된다. 현재로선 절충안 도출에 대한 기대감이 일단 우세하지만, 3개월간 평행선을 이어온 양측이 큰 틀에서 의견을 모으더라도 이후에 세부 항목을 두고 다시 불확실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특히 또, 이번 협상은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 위한 필요 조건일 뿐이며, ...
기사 본문
트럼프 APEC 방한 맞춰 대미투자 패키지 최종 조율 관측 트럼프 '성과 압박' vs 韓정부 '시장 안정' 기조 정면 충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카타르에서 말레이시아로 쿠알룸푸르 향하는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한미 양국이 3500억 달러(약 504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협상에서 최종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협상 결과는 단순한 투자 합의 여부를 넘어 한국 경제의 외환 안정성과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크다는 점에서 '운명의 한 주'라는 평가가 나온다. 협상의 핵심 쟁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해온 '전액 현금 선불 투자'와, 한국 정부가 현실적 여건을 고려해 제시한 '장기간 분할 투자와 신용 보증 병행' 방안 사이에서 어느 정도 절충점을 도출하느냐다. 전문가들은 큰 틀에서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