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 캄보디아 납치 피해자 긴급 지원‥금융권 첫 대응체계 가동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핵심요약 귀국부터 심리치료까지, 1억원 긴급지원 착수 취업사기·고액 아르바이트 경고 홍보물 배포 BNK금융그룹 제공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과 관련해 BNK금융그룹이 피해자 보호와 조기 송환을 위한 긴급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즉시 시행에 들어갔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정부가 캄보디아 현지 사건 대응을 위한 가용 자원 총동원을 지시한 가운데, BNK금융그룹이 금융권에서는 처음으로 그룹 차원의 전방위적 지원에 나선 사례다. BNK금융은 프놈펜에 있는 현지 법인 BNK캐피탈 캄보디아 임직원을 중심으로,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영사관, 한인회 등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한다. 피해자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대응망을 가동 중이다. BNK캐피탈은 약 1억 원 규모의 긴급 예산을 편성했다. 이 예산은 피해자의 귀국 항공료와 숙박비, 현지 구조 활동을 위한 차량 렌트비, 유류비, 통역비 등에 사용된다. 귀국 이후에는...
기사 본문
생산적금융협의회 14일 출범 AI·데이터 분석으로 기업 발굴 방산 등 지역특화산업 육성해 고부가가치 미래산업 재편지원 금리·상환방식은 고객이 결정 금융 취약계층 등 핀셋 지원도 BNK금융그룹 임직원 600여 명이 지난달 해운대구에 있는 반송큰시장을 방문해 명절 음식과 생필품을 구매하며 경기 침체와 고객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상인들을 응원했다. BNK BNK금융그룹이 정부의 '생산적 금융' 기조에 맞춰 21조원의 자금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지원한다. 생산적 금융은 금융 자원을 미래 성장산업, 혁신기업, 사회적 가치 창출 등 실물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분야에 집중 투입하는 정책을 의미한다. BNK는 14일 그룹 경영진으로 구성된 생산적금융협의회를 출범하고 생산적 금융을 확대하기 위한 지역 금융의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지역 균형 발전 정부 정책과 BNK의 생산적 금융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신설됐다. BNK는 지역 균형 성장을 위한 생산적 금융에 20조원,...
기사 본문
BNK금융 "정부정책과 시너지" 생산적금융 그룹 컨트롤타워 신설 동남투자공사 손잡고 투자처 발굴 포용금융 1조 규모…AI활용 추진 지역특화금융그룹으로 입지 공고 BNK금융그룹이 14일 정부의 생산적금융 정책에 발맞춰 '생산적금융협의회'를 출범하고, 지역금융의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BNK금융그룹 제공 BNK금융그룹은 14일 정부의 생산적금융 정책에 발맞춰 '생산적금융협의회'를 출범하고, 부산·울산·경남 생산적금융 확대를 위한 지역금융의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룹 경영진으로 구성된 생산적금융협의회는 지역균형발전 정부정책과 'BNK부울경지역형 생산적금융'의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신설된 협의체다. 앞으로 그룹 생산적금융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균형성장을 위한 생산적금융에 20조원,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포용금융에 1조원 등 내년 한 해 21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한다. 생산적금융 분야에선 동남투자공사 설립, 해수부 이전, 지역에 본사를...
기사 본문
부산 본사 금융그룹, 해외 안전 대응 나서며 "생명보호는 사회적 책무" 강조 부산의 대표 금융그룹인 BNK금융이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과 관련해 피해자 구조 및 귀국 지원에 직접 나섰다. 금융권 중 최초로 현지 대응망을 가동하며 국민 안전 보호에 나선 것이다. 15일 BNK금융그룹은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납치 사건과 관련해 그룹 차원의 긴급 대응 체계를 즉시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정부가 해외 범죄 피해자에 대한 총력 대응을 지시한 뒤 민간 부문에서도 가장 신속하게 이뤄진 사례다. ▲BNK부산은행 본점 전경.ⓒ프레시안 BNK는 현지법인 BNK캐피탈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 영사관, 한인회와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현지 상황 파악과 구조 지원을 위한 연락망을 상시 가동하고 있으며 의심 지역 정보와 구조 지원 자원을 실시간 공유하고 있다. BNK캐피탈은 약 1억원 규모의 긴급 예산을 투입해 피해자 귀국 항공료와 숙박비, 현지 구조 활동에 필요한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