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방한 앞두고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막판 줄다리기…한미 절충안 주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韓 "현금 일시투자 불가능"…美 "전액 직접투자" 요구 상호관세 15% 인하 앞두고 환율 불안·품목별 관세 우려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에 따른 한미 무역협상의 최종 타결이 가시권에 들어온 양상이다. 대미 투자 구성·방식과 한미 통화 스와프 등 외환시장 안전장치에 대한 양측의 이견이 일정 부분 좁혀진 듯한 신호가 잇따르면서 가까운 시일 내 타결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15일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 약속과 관련한 이견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연합뉴스 특파원의 질문에 "난 이견들이 해소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답했다. 사진은 16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뒤로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30일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을 계기로 한미 양국이 3천500억달러 규모 ...
기사 본문
3개월 평행선…상호관세 25→15% 인하 분수령 불확실성 증폭에 환율 뛰며 487조→504조원으로 늘어 타결돼도 품목별 관세·환율 불안 등 변수…2차 충격 우려도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안채원 송정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한미 양국이 3천500억달러(약 504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을 두고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전액 현금 선불 투자'를 주장한 트럼프 대통령과 현실적으로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신용 보증과 장기간 '할부'가 불가피하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 사이에서 절충점이 도출될 것이라는 기대가 일단은 우세한 상황이다. 다만 3개월간 평행선을 이어온 양측이 큰 틀에서 의견을 모으더라도 이후에 세부 항목을 두고 다시 불확실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또, 이번 협상은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 위한 필...
기사 본문
트럼프 '선불투자' vs 한국 "장기분납 아니면 불가" 3개월 평행선…상호관세 25→15% 인하 분수령 3500억 달러 펀드, 환율 뛰며 504조 원으로 불어나 타결돼도 품목별 관세·환율불안 등 2차 충격 우려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도하에서 열린 에어포스원에서 카타르의 총리 겸 외무장관과의 회담 후 언론과 대화하고 있다. AFP 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9~30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하는 것을 계기로 한미 양국이 이견을 보여온 3500억 달러(약 504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을 두고 합의안을 도출할 지 주목된다. 현재로선 절충안 도출에 대한 기대감이 일단 우세하지만, 3개월간 평행선을 이어온 양측이 큰 틀에서 의견을 모으더라도 이후에 세부 항목을 두고 다시 불확실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특히 또, 이번 협상은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 위한 필요 조건일 뿐이며, ...
기사 본문
트럼프, 오는 29~30일 방한전 한미정상 나란히 말레이 APEC 참석 APEC 경주 정상회의전 관세협상 물밑조율 한창 유력 불확실성 증폭에 환율 뛰며 487조→504조원으로 늘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EPA]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이번주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이 3500억달러(약 504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에 대해 최종 합의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나란히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체류 중 이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말레이시아 일정을 끝내고 일본으로 이동한 후 오는 29~30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경주 정상회의 참석차 우리나라를 찾는다. 26일 관가 등에 따르면 한미 양국 정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방한에 맞춰서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해서 합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기대를 비춘 상태다. 대미 투자 펀드는 상호관세율을 낮추기 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