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고 급증해도 은행 성과급 '펑펑'

2025년 10월 2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4개
수집 시간: 2025-10-27 02:05:0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5개

한국경제 2025-10-26 09:48:15 oid: 015, aid: 0005201890
기사 본문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실 분석 서울 시내 설치된 ATM기기. 사진=연합뉴스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융사고가 터지는 상황에서도 임원들의 성과급을 늘렸다. 사상 최대 이익을 누리면서 사고로 인한 손실은 사회에 전가한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원, 1인당 3억1521만원으로 집계됐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임원 성과급은 총 89억원, 1인당 1억2040만원이었다. 2023년(총 48억원, 1인당 7120만원) 대비 약 두 배로 늘었다. 신한은행 전체 임직원 성과급은 1480억원으로 같은 기간 3% 증가했다. 은행의 성과급은 늘어나는 동안 금융사고는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이헌승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1∼8월 4대 시중은행의 금융사고 건수는 74건, 사고 금액은 197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62건·1368억원)보다 각각 19.4%, ...

전체 기사 읽기

부산일보 2025-10-26 12:52:12 oid: 082, aid: 0001350506
기사 본문

금융사고액 작년보다 44%↑ 임원 1인 평균 3억 원 넘기도 당국 ‘퇴직 후에도 성과급 환수’ 추진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융사고 급증에도 불구하고 임원들의 성과급을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시내 시중은행의 모습. 연합뉴스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융사고 급증에도 불구하고 임원들의 성과급을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사상 최대 이익의 과실을 본인들만 누리고, 사고로 인한 손실을 사회에 전가한다는 비판이 커지자 금융당국은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착수했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 원, 1인당 3억 1521만 원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 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 원, 1인당 2억 2131만 원)에 비해서도 규모가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임원 성과급도 총 89억 원, 1인당 1억 2040만 원으로, 20...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6 05:49:01 oid: 001, aid: 0015700656
기사 본문

금융사고액 작년보다 44% 늘어…당국 '퇴직 후에도 성과급 환수' 추진 금리하락기에도 이자장사는 호황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국내 주요 금융그룹들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많게는 4조원이 넘는 '역대급' 순이익을 거뒀다. 사진은 27일 서울시내 현금인출기. 2024.10.27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강수련 기자 =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융사고 급증에 아랑곳하지 않고 임원들의 성과급을 늘려서 지난해 1인당 평균 3억원이 넘은 곳도 등장했다. 은행들이 사상 최대 이익의 과실을 누리고 사고로 인한 손실은 사회에 전가한다는 비판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착수했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원, 1인당 3억1천521만원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원,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6 05:49:04 oid: 001, aid: 0015700657
기사 본문

기존 조항 모호, 작년 환수 9천만원 그쳐…'클로백' 도입 논의 본격화 성과보수 이연기간 더 늘리고 '수익성' 위주 성과지표도 다변화할 듯 서울 시내의 ATM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금융사 임원이 회사에 손해를 끼쳤을 때 이미 지급된 성과급까지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금융당국이 성과보수 체계 개선에 나선다. '소비자 보호'를 핵심 과제로 내세운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국정감사에서 성과평가 체계를 전면 개선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보수환수 제도(클로백·clawback)' 도입 논의가 다시 화두에 오를 전망이다. 26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전 금융권의 성과보수 체계를 점검한 결과를 토대로 경영진이 회사에 손실을 입히거나 금융사고를 낸 경우 이미 지급된 성과급을 회수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지배구조법에 성과보수의 이연 지급 및 환수 관련 내용이 어느 정도 담겨있지만, 성과급을 일시 ...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0-27 03:06:44 oid: 020, aid: 0003669916
기사 본문

4대 은행, 작년 74건에 1972억 사고 최근 9년간 단 한건도 제재 안 받아 금감원 “수령한 성과급 환수 검토”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2025.08.21. 뉴시스 시중은행 금융사고가 늘어나는 가운데 임원들의 성과급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사고를 낸 금융사 임원이 이미 수령한 성과급을 회수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이 금감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KB국민은행의 임원 성과급은 142억 원으로 2023년(91억 원) 대비 56.0% 늘었다. 1인당 평균 수령액은 3억1521만 원 정도인데, 국민은행 임원 1인당 성과급이 3억 원을 뛰어넘은 건 최근 5년 사이 처음이다. 하나은행의 작년 임원 성과급도 89억 원으로 2023년(48억 원)보다 85.4% 증가했다. 문제는 금융사고가 계속해서 증가 추세라는 점이다. 올 1∼8월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금융...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26 10:04:14 oid: 119, aid: 0003016597
기사 본문

지난해 국민은행 성과급 142억원…전년도 比 51억원 증가 하나·신한·우리도 성과급↑…금융사고는 오히려 증가세 올해 4대 시중은행 금융사고 74건…사고금액은 1972억원 주요 시중은행들 임원 성과급이 지난해 1인당 평균 3억원이 넘은 곳도 등장했다.ⓒ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박상우 기자] 시중은행 임원들의 성과급이 일제히 늘어난 가운데 금융사고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둔 은행들이 사고 손실의 책임은 외면한다는 비판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나섰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들에게 지급된 성과급은 총 142억원으로, 1인당 평균 3억1521만원에 달했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원, 1인당 2억2131만원)에 비해서도 규모가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 임원들의 지난해 성과급...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26 15:35:00 oid: 032, aid: 0003404423
기사 본문

금융당국, 성과보수 체계 개편 검토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경리단길에 시중은행 ATM이 모여 있다. 성동훈 기자 금융사고가 증가세를 보이는데도 주요 시중은행 임원들은 지난해 ‘억대 성과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금융회사 임원이 회사에 끼친 손해에 책임을 지는 방향으로 성과보수 체계 개편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성과급 자료를 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원으로 1인당 3억1521만원이었다. 성과급 총액과 1인당 액수 모두 2023년(총 91억원·1인당 2억2131만원)과 비교해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임원 성과급은 총 89억원으로 1인당 1억2040만원을 기록해 2023년(총 48억원·1인당 7120만원)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지난해 전체 임직원 성과급은 각각 1480억원, 1077억원으로 ...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6 14:20:18 oid: 016, aid: 0002547404
기사 본문

금융사고액 지난해 대비 44% 늘어 당국 ‘퇴직 후에도 성과급 환수’ 추진 시중은행들의 현금자동인출기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융사고 급증에 아랑곳하지 않고 임원들의 성과급을 늘려서 지난해 1인당 평균 3억원이 넘은 곳도 등장한 것으로 파악됐다. 은행들이 사상 최대 이익의 과실을 누리고 사고로 인한 손실은 사회에 전가한다는 비판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착수했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원, 1인당 3억1521만원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원·1인당 2억2131만원)에 비해서도 규모가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임원 성과급도 총 89억원·1인당 1억2040만원으로, 2023년(총 48억원·1인당 7120만원) 대비 약 두 배로 늘었다...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27 05:02:14 oid: 022, aid: 0004077788
기사 본문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융사고 급증에도 임원들의 성과급을 늘려 지난해 1인당 평균 3억원을 넘긴 곳까지 나왔다. 은행이 이익의 과실을 누리고 사고의 책임은 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성과보수체계 개편에 나섰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은 총 142억원, 1인당 3억1521만원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원, 1인당 2억2131만원)에 비해서도 규모가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임원 성과급도 총 89억원, 1인당 1억2040만원으로, 2023년(총 48억원, 1인당 7120만원) 대비 약 두 배 늘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전체 임직원 성과급이 각각 1480억원, 1077억원 수준이었다. 신한은행은 2023년에 비해 3%가량 증가했고, 우리은행은 33% 줄었다. 은행의 성과급이 늘어나는 동안 금...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6 15:00:23 oid: 003, aid: 0013558272
기사 본문

지난해 KB국민은행 임원 성과급 3억 넘어서 은행권 '보수환수제' 도입 임박 금감원장 "성과급 평가후 환원 시스템 보완"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DB) 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권안나 기자 = 주요 시중은행 임원들의 성과급은 늘어났지만 증가한 금융사고로 인한 손실은 사회에 전가한다는 비판이 거세지면서, 금융당국이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나설 방침이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 1인당 평균 3억1521만원의 성과급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성과급 총 지급액은 142억원을 기록했다.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이 3억원을 넘어선 건 최근 5년 사이 처음이다. 지난 2023년 1인당 성과급 2억2131만원 대비 42.4% 급증했다. 하나...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26 09:01:25 oid: 029, aid: 0002989173
기사 본문

지난해 KB국민은행의 임원 성과급이 1인당 평균 3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도 임원 성과급이 1년 새 약 두배로 늘었다. 은행들이 이른바 '이자장사'를 통해 사상 최대 이익의 과실을 누리고 사고로 인한 손실은 사회에 전가한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착수했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원, 1인당 3억1521만원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원, 1인당 2억2131만원)에 비해서도 규모가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도 지난해 임원 성과급이 총 89억원, 1인당 1억2040만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총 48억원, 1인당 7120만원) 대비 거의 배가 뛰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전체 임직원 성과급이 각각 1480억원, 177억원 수준이었다. 신한은행은...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0-27 11:58:18 oid: 023, aid: 0003937045
기사 본문

“가상자산 범죄 차단 위해 선제적 계좌 차단 제도 도입도”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종합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금융 사고가 발생하면 금융사 책임자가 받았던 성과급을 환수하는 ‘보수 환수 제도(클로백·clawback)’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7일 이 위원장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금융 사고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주요 시중은행 임원들의 성과급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는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 위원장은 “시중은행을 시작으로 책무구조도를 도입해 내부 통제 책임을 명확히 하고, 성과급 등 측면에서 단기 수익 추구가 일어나지 않도록 여러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 금융 사고 건수는 74건으로, 작년 전체 건수(62건)보다 19.4% 늘었다. 사고 금액도 1368억원에서 1972억원으로 44.2%...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27 11:48:16 oid: 119, aid: 0003016988
기사 본문

사고 늘어도 임원 성과급↑… 도덕적 해이 지적 이억원 “클로백 도입 검토, 보수체계 손질”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7일 금융사고 발생 시 금융사 임원의 성과급을 환수하는 ‘보수환수제도(클로백·clawback)’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데일리안 = 손지연 기자]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7일 금융사고 발생 시 금융사 임원의 성과급을 환수하는 ‘보수환수제도(클로백·clawback)’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은행들의 금융사고 건수와 액수가 증가하는데 임원들의 성과급이 증가하고 있다며 도덕적 해이를 지적하는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클로백 등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클로백은 회사에 손실을 입히거나 비윤리적인 행동으로 회사의 명예를 실추시킨 임직원의 성과급을 삭감 또는 환수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 관련기사 보기 금감원, 성과 보수체계 개선 검토…금융사 임원 사고·손실내면 ‘성과급 환수’ ...

전체 기사 읽기

SBS 2025-10-27 09:06:12 oid: 055, aid: 0001302996
기사 본문

<앵커> 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시중은행들의 금융 사고는 늘었는데 임원들 성과급은 오히려 늘었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금융사고는 40% 넘게 늘었는데 임원 성과급은 은행별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곳도 있었습니다. 작년 국민은행 임원의 경우 1인당 평균 3억 1천500만 원, 전년 2억 2천만 원에서 40% 이상 늘었고요. 하나은행도 1억 2천만 원으로 전년보다 거의 두 배 수준입니다. 그런데 금융사고는 오히려 줄지 않았습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4대 시중은행에서 금융사고 74건, 피해액은 1천972억 원, 작년보다 44% 늘었습니다. 그런데도 지난 8년 동안 금융사고로 제재받은 임원은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작년 금융권 전체 환수액도 0.01%, 9천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이쯤 되면 "그런데 금융사고랑 성과급이 무슨 상관이지?" 이런 생각 드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임원의 성과급에는 위험 관리와 소비자 보호도 평가 항목에 포함돼야 ...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27 11:52:17 oid: 374, aid: 0000470793
기사 본문

[앵커] 국내 주요 은행들이 지난해 임원 성과급을 많게는 2배 가까이 늘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성과급 잔치의 근간이 결국 대출 이자라는 점도 비판의 대상이지만, 올해 금융사고도 제대로 막지 못해 비판이 더 커지는 모습입니다. 류선우 기자, 은행들, 성과급 얼마나 퍼준 건가요? [기자]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요 은행들이 지난해 임원 성과급 규모를 늘렸습니다.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 원으로 전년보다 56% 늘었고요. 1인당 평균 금액도 2억 원대에서 3억 원대로 훌쩍 뛰었습니다. 하나은행은 임원 성과급 규모가 총 89억 원으로 뛰며 1인당 평균 금액도 1억 원대로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신한은행은 임직원 성과급이 1천480억 원으로 전년보다 3%가량 늘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동안 금융사고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는데요. 올해 1∼8월에만 4대 시중은행의 금융사고 건수는 74건, 사고 금액은 1천972...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