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거래·매물↓...노원·중랑·도봉 '전세 매물' 반토막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앵커] 대출규제와 주택 구입 시 2년 실거주 요건을 적용하는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또 '갭투자'가 원천 차단되면서 노원과 중랑, 도봉구 등의 전세 매물은 반토막이 났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강력한 수요 억제 대책이 나오면서 서울 지역 아파트의 거래 위축과 매물 감소가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이 시행된 16일부터 열흘간 서울에서 매매계약이 체결된 아파트 거래량은 56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직전 열흘 거래량 2천679건과 비교해 78.9%가 줄어든 수치입니다. 규제지역 적용으로 주택담보인정비율이 축소되고 주담대 한도가 차등 적용되는 등 대출 관련 규제가 크게 강화된 게 주된 요인으로 풀이됩니다. 시장에 풀렸던 매물도 감소세입니다. 서울 아파트 매물은 10·15 대책 시행 첫날인 16일 7만4천여 건에서 연일 줄어 어제는 6만6천여 건으로 10% 감소했습니다. 이...
기사 본문
'규제지역 임차료 최저' 경기 수원 장안구도 전월세 신고가 속출 버팀목·디딤돌 실행액 1년 새 14조원 증발…"사다리 정상화해야"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와 일대 아파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초강력 주택 수요 억제책으로 평가받는 6·27대책과 10·15대책으로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서민 무주택자의 주거 사다리가 흔들리고 있다. 수도권·규제지역에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대책에 이어, 서울 25개 구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으로 묶은 10·15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더욱 줄며 무주택 실수요자라고 하더라도 자가 구매가 요원해졌다. 또 6·27대책은 신혼부부 등을 위한 대표적인 정책 대출인 디딤돌(주택구입자금대출)·버팀목(전세자금대출) 한도마저 축소했고, 수도권·규제지역의 전세대출 보증 비율도 하향하며 일반 전세 수요에 대한 대출 문턱도 높였다. 여기에다 10·15대책을 통해 규제지역이 토...
기사 본문
[앵커] 이번 부동산 대책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이른바 '노도강'의 전세 매물이 절반 넘게 줄어든 걸로 확인됐습니다. 전세 소멸 흐름 수도권 전역에서 감지되는데, 이번 대책이 어떤 영향을 미친 건지 정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노원구의 중형 단지 아파트. 인근에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끼고 있어 실거주 수요가 높은 곳입니다. 하지만 10·15 대책 이후 650여 세대에 전세 매물이 단 1건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A씨 / 노원구 공인중개사 "(대책 전에는) 더 있었죠. 지금 나온 것도 좀 들어갈 판이에요. 매매로 다 이제 돌리려고 하니까요. 전세 낀 것 지금 안 된다고 하니까." 다른 지역도 사정이 다르지 않습니다. 어제 기준 서울의 전세 매물은 2만 4898건으로, 2년 전보다 20% 넘게 줄었습니다. 특히 노원구와 중랑구, 도봉구, 금천구 등 집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서울 외곽 지역에서 매물이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B씨 / 도봉구 공인중개사 ...
기사 본문
24일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와 일대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에서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원천 차단되자, 주택 매매는 물론 전세 매물까지 급감하고 있다. 매물 잠김이 아파트 가격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정책 성패의 관건이다. 26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0·15 대책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 7만2997건에서 연일 감소해 이날 6만5667건으로 10.1% 줄었다. 새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에 포함된 서울 마포구(-18.5%), 동대문구(-18.4%), 강동구(-17.8%)에서 특히 매물이 많이 줄었고, 성동구(-17.7%), 광진구(-14.1%) 등 ‘한강 벨트’에서도 매물 잠김 현상이 나타났다. 토허구역 지정으로 거래가 불가능해진 갭투자 매물이 회수된 것에 더해, 대출을 받아 ‘상급지 갈아타기’를 준비하던 매도자들이 대출 규제로 인해 매물을 거둬들인 영향으로 분석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