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K중고차 ‘투톱’ 활약...중소기업 3분기 수출액 역대 최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3분기 305억 달러 전년대비 11.6% 증가 중고차 수출, 3분기 80% 급증…수출 견인 관세 불구 화장품 대미수출 20%대 성장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및 국제건강산업박람회를 찾은 관람객들이 화장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5.5.28 사진=연합뉴스 미국의 상호관세 시행에도 불구하고 올해 3분기 국내 중소기업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26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중소기업 수출액은 305억 달러(약 44조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273억 달러)보다 11.6% 증가했다. 올해 1~9월 누계 수출액도 5.8% 증가한 871억 달러(약 125조4000억 원)로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이번 수출 실적을 견인한 품목은 중고 자동차와 화장품이었다. 3분기 중고차 수출액은 26억 2000만 달러(약 3조770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80% 급증하며 수출을 주도했다. 3분기 화장품 수출액은 22...
기사 본문
자동차 26.2억달러로 1위, 화장품 22.1억달러 CIS·중동 수요 타고 중고차·하이브리드 급증 K-뷰티는 美·EU·중동 선전하며 ‘질적 확장’ 2025년 3분기 中企 수출 305억달러 ‘분기 최고’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중소기업 수출의 ‘간판 품목’이 화장품에서 자동차로 교체됐다. 26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중소기업 수출 가운데 자동차가 26억 2000만달러(약 3조 7700억원)를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80.0%나늘어나면서 수출 1위 품목에 올랐다. 올해 상반기까지 중소기업 수출 품목에서 줄곧 1위를 지켜오던 화장품도 같은 기간 28.0% 늘어난 22억 1000만달러(약 3조 1800억원)을 기록했지만 큰 폭의 수출 증가세를 보인 자동차에 1위 자리를 내줬다. 3분기 중소기업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1.6% 늘어난 305억달러(약 43조 8200억원)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동차, 뷰티 제치고 중기 수출 1위...
기사 본문
지난 9월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K-뷰티엑스포 코리아'에서 관람객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사진=뉴스1. 올해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화장품 수출이 두드러졌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2025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을 발표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1.6% 증가한 305억달러로 3분기 당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5년 1월~9월 누계 수출액도 전년동기대비 5.8% 증가한 871억달러로 이 역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2025년 1월~9월 누계 수출 중소기업 수도 전년동기대비 3.0% 증가한 8만9418개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월별로 보면 7월은 전년동기대비 8.3% 증가, 8월은 소폭(2.1%) 감소했지만 9월은 화장품, 자동차 등 상위 수출품목의 수출 호조세, 조업일수 영향(+4.0일)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30.0% 증가했다. 올해 3분기에는 중소기업 ...
기사 본문
11.6% 증가 305억弗 사상 최대 철강·알루미늄 등 대미수출 호조 올해 3·4분기 중소기업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305억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화장품과 자동차 수출이 가장 큰 폭으로 늘었으며 미국 품목관세 대상인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부품 대미 수출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5년도 3·4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3·4분기 수출액은 해당 분기 당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1~9월 누적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한 871억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기간 누계 수출 중소기업 수도 전년동기대비 3.0% 증가한 8만9418개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월별로 보면 7월은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했으나 8월은 2.1% 감소했다. 9월은 화장품, 자동차 등 상위 수출품목의 수출 호조세, 조업일수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0% 증가했다. 3·4분기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