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김장 걱정 한숨 덜었네”…배추·무 가격 하락 ‘안정세’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김치업체 등 수요처 재고 충분 마늘·쪽파는 가격 상승 우려 비축물량 풀고 생육관리 강화 김장철을 앞둔 2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배추와 무가 진열돼있는 모습. [연합뉴스] 올해 배추와 무 가격이 전년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며 김장철 재료 공급이 비교적 원활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달 김장철 재료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25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배추 재배면적은 1만3403헥타르(ha)로 전년 대비 2.5% 늘었고, 무 재배면적도 4643ha로 7.4% 증가했다. 배추와 무 재배면적이 늘면서 가격도 전년 대비 떨어졌다. 지난 여름에는 폭염에 재배면적까지 줄어들며 가격이 급등한 바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배추 한 포기 소매가격은 5581원으로 전년 대비 24.8% 하락했다. 같은 날 기준 무 가격 역시 2379원으로 전년 대비 32.5% 떨어졌다. 농식품부는 이에 따라 배추·무가 가을철 잦은 비에도...
기사 본문
농식품부, 계약재배 확대·수매 비축 등 공급 부족 대비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기자 = 다음 달 중순부터 시작되는 김장철을 앞두고 정부가 성수기 김장 재료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생산 관리와 물량 확보 등에 나서기로 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김장철을 앞두고 26일 김장 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의 배추밭을 찾아 작황을 직접 점검했다. 최근까지 이어진 가을장마 때문에 일찍 심은 밭이나 배수가 잘 안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무름병 등 병해가 발생하자 현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현장 점검하는 송미령 장관 (서울=연합뉴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6일 충남 예산군에 위치한 시설봄배추 재배현장을 찾아 생육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2025.2.6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다만 올해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5% 증가했으며, 최근 기상 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11월 중순부터 12월까지 김장 성수기의 배추 공급에 큰 차질...
기사 본문
최근 가을장마에 병해 발생 가을배추 재배면적 전년比 2.5% ↑ 정부, 생육 관리·비축 확보 최선 송 장관, 괴산지역 배추밭 생육 점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6일 김장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지역 한 배추밭에서 생육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농림축식품부 일부 김장용 가을배추 주산지에서 무름병 등 병해가 나타났지만 김장성수기 가을배추 공급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6일 최근까지 이어진 ‘가을장마’로 인해 조기에 아주심기(정식)했거나 물빠짐이 나쁜 밭을 중심으로 무름병 등 병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만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5% 증가했고 최근 기상 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김장철인 11월 중순~12월 배추 공급에는 큰 차질이 없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농식품부는 농촌진흥청·지방자치단체·농협 등 관계기관과 함께 생육 모니터링, 재배기술 지도, 약제·영양제 공급 확대 등 생육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상기상에 따른 수급 불안...
기사 본문
가을장마 여파로 일부 병해…전체 공급 차질 없을 듯 농식품부, 생육관리·비축물량 확대 등 수급 안정 총력 [세종=뉴시스]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6일 김장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을 찾아 현장 작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농식품부 제공)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6일 김장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을 찾아 현장 작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최근 이어진 가을장마로 일부 지역에서 무름병 등 병해가 발생한 가운데,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생육 상황과 생산 여건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이날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2.5% 늘었으며 최근 기상여건이 호전되면서 김장 성수기(11월 중순~12월) 배추 공급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조기 정식한 포전이나 배수가 불량한 일부 지역에서는 병해가 확산되고 있어 현장 관리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세종=뉴시스]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6일 김장배추 주산지인 충...
기사 본문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6일 김장(가을)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에 위치한 배추 밭을 찾아 배추 생육 상황 관련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 제공=농식품부 [서울경제] 정부가 김장철을 앞두고 김장 재료의 생산·공급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6일 김장 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의 배추밭을 찾아 작황을 직접 점검했다. 최근까지 이어진 가을장마 때문에 일찍 심은 밭이나 배수가 잘 안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무름병 등 병해가 발생하자 현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올해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5% 증가했으며 최근 기상 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11월 중순부터 12월까지 김장 성수기의 배추 공급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는 김장철 배추와 무 등 주요 채소류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농촌진흥청, 지자체, 농협 등과 함께 생육 모니터링 및 재배기술 지도를 강화하고, 병해충 방제를 위한 약제와 영양제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또...
기사 본문
김장철을 앞둔 지난 2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배추를 살펴보는 모습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송미령 장관이 오늘(26일) 김장 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에 위치한 배추 밭을 찾아 작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김장철 출하되는 배추의 경우 최근까지 이어진 가을 장마로 인해 조기 정식한 포전과 배수가 불량한 지역에서 무름병 등 병해가 발생하고 있다. 다만 농식품부는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지난해 보다 증가했고, 최근 기상 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김장성수기 배추 공급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농식품부는 김장철 배추, 무 등 주요 채소류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생육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 이상기상에 따른 수급불안에 대비해 계약재배 확대 및 정부 수매비축 등 출하조절용 물량을 최대한 확보해 공급부족 시 도매시장과 대형수요처 등에 공급할 계획이다.
기사 본문
정부가 다음 달 중순부터 시작되는 김장철을 앞두고 성수기 김장 재료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생산 관리와 물량 확보 등에 나섰습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김장철을 앞두고 오늘(26일) 김장 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의 배추밭을 찾아 작황을 직접 점검했습니다. 최근까지 이어진 가을장마 때문에 일찍 심은 밭이나 배수가 잘 안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무름병 등 병해가 발생하자 현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행보입니다. 농식품부는 올해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5% 증가했고, 최근 기상 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11월 중순부터 12월까지 김장 성수기의 배추 공급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배추, 무 등 주요 채소류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생육 관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 지방자치단체, 농협 등과 함께 생육 모니터링, 재배 기술 지도, 약제와 영양제 공급 확대 등을 추진합니다. 이상 기상에 따른 수급 불안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물량 확보에도 나설...
기사 본문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6일 충남 예산군에 위치한 시설봄배추 재배현장을 찾아 생육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다음 달 중순부터 시작되는 김장철을 앞두고 정부가 성수기 김장 재료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생산 관리와 물량 확보 등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김장철을 앞두고 김장 배추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의 배추밭을 찾아 작황을 직접 점검했습니다. 최근까지 이어진 가을장마 때문에 일찍 심은 밭이나 배수가 잘 안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무름병 등 병해가 발생하자 현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만 올해 가을배추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5% 증가했으며, 최근 기상 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11월 중순부터 12월까지 김장 성수기의 배추 공급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전망했습니다. 농식품부는 배추, 무 등 주요 채소류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생육 관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 지방자치단체, 농협 등과 함께 생육 모니터링, 재배 기술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