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는 여름보다 겨울에" 동계 정기항공편 일정 확정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26일부터 국제선 248개 노선 주 4973회 운항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올해 동계 기간 국제·국내 항공편 운항 일정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동계 스케줄은 이날부터 내년 3월 28일까지다. 겨울에 국제선 248개 노선에서 최대 주 4973회 운항한다. 지난해 겨울보다 76회 늘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겨울(4980회)에 근접한 수준이다. 노선별로는 동계 기간 인기가 높은 동남아 노선이 주 381회로 하계 때보다 36.7% 증편됐다. 특히 베트남은 주 234회(64.6%↑), 싱가포르는 주 26회(29.5%↑), 태국은 주 41회(22.8%↑)로 늘었다. 부산∼카자흐스탄 알마티, 대구∼태국 치앙마이 및 대구∼라오스 비엔티안 등 지방 공항을 중심으로 신규 취항해 노선을 다변화했다. 인천국제공항 입국장. 연합뉴스 국내선은 제주 노선(12개)과 내륙 노선(8개) 총 20개 노선에서 주 1784회 운항한다. 이 가운데 제주 노선이 주 1502회다. 제주 노선에...
기사 본문
국토부, 동계 국제·국내선 운항 일정 확정 부산, 클라크 보홀 대신 앙헬레스 탁빌라란 하계 중국 스좌장 싼야 노선 이번에는 빠져 이스타, 김해-알마티 내년 하반기 본격 운항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25년 동계기간(10월 26일부터 내년 3월 28일까지) 국제선 및 국내선 정기편의 항공운항 일정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사진은 이미지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부산(김해공항)에서 해외로 오가는 국제선 정기편 동계 노선이 확정됐다. 하계편 38편에 비해 1개편이 줄었으며 부산-카자흐스탄(알마티) 노선이 정기편으로 신규로 올라왔다. 그러나 이스타항공은 부산-카자흐스탄 노선이 겨울에 비수기여서 내년 하계에 본격 취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25년 동계기간(10월 26일부터 내년 3월 28일까지) 국제선 및 국내선 정기편의 항공운항 일정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세계 대부분 나라는 계절적 항공수요를 맞추기 위해 1년에 2차례(...
기사 본문
국제 248·국내 20개 노선 확정… 동남아 증편·양양 복귀 수도권은 ‘정체의 한계선’ 김포공항 활주로에 대기 중인 여객기들. 수도권 공항은 ‘정체의 한계선’, 지방공항은 증편에 나섰다. (편집 이미지) 국토교통부가 확정한 ‘2025년 동계 정기 항공편 일정’이 하늘의 지도를 다시 그리고 있습니다. 국제선 248개 노선, 주 4,973회. 국내선은 20개 노선, 주 1,784회 운항합니다. 이 가운데 12개가 제주행입니다. 양양~제주 노선이 2년 만에 복귀했고, 군산·포항·원주 등 지방 노선도 하계 수준을 유지합니다. 이번 겨울, 지방공항의 하늘은 다시 붐빌 전망입니다. 반면 서울 등 수도권은 여전히 막혀, 관광 수요의 흐름이 달라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남쪽은 폭증, 수도권은 ‘정체’ 국토부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25~2026년 동계기간(10월 26일~내년 3월 28일) 국제선과 국내선 정기편 운항 일정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동남아 노선은 하...
기사 본문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올해 동계 기간 국제·국내 항공편 운항 일정을 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동계 스케줄은 내년 3월 28일까지 적용됩니다. 이번 동계 기간 국제선은 248개 노선에서 최대 주 4,973회 운항합니다. 지난해 동계 기간보다 76회 증가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동계(4,980회)에 근접한 수준으로 회복했습니다. 동계 기간 인기가 높은 동남아 노선이 주 381회로 하계 때보다 36.7% 증편됐습니다. 베트남은 주 234회(64.6%↑), 싱가포르는 주 26회(29.5%↑), 태국은 주 41회(22.8%↑)로 증가했습니다. 국내선은 제주 노선(12개)과 내륙 노선(8개) 총 20개 노선에서 주 1,784회 운항합니다. 이 중 제주 노선이 주 1,502회입니다. 제주 노선에는 2023년 중단됐던 양양공항 운항편(파라타항공)이 재개되고 군산, 포항, 원주 등 소규모 지방노선 운항편은 하계 수준으로 유지됩니다. 국토부는 안전 강화 기조에 따라 국적사들이 ...
기사 본문
동남아 하계 대비 36.7% 늘어 양양∼제주 국내선 1년만 재개 파라타항공 3호기(A330-200)도입 기념행사에서 윤철민(왼쪽 여덟번째) 파라타항공 대표이사와 임직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파라타항공 [서울경제] 올 겨울 항공업계의 하늘 길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운영된다. 국토교통부는 대한항공(003490) · 진에어(272450) 를 필두로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올 동계 항공 운항 일정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동계 스케줄은 이날부터 내년 3월28일까지 적용된다. 국제선은 248개 노선에서 최대 주 4973회 운항한다. 이는 지난해 동계 기간 최대 4897회보다 76회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동계 4980회에 근접해 하늘길이 팬데믹 이전으로 회복된 셈이다. 노선별로는 동계 기간 인기가 높은 동남아 노선이 대폭 증편됐다. 하계 대비 주 381회 36.7% 늘었다. 베트남이 주 234회(64.6%)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싱가포르와...
기사 본문
내년 3월까지 248개 노선서 주 최대 4천973회…안전관리 계획 반영 지난 추석 연휴 북적이는 인천공항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올해 동계 기간 국제·국내 항공편 운항 일정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동계 스케줄은 이날부터 내년 3월 28일까지 적용된다. 세계 대부분 국가는 일광절약시간제에 따른 운항 시각 변동과 계절적 수요 대응을 위해 1년에 두 차례(하계·동계) 항공 운항 일정을 조정한다. 이번 동계 기간 국제선은 248개 노선에서 최대 주 4천973회 운항한다. 지난해 동계 기간(최대 4천897회)보다 76회 증가한 것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동계(4천980회)에 근접한 수준으로 회복했다. 노선별로는 동계 기간 인기가 높은 동남아 노선이 주 381회로 하계 때보다 36.7% 대폭 증편됐다. 특히 베트남은 주 234회(64.6%↑), 싱가포르는 주 26회(29.5%↑), 태국은 주 41회(22.8%...
기사 본문
내년 3월 28일까지… 부산~카자흐스탄 교류 늘어날 전망 전체 정기 항공편은 44개 나라·248개 노선 주 4973회 편성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는 26일부터 내년 3월 28일까지 37개 국제노선에서 여객기가 오간다. 또 부산에서 카자흐스탄의 알마티를 잇는 항공편이 처음으로 취항한다. 김해공항 국제선 청사에서 탑승을 기다리는 승객들. 국제신문DB 26일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25년 동계기간 국제선·국내선 정기편 항공 운항 일정’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 대부분 나라는 ‘일광 절약 시간제’(daylight saving time)에 따른 운항 시각 변동 및 계절적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자 1년에 2차례(하계·동계) 항공 운항 일정을 조정한다. 이번 동계기간에 국제선 정기편은 44개 나라, 248개 노선에서 주 4973회 운항한다. 코로나19로 확산으로 운항이 제약을 받았던 때를 빼면 이전의 동계기간(2018년 4854회, 2019년 4980회, 2024년 4...
기사 본문
국토부, 동계 항공편 일정 확정 이달 26일부터 다음해 3월까지 운항 대구공항 국제선 16개 노선으로 확대 대구국제공항 전경. 한국공항공사 제공 26일부터 대구국제공항에서 태국 치앙마이와 라오스 비엔티안으로 가는 국제선이 새로 취항한다. 국토교통부는 24일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25년 동계기간(10월 26일~내년 3월 28일) 국제선 및 국내선 정기편의 항공운항 일정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동계 시즌 대구공항 국제선은 16개 노선을 운항한다. 대구-치앙마이(태국), 대구-비엔티안(라오스) 등 2개 노선이 새로 취항하면서 노선이 다변화됐다. 대구공항의 동계 노선을 권역별로 보면 ▷동북아 7개 ▷동남아 8개 ▷미주 1개다. 동북아 노선은 일본 도쿄(나리타), 오사카, 후쿠오카, 삿포로와 중국 상하이(푸동), 장자제, 대만 타이베이 등이다. 동남아 노선은 기존 태국 방콕(수완나품), 베트남 다낭·나트랑, 필리핀 세부에 신규 노선인 태국 치앙마이와 라오스 비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