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전 서울 아파트 매매가, 올해 최고 상승률 기록

2025년 10월 2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3개
수집 시간: 2025-10-26 15:16:4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YTN 2025-10-26 14:27:23 oid: 052, aid: 0002264533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직전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올해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부동산이 발표한 지난 13일 기준 이번 달 주택가격동향을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달보다 1.46% 오르며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10·15 대책 전까지 토지거래허가 구역에 포함되지 않았던 광진구와 강동구, 마포구 등을 중심으로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아파트 가격 상위 20% 평균과 하위 20% 평균의 가격 차를 나타내는 전국 5분위 배율도 12.5로 8개월 연속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수도권과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은 한 달 전보다 각각 0.22%, 0.43%씩 오르며 27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국민일보 2025-10-26 14:18:19 oid: 005, aid: 0001810057
기사 본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초·용산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KB부동산 조사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까지 기준으로 올해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0월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46% 오르며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전월(0.82%)과 비교해 0.64%포인트 커졌고, 상승률은 올해 최고치다. 이번 조사는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대책 발표 이전인 10월 13일 기준이다. 이에 따라 한강벨트권 중 이전까지 토허구역에 포함되지 않아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가 가능했던 자치구를 중심으로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오름폭이 높은 지역은 광진구(4.46%), 강동구(4.17%), 성동구(3.95%), 마포구(2.96%), 송파구(2.68%), 동작구(2.1...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26 14:22:29 oid: 029, aid: 0002989264
기사 본문

아파트 [연합뉴스] KB부동산 조사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까지 기준으로 올해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0월 주택가격동향을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46% 오르며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전월(0.82%)과 비교해 0.64%포인트 커졌고, 상승률은 올해 최고치다. 이번 조사는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대책 발표 이전인 10월13일 기준이다. 이에 따라 한강벨트권 중 이전까지 토허구역에 포함되지 않아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가 가능했던 자치구를 중심으로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오름폭이 높은 지역은 광진구(4.46%), 강동구(4.17%), 성동구(3.95%), 마포구(2.96%), 송파구(2.68%), 동작구(2.16%), 영등포구(1.79%) 등 순이었다. 광...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TV 2025-10-26 14:36:05 oid: 215, aid: 0001228353
기사 본문

"10월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1.46%"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KB부동산 조사 기준 올해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0월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46% 올라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월(0.82%) 대비 오름폭도 0.64%포인트 확대됐다. 이번 조사는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대책 발표 이전인 10월13일 기준이다. 특히 한강벨트권 중 이전까지 토허구역에 포함되지 않아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가 가능했던 자치구를 중심으로 상승이 두드러졌다. 오름폭이 높은 지역은 광진구(4.46%), 강동구(4.17%), 성동구(3.95%), 마포구(2.96%), 송파구(2.68%), 동작구(2.16%), 영등포구(1.79%) 등 순이었다. 광진구는 2006년 11월 상승률 6.10%를 기록한 이후 역대 두 번째로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