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中企 무조건 보호는 '낡은 방식'...日과 경제 연대해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최태원 회장, 유튜브 채널 출연 韓경제 성장 해법 제안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뉴스1 [파이낸셜뉴스] "일본과 협력하면 6조달러(약 8638조원), 세계 4위 규모의 시장을 창출해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6일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19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출 중심 경제 성장 공식이 이제는 관세로 인해 통하지 않는다"며 지론인 '한일경제통합론'을 재차 강조했다. "옛날처럼 세계무역기구(WTO) 체제로 자유무역이 회복되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세계 경제의 룰(질서)을 결정하는 것은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유럽연합(EU) 정도이고 우리는 그 룰을 테이크(수용)해야 하는 입장"이라며 "대한민국 혼자 국제 질서나 룰을 바꿀만한 힘은 부족하기 때문에 같이 연대할 수 있는 파트너들이 필요하다"고 강조해 왔다. 유럽연합(EU)식 경제 블록을 구축해 미국의 관세 정책 및 국제질서...
기사 본문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인터뷰하고 있다. SK제공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한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한일 경제연대, 성장지향형 정책, 인공지능(AI) 투자 등 새로운 성장 공식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26일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압권 등 3개 유튜브 채널의 공동 인터뷰에서 “19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출 중심의 경제 성장 공식이 이제는 통하지 않는다”라며 이 같이 말했다. 최 회장은 한일 양국이 경제를 연대해 권역(블록)화 하고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 회장은 “일본과 협력하면 6조 달러(약 8600조 원) 규모의 시장을 창출해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다”며 “이는 세계 4위 규모의 경제 블록으로 대외 여건에 대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업에 대한 성장형 규제를 철폐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기업들이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넘어갈 때마다 ...
기사 본문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 SK그룹 제공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26일 “19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출 중심 경제 성장 공식이 이제는 관세로 인해 통하지 않는다”며 “일본과 협력하면 6조 달러(약 8638조 원) 규모 시장을 창출해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고율관세 부과와 중국의 기술굴기 등 급변하는 국제 질서 속 수십년 간 활용했던 수출주도형 경제모델은 현재의 무역 질서에서 과거처럼 작동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한·일 경제연대와 성장지향형 규제 전환, 인공지능(AI) 투자, 해외 인재 유입과 메가 샌드박스 등을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해법으로 제시했다. 최 회장은 이날 유튜브 삼프로TV·언더스탠딩·압권 3개 채널 연합 인터뷰를 통해 “옛날처럼 세계무역기구(WTO) 체제로 자유무역이 회복되기는 어렵다”며 이 같이 밝혔다. 가장 먼저 강조한 한·일 경제연대는 경제 블록화와 보호무역주의 확산 가운데 구상한 전략...
기사 본문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서울=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6일 유튜브 삼프로TV·언더스탠딩·압권 3개 채널에 출연해 한국 경제성장 전략과 APEC CEO 서밋을 소개하고 있다. 2025.10.26 [SK그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이번 주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대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주석을 비롯한 APEC 회원국 정상이 모여 많은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향후 몇 년간 미중 문제가 어떻게 풀릴지를 짐작할 가늠자가 될 자리"라고 소개했습니다. 최 회장은 오늘(26일) 삼프로TV·언더스탠딩·압권 등 3개 유튜브와 연합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최 회장은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은 1,700여명이 참여하는 행사로 보호무역주의 시대 해법을 찾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비롯해 수많은 글로벌 기업인이 방문할 예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