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부동산 등 첩첩산중…경제 컨트롤타워 시험대[구윤철 취임 100일②]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구윤철 경제부총리, 26일 취임 100일 맞아 美 관세 압박, 0%대 성장 위기 속 경제사령탑 올라 AI전환 등 첨단산업 육성 통한 성장 회복 구상 제시 증시 호황, 소비심리 개선 등 유의미한 변화 조짐도 전문가들 "정책 방향은 옳아…실제 성과로 이어져야" [서울=뉴시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경기 성남시 HD현대 글로벌 R&D센터에서 열린 AI선박·드론 분야 대기업, 전문가 및 관계부처와의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2025.10.0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안호균 임하은 기자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취임 100일을 맞는다. 12·3 비상계엄 여파로 내수 경기가 침체에 빠지고 미국의 통상 압박으로 수출마저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의 첫 경제사령탑으로 임명된 구윤철 부총리는 과감한 정책 전환을 시도했다. 경제정책에서 정부의 책...
기사 본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월 19일 취임 이후 100일 동안 한미 관세 협상과 환율 협상,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 및 예산안 발표 등 굵직한 일정을 소화했다. 내수 경기가 침체에 빠지고 미국의 관세 압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구 부총리는 과감한 정책 전환을 시도했다. 그 결과 생산, 소비, 주가 등 주요 경제지표가 개선세를 보이며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구 부총리 앞에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경제성장전략·확장재정·주가 상승으로 경제 회복 불씨 살려 기획재정부는 지난 8월 22일 발표한 경제성장전략에서 이재명 정부 임기 내 ‘AI 3대 강국·국력 세계 5강’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한 올해 0.9%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는 경제성장률을 향후 3% 수준으로 회복시키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구 부총...
기사 본문
경제성장전략서 'AI 3대 강국' 발표…확장 재정으로 성장률 방어 관세 협상·기재부 분리 완수 목표도…"불확실성 없애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7월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부총리와 함께하는 혁신 첫걸음-기재부가 달라졌어요'를 주제로 강연하는 모습.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7.21/뉴스1 (서울=뉴스1) 이철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취임 100일을 맞았다. 구 부총리는 취임 후 한미 관세·환율 협상, 경제성장전략 발표, 예산안 마련 등 숨 가쁜 일정을 소화했다. 하지만 구 부총리 앞에는 굵직한 과제들이 쌓여있는 상황이다. 관계부처와의 협업으로 미국과의 세부 관세 협상을 마무리해야 하고, 기재부 분리 작업 등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야 한다. 특히 금융위원회로부터 국내 금융 정책 기능을 이관받지 못하면서, 경제 컨트롤타워로서의 기능 약화 우려 등을 돌파해야 하는 과제도 안게 됐다. 취임 직후 'A...
기사 본문
성장전략·예산안, AI·초혁신 비전 주력…3차례 미국行, 베선트 핫라인 가동 '예산·금융 없는' 재정경제부, 컨트롤타워 위상 과제 경제관계장관회의 참석하는 구윤철 부총리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5.10.2 mon@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로 공식임명 100일을 맞았다. 이재명 정부의 첫 경제지휘봉을 잡은 구윤철 부총리의 100일은 경제부처 조직개편과 대미(對美) 관세협상의 불확실성이 증폭한 시기였다. 이런 가운데 인공지능(AI)·초혁신 신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의 비전을 재설정하고,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부각하는 방향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진행되는 한미 정상회담이 코앞으로 다가온 시점까지 관세협상의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고, 부동산시장 불안이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