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대책 후 거래 뚝↓·매물은 쑥↓…이제는 가격 차례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대출규제 강화·갭투자 차단 영향…일정 기간 제한적 가격조정 전망 정부, '공급 절벽' 본격화 앞두고 9·7대책 후속조치에 속도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은 강화된 대출규제와 주택 구입 시 2년 실거주 요건 적용으로 눈에 띄게 얼어붙었다. 수요 억제책이 워낙 강력해 거래 위축과 매물 감소는 일정 부분 예견된 결과였지만, 이런 흐름이 정부가 추구하는 가격 안정화로까지 이어질지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앞서 발표한 9·7 공급대책의 조속한 후속조치를 통해 차질 없는 공급 시그널 전달에 주력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삼중규제'에 거래 위축·매물 감소 뚜렷…"가격 하락폭 제한적" 전망도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이 시행된 이달 16일부터 전날까지 열흘간 서울에서 매매계약이 체결된 아...
기사 본문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은 강화된 대출규제와 주택 구입 시 2년 실거주 요건 적용으로 눈에 띄게 얼어붙었습니다. 정부는 앞서 발표한 9·7 공급대책의 조속한 후속조치를 통해 차질 없는 공급 시그널 전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오늘(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이 시행된 이달 16일부터 전날까지 열흘간 서울에서 매매계약이 체결된 아파트 거래량은 56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날까지 신고된 계약분 기준으로, 관련법상 주택 매매거래 신고는 계약일로부터 30일까지 가능해 숫자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직전 열흘(10월6∼15일) 거래량은 추석 연휴가 포함됐음에도 2천679건으로, 이와 비교하면 대책 시행 이후 감소율은 78.9%입니다. 규제지역 적용으로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종전 70%...
기사 본문
당신의 생각이 데이터가 됩니다! ‘헤럴드픽’은 헤럴드경제 독자들과 함께 만드는 이슈 투표&설문 콘텐츠입니다. 슬쩍 클릭하면 세상이 보입니다. 전세 끼고 집을 사 이른바 ‘갭투자’ 논란에 휩싸인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지난 23일 국토부 유튜브 계정을 통해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며 고개숙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3중 규제(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역대급 규제’라는 말부터, ‘문재인 정권 시즌2’, ‘부동산 계엄’,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곡소리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내로남불 갭투자’ 논란으로 사의를 표명한 고위공직자도 나왔습니다. 반면 일각에선 시장 과열을 억제하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됐다는 긍정적 평가도 존재합니다. ‘이번 부동산 대책이 과연 제대로 된 처방일까’ 독자의 진짜 속마음을 물었습니다. 헤럴드경제가 지난 17일부터 2...
기사 본문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서울 아파트 거래, 이전 열흘간 대비 80% 줄어…매물은 10% 감소 류영주 기자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부동산 시장이 급속하게 냉각되는 모습이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부터 25일까지 열흘간 서울에서 매매계약이 체결된 아파트 거래량은 564건이다. 추석 연휴가 포함된 그 직전 열흘(6일부터 15일까지) 거래량 2679건과 비교하면 감소율이 무려 80%에 육박한다. 규제지역 적용으로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종전 70%에서 40%로 축소되고 '15억 원 초과, 25억 원 이하' 주담대 한도가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은 2억 원으로 차등 적용되는 등 대출 관련 규제가 크게 강화된 것이 대폭적인 거래 감소 요인으로 분석된다. 매물 감소세도 두드러졌다. 부...
기사 본문
[서울 강남·송파구 일대. (사진=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은 강화된 대출규제와 주택 구입 시 2년 실거주 요건 적용으로 얼어붙은 상태입니다. 오늘(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이 시행된 이달 16일부터 전날까지 열흘간 서울에서 매매계약이 체결된 아파트 거래량은 56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어제(25일)까지 신고된 계약분 기준으로, 관련법상 주택 매매거래 신고는 계약일로부터 30일까지 가능해 숫자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직전 열흘(10월6∼15일) 거래량은 추석 연휴가 포함됐음에도 2천679건으로, 이와 비교하면 대책 시행 이후 감소율은 78.9%입니다. 규제지역 적용으로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종전 70%에서 40%로 축소되고 15억 원 초과∼25억 원 이하 주택은 주담...
기사 본문
거래절벽·양극화 심화…시장 왜곡 우려 “수요 억제만으론 한계…공급 병행 필요”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및 주택단지들.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도 주요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초강력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자,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 거래가 급감하는 가운데 '거래절벽'과 단기조정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정부는 최근 서울 25개 자치구 전체와 경기도 12개 지역(과천시, 광명시, 성남시 분당구·수정구·중원구, 수원시 영통구·장안구·팔달구, 안양시 동안구, 용인시 수지구, 의왕시, 하남시)이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로 묶여 규제지역으로 지정했다. 규제지역 지정 효력은 지난 16일부터 발생했다. 규제지역에서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종전 70%에서 40%로 강화되고 총부채상환비율(DTI)도 40%로 축소돼 대출을 통한 주택 구입자금 마련이 어려워진다. 다주택자에 ...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열흘 동안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얼어붙었습니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강화된 대출 규제와 실거주 요건이 적용돼 거래가 뚜렷이 감소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어제(25일)까지 열흘 동안 서울의 아파트 매매계약 건수는 564건으로, 직전 열흘(10월 6∼15일) 2천679건에서 78.9% 줄었습니다. 이번 수치는 신고된 계약 기준으로, 거래 신고 기한(30일) 내 추가 집계가 가능하지만 감소세는 뚜렷합니다.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70%에서 40%로 낮아지고, 15억∼25억 원 주택은 대출 한도가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은 2억 원으로 제한된 점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대책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 7만 4천44건에서 어제(25일) 6만 6...
기사 본문
▲ 아파트 단지 자료이미지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이 크게 위축되고 있습니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월 16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564건으로 직전 열흘(2천679건) 대비 78.9% 급감했습니다. 규제지역 지정으로 무주택자와 1주택자의 LTV가 70%에서 40%로 축소된 것이 주된 요인입니다. 매물도 현격히 줄었습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6일 7만 4,044건에서 25일 6만 6,647건으로 10% 감소했습니다. 갭투자 매물 회수와 대출규제 강화로 매도 계획을 접은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인 영향입니다. 부동산R 114 집계로는 10월 20~24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0.08%로 직전 주(0.42%) 대비 큰 폭 둔화했습니다. 가격이 하락할 지도 관심거립니다. 정부는 9·7 공급대책의 후속...
기사 본문
“효과 최소 3개월… 공급 대책 나와야” 연합뉴스 들끓던 부동산시장이 10·15 대책 이후 잠잠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 정도까지는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최소 3개월은 거래 위축과 가격 조정이 나타나고, 공급 대책이 뒷받침되면 안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공급에서 묘수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는 게 난관으로 지목된다. 26일 부동산R114가 집계하는 전국아파트주간시황에 따르면 10·15 대책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제도가 시행된 지난 20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08%로 집계됐다. 직전 주(0.42%) 대비 큰 폭으로 줄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10·15 대책 효과가 온전히 시세에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지난주 서울의 주간 상승 폭이 크게 둔화했다”고 말했다. 매매가 급감했을 뿐 아니라 매물 자체도 줄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 직후인 지난 16일부터 25일까지 열흘간 서울...
기사 본문
KB부동산 “10월 서울 아파트값 1.46% 올라 올들어 최고 상승률” 당분간 제한적 가격 조정 전망도 26일 서울 노원구 수락산역 인근 한 부동산 안내판이 비어 있다.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서울 부동산 시장은 강화된 대출 규제와 주택 구입 시 2년 실거주 요건 적용 등으로 얼어붙었다. 이런 흐름이 정부가 추구하는 가격 안정화로까지 이어질지에 관심이 쏠린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25일까지 열흘간 서울에서 매매계약이 체결된 아파트 거래량은 564건으로 집계됐다. 직전 열흘(10월 6∼15일) 거래량은 추석 연휴가 포함됐음에도 2679건으로, 이와 비교하면 대책 시행 이후 감소율은 78.9%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이 규제 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고,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종전 70%에서 40%로 축소되는 등 대출 관련 규제가 강화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장에...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은 강화된 대출규제와 주택 구입 시 2년 실거주 요건 적용으로 거래가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이 시행된 이달 16일부터 어제까지 열흘간 서울에서 매매계약이 체결된 아파트 거래량은 56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직전인 10월 6∼15일 열흘 거래량이 추석 연휴가 포함됐음에도 2천679건으로 이와 비교하면 대책 시행 이후 감소율은 78.9%였습니다. 시장에 풀렸던 매물도 감소했습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0·15 대책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 7만4천 44건에서 연일 감소해 어제는 6만6천647건으로 10%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10·15 대책 시행 이후 길게는 내년 상반기까지 거래 위축과 제한적인 수준의 가격 조정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토허구역 지정이 가수요를 줄이...
기사 본문
TV조선 방송화면 캡처 대출규제 강화와 실거주 요건 적용으로 거래와 매물이 동시에 위축됐다. 가격 지표는 상승세 둔화 조짐이 나타났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과 경기 12개 지역에 대한 10·15 대책 시행 이후 열흘간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564건으로 집계됐다. 직전 열흘(10월 6∼15일) 2,679건 대비 78.9% 감소했다. 주택 매매거래 신고는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가능해 향후 수치는 변동 가능성이 있다. 규제지역 지정으로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종전 70%에서 40%로 축소됐고 15억 원 초과∼25억 원 이하 주택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은 2억 원으로 차등 적용됐다. 매물도 줄었다. 부동산 플랫폼 집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0월 16일 7만 4,044건에서 10월 25일 6만 6,647건으로 10% 감소했다. 가격 지표의 단기 변화는 둔화 양상이다. 부동산R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