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득, 상위 2%가 절반 '싹쓸이'…1인당 20억 벌었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금융소득 상위층, 전체 소득 44% 독점 배당으로 14조원 쓸어담아 국내 금융소득 상위 2%가 전체 금융소득의 절반에 가까운 금액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예금이자보다 주식 배당으로 거둔 소득이 훨씬 많아, 자산가들의 투자 패턴이 '이자 중심'에서 '배당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코스피 지수가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지난 2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3년 귀속 금융소득 종합과세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는 33만6246명으로 집계됐다. 전년(19만1501명) 대비 75.6% 급증했다. 이들의 금융소득 총액은 32조4929억원으로, 1인당 평균 약 9700만원의 금융소득을 올린 셈이다. 이 가운데 이자소득이 10조7537억원, 배당소득이 21조7392억원으로 배당이 이자의 두 배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소득이 5억원을 넘는...
기사 본문
여의도 증권가 모습.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증시 활황과 고금리 기조 등으로 국내에서 금융소득에 따른 종합과세를 신고하는 사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중 금융소득이 5억 원을 초과한 '고액 금융소득자들'의 비중은 전체 신고자의 2%에 불과하고 이들이 전체 금융소득의 절반을 차지해 부의 쏠린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액 금융소득자들은 이자 보다는 배당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배당소득 분리과세에 따른 혜택을 사실상 가장 많이 보게되는 것으로 분석돼 논쟁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26일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귀속분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는 33만 6246명으로 전년(19만 1501명) 대비 75.6% 급증했다. 이들이 신고한 금융소득 총액은 32조4929억 원으로 1인당 평균 금융소득은 약 9700만 원 수준이다. 소득 구성은 배당소득이 21조 7392억 원으로 ...
기사 본문
상장사 배당금 (PG) [연합뉴스 제공]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 중 5억원을 초과한 이들이 전체 금융소득의 4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의 1인당 평균 금융소득은 20억원을 웃돌았으며, 금융 자산가일수록 이자보다는 배당소득 비중이 높았습니다. 오늘(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귀속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는 33만 6,246명으로 전년보다 75.6% 증가했습니다. 이들의 금융소득 총액은 32조 4,929억원으로, 한 사람당 9,700만원 수준입니다. 이자소득이 10조 7,537억원이었으며, 배당소득은 21조 7,392억원으로 이자소득의 2배에 달했습니다. 금융소득이 5억원을 초과한 신고자는 6,882명으로 전체의 2.0%였습니다. 이들이 신고한 금융소득은 총 14조 2,436억원으로 전체의 43.8%를 차지했습니다. 5억원 초과자 1인당 금융소득은 평균 20억 7천만원입니다. 금융소득이 높을수록 ...
기사 본문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 중 5억 원을 초과한 이들이 전체 금융소득의 4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억 원 넘는 금융소득 신고자는 6천882명으로 전체의 2.0%였습니다. 이들의 1인당 평균 금융소득은 20억 원을 웃돌았고, 배당소득이 금융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6.6%였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귀속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는 33만6천246명으로 전년보다 75.6% 증가했습니다. 이들의 금융소득 총액은 32조4천929억 원으로, 한 사람당 9천700만 원 수준입니다. 이자소득이 10조7천537억 원, 배당소득은 21조7천392억 원으로 이자소득의 2배에 달했습니다. 금융소득이 5억 원을 초과한 신고자는 6천882명으로 전체의 2.0%였습니다. 이들이 신고한 금융소득은 총 14조2천436억 원으로 전체의 43.8%를 차지했고, 5억 원 초과자 1인당 금융소득은 평균 20억 7천만 원꼴입니다. ...
기사 본문
금융소득 상위 2%에 속하는 사람은 평균 20억원 넘는 돈을 이자와 배당으로만 벌었다.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23년 귀속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 내용이다. 그해 33만6246명이 금융소득으로 총 32조4929억원을 신고했다. 1인당 평균 9700만원 정도로 1억원에 육박했다. 금융소득 신고자 수는 1년 전 19만1501명에서 75.6% 늘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차관이 지난 7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5년 세제개편안 상세 브리핑'에서 주요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이자나 배당으로 번 돈이 연간 2000만원이 넘어가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 대상이다. 당시 주식 투자 열풍이 불고 금리가 올라가면서 금융소득도 따라 증가했다. 이 가운데 금융소득이 5억원을 초과했다고 신고한 사람은 6882명으로 전체 인원의 2%를 차지했다. 이들이 신고한 금융소득은 총 14조2436억원으로 전체 금액의 절반에 가까웠다(4...
기사 본문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 중 '5억 초과' 자산가의 소득이 44% 차지 조세소위서 '분리과세' 공방 예고 사천피가 코앞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거래소 홍보관에 코스피 종가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96.03p(2.50%) 오른 3,941.59로 마감했다. 2025.10.24 nowwego@yna.co.kr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 중 5억원을 초과한 이들이 전체 금융소득의 4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1인당 평균 금융소득은 20억원을 웃돌았으며, 금융자산가일수록 이자보다는 배당소득 비중이 높았다. 내달 국회 세법 심사를 앞두고 주식시장 강세가 이어지면서 배당 세제 개편 논의도 다시 불붙고 있다. 금융소득 '5억 초과' 상위 2%, 한 사람당 평균 20억7천만 벌어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귀속 금융소득...
기사 본문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 33.6만 명 이들 중 '5억 초과' 자산가 소득 44% 차지 내달 국회 조세소위서 '분리과세' 공방 예고 ‘부자감세’ 신중론 vs ‘증시부양’ 과세 완화론 지난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거래소 홍보관에 코스피 종가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96.03P(2.50%) 오른 3,941.59로 마감했다. 연합뉴스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 중 5억 원을 초과한 이들이 전체 금융소득의 4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1인당 연평균 금융소득은 20억 원을 웃돌았다. 특히, 금융자산가일수록 이자보다는 배당소득 비중이 높았다.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부산 북구을)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귀속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자는 33만 6246명으로 전년(19만 1501명)보다 75.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식시장 호황과 고금리 기조가 영향을 미치며 신고자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기사 본문
KB증권 세무 재테크 Q&A 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 시 주의점 뉴시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60대 A씨는 올해 투자를 활발히 했다. 연말을 앞두고 총 소득을 대략 계산해 보니 이자·배당소득이 2000만원을 훌쩍 넘을 것 같다. 큰 수익을 얻어서 기분은 좋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될 것 같아 걱정이 앞선다. 세금도 많이 내야 하고 건강보험료까지 오른다고 하던데 금융소득종합과세자가 되면 여러 가지 불이익이 생기는 건 아닌지, 세금 측면에서 어떤 영향이 있을지 궁금하다. 26일 KB증권에 따르면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 경우 반드시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한다. 이때 다른 소득과 합산과세로 인해 추가 납부세액이 얼마인지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 등 다른 종합소득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다른 소득이 없고 금융소득만 있다면 약 8000만원까지는 소득을 지급받을 때 이미 원천징수로 납부를 끝낸 세금이 있기 때문에 종합과세로 인한 추가납부세액은 나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