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금융사고는 증가하는데 책임진 임원은 없는데…성과급은 급증 금융당국, 사고나면 보수 환수하는 '클로백' 법제화 검토 연합뉴스 금융사고 급증에도 주요 시중은행들이 임원들의 성과급을 늘려 지난해 1인당 평균 3억 원이 넘은 곳까지 등장했다. 금융사고 손실은 사회에 떠넘기면서 성과급 돈잔치를 벌이는 은행권을 대상으로 금융당국도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착수했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 원, 1인당 3억 1521만 원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 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중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 원, 1인당 2억 2131만 원)에 비해서도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임원 성과급도 총 89억 원, 1인당 1억 2040만 원으로, 2023년(총 48억 원, 1인당 7120만 원) 대비 약 두 배로 늘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전체 임직원 성과급이 각각...
기사 본문
지난해 국민은행 성과급 142억원…전년도 比 51억원 증가 하나·신한·우리도 성과급↑…금융사고는 오히려 증가세 올해 4대 시중은행 금융사고 74건…사고금액은 1972억원 주요 시중은행들 임원 성과급이 지난해 1인당 평균 3억원이 넘은 곳도 등장했다.ⓒ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박상우 기자] 시중은행 임원들의 성과급이 일제히 늘어난 가운데 금융사고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둔 은행들이 사고 손실의 책임은 외면한다는 비판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나섰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들에게 지급된 성과급은 총 142억원으로, 1인당 평균 3억1521만원에 달했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원, 1인당 2억2131만원)에 비해서도 규모가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 임원들의 지난해 성과급...
기사 본문
금융사고는 늘고 제재는 '0건' 금융당국, 성과급 환수 장치 법제화 추진 KB국민은행이 지난해 임원들에게 지급한 성과급이 1인당 3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시중은행 가운데 하나은행 역시 임원 보수가 1년 새 두 배 가까이 불어났다. 반면 금융사고는 늘어나면서 '성과는 나누고, 책임은 회피한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 임원들의 성과급 잔치 소식에 '성과는 나누고, 책임은 회피한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무관).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B국민은행 임원진의 지난해 성과급 총액은 142억원으로 집계됐다. 임원 1인당 평균 보수는 약 3억1000만원 수준으로, 2023년(1인당 2억2000만원) 대비 40%가량 증가했다. 최근 5년간 3억원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나은행의 상황도 비슷하다. 지난해 임원 성과급 총액은 89억원, 1인당 평균 ...
기사 본문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국감에서 답변 [연합뉴스 제공] 금융사 임원이 회사에 손해를 끼쳤을 때 이미 지급된 성과급까지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금융당국이 성과보수 체계 개선에 나섭니다. 오늘(26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전 금융권 성과보수 체계 점검 결과를 토대로, 경영진이 회사에 손실을 입히거나 금융사고를 낸 경우 이미 지급된 성과급을 회수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지배구조법에 성과보수의 이연 지급 및 환수 관련 내용이 어느 정도 담겨있지만, 성과급을 일시 지급받은 뒤 퇴직하거나 이직하면 (해당 업무에서) 문제가 드러나도 환수가 사실상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단 회사가 관련 손실을 우선 메운 뒤 해당 임원에게 구상권을 청구하는 방안 등 제도 실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법률 검토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금융회사 내규에서 조정·환수 사유나 절차가 불명확한 경우 많아 조정·환수까지 이뤄지는 사례는 극히...
기사 본문
금융사고 매년 증가하는데... 은행 성과급도↑ KB은행 임원, 지난해 1인당 3억1,521만 원 수령 당국, '클로백' 도입 검토... 퇴직 임원도 토해내야 서울 시내에 설치된 주요 시중은행 ATM 기기. 연합뉴스 금융사고 급증에도 은행의 '성과급 잔치' 규모는 더 커졌다. 임원 1인당 평균 성과급이 3억 원을 넘은 곳도 등장했다. 금융당국은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사고 발생 시 받은 성과급을 토해내야 하는 '보수환수' 제도 도입 검토에 나섰다. 26일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KB국민은행 임원들이 수령한 전체 성과급은 총 142억 원으로 1인당 3억1,521만 원 수준이었다. KB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이 3억 원을 넘어선 건 최근 5년 기준 처음이다. 2023년 2억2,131만 원 대비 42.4% 증가했다. 성과급이 크게 늘어난 건 다른 은행도 마찬가지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임원 성과급은 총 89억 원·1인당 1억2,040만 원으로,...
기사 본문
시중은행 금융사고가 늘어나는 가운데 임원들의 성과급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사고를 낸 금융사 임원이 이미 수령한 성과급을 회수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이 금감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KB국민은행의 임원 성과급은 142억 원으로 2023년(91억 원) 대비 56.0% 늘었다. 1인당 평균 수령액은 3억1521만 원 정도인데, 국민은행 임원 1인당 성과급이 3억 원을 뛰어넘은 건 최근 5년 사이 처음이다. 하나은행의 작년 임원 성과급도 89억 원으로 2023년(48억 원)보다 85.4% 증가했다. 문제는 금융사고가 계속해서 증가 추세라는 점이다. 올 1~8월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금융사고 건수는 74건, 사고 금액은 1972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62건·1368억 원)보다 각각 19.4%, 44.2% 늘어난 수준이다. 하지만 2016년부터 올 8월까지 4대...
기사 본문
[국감브리핑]국민은행, 임원 성과급 평균 3.1억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 국정감사장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10.14/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금융사고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주요 시중은행 임원들의 성과급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임원 1인당 평균 성과급이 3억 원을 넘은 은행도 있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KB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 원으로 1인당 3억 1521만 원으로 집계됐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 원을 넘은 건 최근 5년 내 처음이다. 2023년 91억 원(1인당 2억 2131만 원)과 비교해 1년 만에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하나은행의 임원 성과급은 지난해 기준 약 89억 원으로, 1인당 1억 2040만 원 수준이다. 2023년 7120만 원 대비 약 2배 늘었다. 지난해 신한은...
기사 본문
금융사고액 작년보다 44%↑ 임원 1인 평균 3억 원 넘기도 당국 ‘퇴직 후에도 성과급 환수’ 추진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융사고 급증에도 불구하고 임원들의 성과급을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시내 시중은행의 모습. 연합뉴스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융사고 급증에도 불구하고 임원들의 성과급을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사상 최대 이익의 과실을 본인들만 누리고, 사고로 인한 손실을 사회에 전가한다는 비판이 커지자 금융당국은 성과보수 체계 개편에 착수했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은행 임원 성과급은 총 142억 원, 1인당 3억 1521만 원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 임원의 성과급이 3억 원을 넘어선 것은 최근 5년 기준으로 처음이다. 2023년(총 91억 원, 1인당 2억 2131만 원)에 비해서도 규모가 크게 늘었다. 하나은행의 지난해 임원 성과급도 총 89억 원, 1인당 1억 2040만 원으로,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