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는 K푸드·뷰티·패션, APEC 총출동…'수출 핫라인' 기대감[New & Good]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비비고 컵밥·케데헌 신라면·교촌치킨 출격 K브랜드 전도사 K뷰티도 화장품·기기 협찬 최고위급 인사에 눈도장, 마케팅·홍보 효과 '2025 APEC 정상회의'를 공식 후원하는 파리바게뜨. 파리바게뜨 제공 세계 시장으로 뻗어나가는 K푸드·뷰티·패션 브랜드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총출동한다. APEC 정상회의는 해외 현지에서 마케팅 활동 등을 하지 않고도 주요 국가 정상, 기업인 등 각국에서 영향력 있는 인사에게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10월 31일~11월 1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K푸드·뷰티·패션 브랜드가 공식 후원사로 참여한다. 이 회사들은 정상회의 전후로 부스를 차리거나 각종 회의 현장에서 제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브랜드를 홍보할 계획이다. 전 세계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K푸드가 가장 적극적이다. K푸드 대표 기업 중 하나인 CJ제일제당은 비비고 컵밥, 떡볶이, 김스낵, 맛밤 등을 제공한다...
기사 본문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강애란 전재훈 기자 =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끄는 K푸드·뷰티·패션 기업들이 오는 27일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행사장 곳곳에서 각국 주요 인사들에게 K 상품들을 선보인다. 각국 정상과 최고경영자(CEO), 이들의 배우자 등 동행자들은 경주에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공식 만찬 메뉴를 비롯한 다양한 한국 음식과 화장품, 미용기기, 의류 등을 먹고 바르고 입고 즐길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에게 인기 폭발 'K푸드' [연합뉴스 자료사진] 식품기업들, 행사장 곳곳에 K푸드 선보여 26일 유통·식음료·주류·패션업계에 따르면 가장 먼저 APEC 정상들에게 한국을 알릴 수 있는 만찬은 넷플릭스 요리 경연 프로그램 '흑백요리사'에 출연한 한국계 미국인 셰프 에드워드 리가 롯데호텔 셰프들과 손잡고 선보인다. 메뉴는 만찬 당일인 오는 31일 공개되는데, 식재료는 경주 특산물인 한우와 가자미, 참전복 등이 후보군으로 떠올라 관심을 끈...
기사 본문
롯데그룹 주요 계열사 대표 참석…글로벌에선 존슨앤존슨·징둥닷컴 CEO 참석 식품사부터 뷰티, 채널까지 공식 후원·현장 부스 운영으로 K-브랜드 홍보 열기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리셉션에서 주호영 국회부의장 겸 한일의원동맹 회장과 인사하고 있다. 2025.6.16/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김명신 기자 =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쿠팡 등 국내 주요 유통기업 수장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Summit(서밋) 참석을 위해 경주로 향한다. 특히 주요 식품사와 프랜차이즈, 뷰티 업체들이 공식 후원사로 참여해 K-푸드와 K-뷰티 등 한국 제품 경쟁력 확보에도 열기를 더할 전망이다. 26일 업계와 대한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비롯해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 박대준 쿠팡 대표, 허서홍 GS리테일 대표 등이 경주를 찾는다. 아모레퍼시픽도 참석을 확정 짓고 조율 중이다. 롯데그룹...
기사 본문
공식 협찬·후원사 44%가 식품·외식…생수·빵·치킨 다채 '저력 보여줄 대형 쇼케이스'…경제 효과 7조4천억 추정 [경주=뉴시스] 이무열 기자 =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일주일 앞둔 24일 경북 경주역 인근에 APEC 성공개최를 기원하는 현수막이 설치돼 있다. APEC 정상회의는 10월31일부터 11월1일 개최된다. 2025.10.24. lmy@newsis.com [서울=뉴시스] 변해정 기자 = 식품·외식 기업들이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물심양면 지원에 나섰다. 각국 정상과 거물급 기업인들이 대거 참석해 K푸드 산업의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를 전 세계에 각인 시키기에 절호의 기회여서다. 25일 APEC 정상회의 준비기획단과 업계에 따르면 공식 협찬사 및 홍보 협력 업체는 총 66곳이다. 이 중 K푸드 관련 업체가 29곳(43.9%)으로 가장 많다. 생수 업체로는 제주삼다수를 생산·판매하는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