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증권, 다음달 개인 투자자 대상 해외주식 옵션 서비스 개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옵션 모의거래 지원 등 투자자 보호장치 마련해 토스증권 로고 [토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 = 토스증권이 다음달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해외주식 옵션 서비스를 정식 개시한다. 2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토스증권은 해외주식 옵션 서비스 정식 오픈에 앞서 오는 27일 해당 서비스의 사전 신청을 받는다. 다음달 3일 사전 신청자 중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이 서비스를 개시한 뒤, 내달 10일 전체 고객에게 서비스를 오픈할 예정이다. 주식옵션이란 주식을 미래 특정 시점에, 사전에 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앞서 토스증권은 지난 2월 금융위원회로부터 장내파생상품 투자중개업 인가를 받았으며, 연내 상품 출시를 목표로 준비해왔다. 해외주식 옵션은 토스증권이 선보이는 첫번째 파생상품이다. 토스증권은 옵션에 대한 개인투자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옵션 투자 시 유의사항을 담은 콘텐츠를 제공하고, 옵션 모의거래를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보유 중이거...
기사 본문
[토스증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 = 토스증권은 24일 고객이 보유한 해외주식을 빌려주고 대여료를 받을 수 있는 '주식 빌려주기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토스증권은 이번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국내 및 해외주식, 해외채권 투자를 통한 수익 외에도 보유 자산을 활용해 수익을 다각화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시장이 불안정하거나 거래가 없는 휴일에도, 대여료라는 잠재 수익을 통해 추가 위험 없이 부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게 토스증권의 설명이다. 고객은 주식을 빌려주는 동안에도 별도의 추가 절차 없이 원하는 시점에 실시간 매도할 수 있으며, 배당금도 기존과 동일하게 받을 수 있다. 빌려주기와 상환(돌려받기) 과정은 모두 자동으로 처리된다. 해당 서비스는 토스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빌려줄 종목을 고객이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신청 후 대여 현황, 대여료 수익 등의 정보는 MTS에서 상시 확인...
기사 본문
보유한 해외주식으로 대여료 수익 기대… 고객 자산 활용 선택지 확대 토스증권이 주식 빌려주기 서비스를 출시한다. /사진=토스증권 토스증권은 고객이 보유한 해외주식을 빌려주고 대여료를 받을 수 있는 '주식 빌려주기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토스증권은 이번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국내 및 해외주식, 해외채권 투자를 통한 수익 외에도 보유 자산을 활용해 수익을 다각화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시장이 불안정하거나 거래가 없는 휴일에도 대여료라는 잠재 수익을 통해 추가 위험없이 부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고객은 주식을 빌려준 동안에도 별도의 추가 절차 없이 원하는 시점에 실시간 판매할 수 있으며 배당금도 기존과 동일하게 받을 수 있다. 빌려주기와 상환(돌려받기) 과정은 모두 자동으로 처리돼 별도 복잡한 절차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주식 빌려주기 서비스는 토스증권 모바일트레이딩서비스(MTS)를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며 빌려줄 종목을 고객이 직접 선택할 수 있다...
기사 본문
MTS 혁신대상 '토스증권' 토스증권이 '2025 아시아스마트금융대상'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평가에서 'MTS 혁신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김규빈 토스증권 대표이사. 토스증권 2021년 3월 정식 출범한 토스증권은 누구나 쉽게 투자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춘 MTS를 선보이며 모두를 위한 투자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토스증권의 MTS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UI, UX를 기반으로 국내·해외 주식 매매, 다양한 투자정보, 투자자 간 정보교류와 토론이 가능한 커뮤니티 서비스 등을 지원하고 있다. 구매 TOP 100, 수익률 TOP 100 같은 차트형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재무제표를 모바일에 맞게 재구성해 이용자가 쉽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등 투자자의 편의성 도모에도 공을 들였다. 출시 한 달 만에 100만 고객을 유치한 토스증권은 이후에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2025년 7월 기준 ▲누적 가입자 수 720만 ▲월간 활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