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미수령액 8700억…곧 사라지는데 왜 안 찾아가나

2025년 10월 2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8개
수집 시간: 2025-10-25 19:27:5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매일경제 2025-10-25 06:35:06 oid: 009, aid: 0005578843
기사 본문

[연합뉴스] 국민연금 미수령액이 87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은 대상자가 신청해야 지급이 시작되는데, 청구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아 미수령이 발생한 것이다. 특히 이 가운데 노령연금이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25일 국회 보건복지위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민연금 미수령자 및 미수령액 추이’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지난 6월까지 최근 5년 6개월간 국민연금 미수령 건수는 9만7898건, 미수령 금액은 8689억3400만원에 달했다. 유형별로는 노령연금 미수령액이 4326억9300만원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다음으로는 사망 관련 급여가 2835억2800만원이었다. 반환일시금도 1527억13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이 기간 전체 미수령 건수 중 5520건(5.6%)이 시효가 끝났다. 노령연금은 391건(2.7%)의 지분권이 소멸됐다. 소멸 시효가 지나서 수령할 수 없게 된 미수령액은 70억원 이상으로 집계됐...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25 04:32:18 oid: 374, aid: 0000470577
기사 본문

국민연금도 신청해야 받는다…최근 5년 반 8700억원 미수령 최근 5년 반 동안 받아 가지 않은 국민연금 미수령액이 87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63세부터 받을 수 있는 노령연금도 신청해야 지급되는데, 이미 5년이 지난 미수령분은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국민연금 미수령자 및 미수령액 추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국민연금 미수령액은 8689억원입니다. 이 가운데 노령연금이 약 4327억원으로 절반가량을 차지했습니다. 수급자 사망 후 유족에게 지급되는 연금이 2835억원으로 뒤를 이었고, 수급자격을 위한 최소 납부기간 10년을 채우지 못한 경우 일시불로 받는 반환일시금이 1527억원이었습니다. 비록 노령연금은 받을 수 있는 시점 석 달 전부터 연금공단에서 관련 안내문을 여러 차례 발송하지만, 자동지급하진 않기 때문에 반드시 본인이 신청해야 합니다. 만약 지난해 10월 수급개시 연령이 ...

전체 기사 읽기

조세일보 2025-10-24 11:32:10 oid: 123, aid: 0002370512
기사 본문

최근 5년반 국민연금 미수령 건수 9만7898건 최근 10년반 동안 지분권 소멸 미수령 노령연금 440건 사망관련급여 6624건, 반환일시금 4342건 ◆…[자료=남인순 의원실 제공] 최근 5년 반 동안 국민연금을 지급받을 대상자가 찾아가지 않아 공단에 쌓인 미수령액이 868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권 소멸로 인해 연금 수령 기회를 잃은 사례도 수천 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송파구병)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민연금 미수령자 및 미수령액 추이'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올해 6월까지 국민연금 미수령 건수는 9만7898건이며, 미수령액은 8689억 3400만원에 달했다. 유형별로는 노령연금이 1만4674건에 4326억 9300만원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사망관련급여 2만5315건에 2835억 2800만원, 반환일시금 5만7909건에 1527억 1300만원으로 집계됐다. 남 의원은 "현행 국민...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4 08:02:11 oid: 016, aid: 0002546575
기사 본문

5년반 새 미청구 9만8000건…시효 만료로 ‘돌려받지 못한 연금’도 1만건 넘어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국민연금공단 본부 전경[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최근 5년 반 동안 국민연금 미수령액이 8689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노령연금과 사망 관련 급여, 반환일시금을 제때 청구하지 않아 발생한 미수령액이 누적된 것으로, 일부는 소멸시효가 지나 사실상 돌려받을 수 없는 상태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민연금 미수령자 및 미수령액 추이’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올해 6월까지 국민연금 미수령액은 총 9만7898건, 8689억3400만원에 달했다. 유형별로 보면 ▷노령연금이 1만4674건(4326억93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사망 관련 급여가 2만5315건(2835억2800만원) ▷반환일시금이 5만7909건(1527억13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현행 국민연금법상 노령연금과 사망 관련 급여의 수령...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