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2호기 연장 또 불발…전력공급 빨간불?

2025년 10월 2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0-25 11:49:4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SBS Biz 2025-10-24 12:08:14 oid: 374, aid: 0000470450
기사 본문

[앵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부산 고리 원전 2호기 계속운전 여부에 대한 결정을 또 미뤘습니다. 이에 2년 7개월가량 운전이 중단된 고리 2호기의 재가동 시기는 더 늦춰지게 됐습니다. 김한나 기자, 원안위는 어떤 점을 문제로 삼았나요? [기자] 원안위는 어제(23일) 제223회 회의를 열고 고리 2호기에 대한 사고관리 계획서 승인안과 계속운전 허가안을 심의, 의결 안건으로 다뤘는데요. 사고관리 계획서만 의결하고 계속운전 건에 대해서는 재상정을 결정했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제출한 사고관리 계획의 적정성은 인정하면서도 방사선환경영향평가 자료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입니다. 해당 안건은 다음 달 13일 진행되는 회의에서 재논의될 예정입니다. [앵커] 이렇게 원전 재가동 일정이 늦춰지면 전력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죠? [기자] 원전은 인공지능(AI) 시대에 폭증하는 전력을 충당하는 데 효과적인데요. 반도체 등 첨단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원전...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4 10:54:02 oid: 277, aid: 0005669143
기사 본문

사고관리계획서는 표결 끝 의결 지금 승인해도 실제 가동은 7년 동일 원전, 미국선 80년까지 허가 지난 2023년 4월 이후 2년 반가량 멈춰 서 있는 고리2호기 원자력발전소의 재가동 시기가 계속 늦춰지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3일 고리2호기 계속운전 허가 안건을 심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차기 회의(11월 13일)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계속 운전이 미뤄질수록 실제 운전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지면서 생산 가능한 전력량이 줄어든다. 고리 2호기의 경우 하루에 약 10억원어치의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게 된다. 그만큼 원전의 경제성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해외의 경우 고리2호기와 유사한 노형이 56년째 가동되고 있다. 최근 미국은 고리2호기와 유사한 노형의 원전에 대해 80년간 운영을 허가했다. 사실상 '반대 1인'…다음 회의도 미지수 원안위는 이날 고리2호기 계속운전 허가 안에 대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심사 결과를 보고 받고 심의했으나 방사선환경영향평가 관련 참...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4 14:40:19 oid: 018, aid: 0006146075
기사 본문

원안위, 내달 13일 고리 2호기 수명연장 재논의 원자력학회 “국가 경쟁력 포기…빨리 수명연장” 에너지정의행동 “원전 위험 묵살…빨리 영구정지”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의 계속운전(수명연장)에 대해 재논의하기로 한 가운데, 원자력학계와 환경단체 모두 원안위를 비판하고 나섰다. 원자력학계는 원안위가 국가 경쟁력을 훼손시키는 결정을 했다며 조속한 수명연장을 촉구했다. 반면 환경단체는 원안위가 원전 위험성을 제대로 살피지 않았다며 영구정지를 주장했다. 원안위는 내달 13일 차기 회의에 고리 2호기 안건 재상정을 예고했으나 수명연장 여부를 놓고 진통이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 1일 부산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길천마을에서 바다 건너에 위치한 한국수력원자력의 고리 원전이 보이고 있다. (사진=최훈길 기자) 한국원자력학회는 24일 ‘고리 2호기 계속운전 운영허가 두 번째 보류, 과도한 심사 지연은 국민 부담만 가중시킨다’ 입장문에서 “안전성이...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25 07:06:08 oid: 022, aid: 0004077531
기사 본문

환경∙시민단체들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 사고관리 계획서 승인을 두고 “졸속 심의”라고 규탄했다. 탈핵시민행동, 부산탈핵시민연대,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정의당, 진보당, 녹색당, 불교환경연대 등 전국 환경∙종교∙시민사회단체들은 24일 오전 11시 서울시 광화문 광장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있었던 원안위 결정을 비판했다. 앞서 23일 열렸던 제223회 원안위는 회의를 통해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 승인(안)’을 재적위원 6명 중 6명의 찬성으로 승인했다. 23일 부산 기장군의 한 마을에서 바라본 고리원전 2호기(왼쪽)와 영구 정지 8년 만인 지난 6월 해체가 결정된 고리원전 1호기(오른쪽) 모습. 뉴시스 사고관리계획서가 승인되면서 고리 2호기가 수명을 연장할 지로 관심이 쏠린다. 사고관리계획서는 원전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에 대해 대응전략과 조직, 교육 훈련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기술한 원전 사고 대응계획이다. 당시 원안위에서는 계획...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