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ESG 꼴지 등급 기업들 투자했다 마이너스 수익

2025년 10월 2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8개
수집 시간: 2025-10-25 07:57:5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지디넷코리아 2025-10-24 11:16:15 oid: 092, aid: 0002395279
기사 본문

김윤 의원 "투자 원칙 대폭 수정해야” 국민연금이 적극적인 주주행사와 책임투자를 실천하라는 국회의 질타가 이어졌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국민연금공단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은 “(연금공단이) 기업 투자 결정 시 ESG 요소를 고려해 투자해야 한다”라면서 “국민연금의 주주행사와 책임투자는 소극적으로 이뤄져 기업의 실질적인 변화를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사진=국회방송 김 의원이 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2025년(상반기) 반기별 ESG 평가 등급별 수익률의 누적 합산해 도출한 ‘국내 주식 ESG 정기평가 대상종목의 등급별 누적 수익률은 ▲AA등급 123개 종목 48.60% ▲A등급 201개 종목 95.59% ▲BB등급 180개 종목 28.95% ▲B등급 311개 종목 56.99% ▲C등급 10개 종목 –21.73% ▲D등급 4개 종목 –28.74% 등이다. 김 의원은 “ESG 투자 원칙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국민연금 수...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4 17:45:31 oid: 008, aid: 0005267903
기사 본문

'2025년도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린 22일 전북 전주시 국민연금공단 국정감사장에서 의원들이 국정감사 시작에 앞서 자리를 정돈하고 있다. 2025년도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는 국회 복지위 행정처의 요청으로 공간 협소와 감사장 내 취재진 정리 등의 별도 인원이 없다는 이유로 취재진의 출입을 제한했다 뒤늦게 입장을 허용했다./사진=뉴시스 /사진=김얼 여야가 국정감사에서 2030 청년세대의 국민연금 불신 문제를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24일 전주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연금공단 국정감사에서 '연금개혁 후에도 청년들의 불신이 40% 이상 유지하는 원인이 뭐라고 생각하냐'는 백종헌 국민의힘 질문에 "연금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좀 확신이 들지 않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김 이사장은 "모수개혁 이후에 국회에서 특위를 구성해서 근본적인 구조개혁 방안을 논의하도록 돼있고 그런 논의 속에서 구체적 방안이 나올 것"이라면서도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자동조정장치...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24 13:55:10 oid: 011, aid: 0004547330
기사 본문

"국민연금 소진 시기 달라져"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이 24일 전북 전주 국민연금공단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 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사진 제공=국민연금 [서울경제]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이 보험료율 인상 등에 따라 연금 고갈 시기가 달라진 만큼 투자 전략 수립에도 이 같은 상황이 반영돼야한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은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을 지속적으로 축소할 계획을 세운 바 있다. 24일 김 이사장은 전북 전주 국민연금 본사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내 주식 비중을 어떻게 할 건지는 다시 생각해볼 시기가 됐다고 생각한다”며 “2050년 무렵 기금이 소진된다는 기본 가정은 9% 보험료율이 적용됐을 때인데 현재는 13%로 올라 소진과 피크(정점)의 시기가 전혀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이사장은 “국민연금의 소진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야하고 피크가 늘어난 시점, 피크가 떨어지는 시점 등을 봐야한다”며 “또 앞으로 국내 주식 시장이 지배구조 개선과...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4 12:49:09 oid: 018, aid: 0006145987
기사 본문

[2025 국감] "자동조정장치 검토 필요, 신중 논의돼야" "크레딧·보험료 지원 등 청년층 가입 독려 노력할 것" 여야, 장애인 활동지원 조사 중 인권침해 개선 요구도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24일 연금개혁 이후에도 청년들이 제도를 불신하는 데 대해 “연금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확신이 들지 않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24일 국민연금공단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 이사장은 이날 전북 전주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연금에 대한 불신 비율이 2030세대에서 41.4%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고 지적한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에게 이같이 답했다. 앞서 여야는 올해 3월 보험료율(내는 돈)을 현행 9%에서 13%로, 소득대체율(받는 돈)을 40%에서 43%로 각각 인상하는 내용의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합의 처리했다. 정부는 이번 개혁으로 예상 기금 소진 시점이 2...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