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L, 유럽 최대 국영 연구기관 RISE와 기술협력 '맞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해외진출·연구개발(R&D) 협력 강화 기대 [진주=뉴시스]KTL 송준광 미래융합기술본부장과 RISE 말린 프레닝(Marlin Frenning) CEO가 업무협약서에 서명한 후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KTL 제공).2025.10.24.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진주=뉴시스] 정경규 기자 =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스웨덴연합연구소(RISE)와 기술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KTL은 국내 유일 공공 종합시험인증기관으로서 해외 주요 규제 당국 및 공공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기업의 해외 진출, 국제 공동 연구개발(R&D) 수행 등 활동으로 정부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RISE는 스웨덴 정부가 30여 개의 민간 및 출연연구소와 130여 개의 정부 지정 시험기관을 통합해 설립한 유럽 최대 규모의 국영 연구기관이다. 주요 활동분야는 바이오경제, 생명과학, 건축·환경, 디지털시스템, 재료·제조, 안전·운송 등이며 인력 규모...
기사 본문
지자체·공공기관·기업이 함께 하는 미래항공산업 협력 모델 제시 경남 진주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김포시와 함께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 공동관을 열고 미래 항공산업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검증과 기술표준 확립을 위한 양측의 협력 성과를 선보였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KTL은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 산업을 김포시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수행해 온 일들의 성과를 선보였다. 이는 양 측의 전략적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지자체-공공시험기관-지역기업이 함께하는 산업협력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KTL과 김포시는 UAM 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정책 협력과 지역 기업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써왔다. 지난해 6월에는 김포시와 함께 'UAM 산업육성 전략 포럼'을 열어 전문가와 기업 관계자들과 UAM 산업발전 협력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 KTL 송태승 디지털산업본부장이 전...
기사 본문
미래 차세대 산업 R&D·기업지원 협력 강화 기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스웨덴연합연구소(RISE)와 기술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KTL [데일리안 = 임은석 기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스웨덴연합연구소(RISE)와 기술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정부는 123대 국정과제에 '통상으로 지키는 국익, 흔들림 없는 경제 안보', '미래 신기술로 성장하고, 글로벌로 도약하는 중소기업' 등을 포함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KTL은 국내 유일 공공 종합시험인증기관으로서 해외 주요 규제 당국, 공공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기업의 해외 진출, 국제 공동 연구개발(R&D) 수행 등 활발한 활동으로 정부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RISE는 스웨덴 정부가 30여개의 민간, 출연연구소와 130여개의 정부 지정 시험기관을 통합해 설립한 유럽 최대 규모의 국영 연구기관이...
기사 본문
AI 검증기술·항공 시험평가 융합…UAM산업 생태계 확장 지자체·공공기관·기업 함께 하는 미래항공산업 협력모델 KTL과 김포시 관계자들이 ‘ADEX 2025’ 공동관 앞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KTL 권종원 산업인공지능혁신센터장, KTL 이건원 미래항공기술센터장, 김포시 김광식 미래전략과장, 김병수 김포시장, 이정석 우리별 대표, KTL 송태승 디지털산업본부장. KTL 제공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김포시와 함께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 공동관을 열고 미래 항공산업의 안정성과 신뢰성 검증과 기술표준 확립을 위한 양측의 협력 성과를 선보였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KTL은 도심항공교통(UAM) 산업을 김포시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수행해 온 일들의 성과를 선보였다. 이는 양 측의 전략적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지자체-공공시험기관-지역기업이 함께하는 산업협력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도심항공교통(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