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영 농협은행장 "금융사고, 고객·농민께 송구"[2025국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강태영 농협은행장이 행 내에서 발생한 금융사고에 대해 "고객이나 농업인 자산에 손실을 입혀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강 행장은 24일 오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선교 국민의힘 의원이 최근 5년간 농협은행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현황에 대해 지적하자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에만 금융사고 건수가 19건, 금액은 453억원에 이르며 올해 8월까지도 사고 총 8건에 금액은 275억원이다"며 지적했다. 이에 강 행장은 "대출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 노력 중이며 15개 과제를 선정해 완료해나가고 있다"며 "상시 준법시스템 가동 등 금융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강 행장은 농협은행을 통해 캄보디아로 향하는 해외송금이 급증하면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및 조직범죄 자금 유출 통로로 악용될 가능성에 대해 "범죄 가능성은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초국가적 범죄에 불법 자금이 흘러가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철저히 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사 본문
2021년~올해 9월 캄보디아 송금액 3605억원 농협은행 캄보디아 송금 지급정지 계좌 31건 농협 보이스피싱 1783건, 피해액 1366억원 보이스피싱 예방교육 인원, 전체의 15% 그쳐 홈플러스 인수 가능성엔 "유통사업 너무 어렵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NH농협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농협은행이 캄보디아 보이스피싱·조직범죄 자금 유출 통로로 악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농협은행이 보이스피싱 대응에 소홀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국감에선 농협이 공익적 관점에서 홈플러스 인수를 검토해야 한다는 주문이 나왔지만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사실상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캄보디아로 3605억원 송금…한국인이 보낸 게 88% 어기구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24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캄보디아 조직범죄가 본격화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농협은행을 거쳐 캄보디아로 송금된 연간 금액이 3배 늘었다"며 "사기범죄에 농협은행이 어느 정도 관여된 게 아니냐...
기사 본문
어기구 의원 "농협은행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허술"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로의 해외송금이 최근 4년간 급증하며 보이스피싱·조직범죄 자금의 유출 통로로 악용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이 24일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캄보디아 조직범죄가 본격화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농협은행을 거쳐 캄보디아로 송금된 연간 금액은 약 3배로 늘었다. 연간 송금액은 2021년 368억원에서 2022년 459억원, 2023년 942억원, 2024년 1천38억원으로 급증했다. 올해 9월 기준 송금액도 이미 798억원에 달해 증가세가 이어졌다. 2021년부터 올해 9월까지 농협은행을 통해 총 2만1천981건, 금액으로는 3천605억원(2억5천172만달러)이 송금됐다. 이 가운데 한국인 송금액은 3천160억원(2억2천45만달러)으로 전체의 88%를 차지했다. 특히 2023년부터 ...
기사 본문
농협, 韓→캄보디아 송금 4년새 3배↑ “보이스피싱 자금 통로 우려” 캄보디아 내 ‘불법 단체’ 기부도 논란 NH농협은행. (사진=연합뉴스) NH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로 향한 해외송금이 최근 4년간 3배 증가했다. 보이스피싱·조직범죄 자금 통로로 악용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에서 보이스피싱 등 조직범죄가 본격화된 2021년 이후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 송금액이 3배 가까이 늘었다. 연간 송금액은 2021년 368억원에서 2022년 459억원, 2023년 942억원에서 지난해 1038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9월 기준 이미 798억원에 달해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를 모두 합하면 3605억원, 횟수로는 2만1981건이다. 이 가운데 한국인 송금액이 3160억원으로 전체의 88%를 차지했다. 이를 두고 한국인 대상 보이스피싱 범죄로 인한 송금인지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