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AI 역량 높인다…10곳 중 1곳에 AI 스마트공장 도입 목표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지난 3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를 찾은 관람객들이 다관절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중소벤처기업부가 24일 중소 제조기업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산업재해율을 줄이기 위한 ‘AI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전략’을 내놓았다. 이날 경남 밀양시 삼양식품 밀양2공장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5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다. 중기부는 제조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AI 대전환이 필요하지만, 중소기업은 비용 부담 문제로 AI 도입이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같은 방안을 보고했다. 이번에 발표한 AI 전략은 제조기업과 기술기업간의 선순환적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내 중소 제조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뒀다. 우선 중소 제조기업의 규모와 수준에 맞춰 스마트공장 등으로 디지털 전환 기반을 마련하고, AI를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기업이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가를 활용한 사전·사후 컨설팅을 강화하고...
기사 본문
30년까지 AI 스마트공장 1.2만개 구축 스마트공장 AI 트랙 최대 2억원 지원 제조 데이터셋 1천개 민간 공개 목표 중소벤처기업부 제조기업-기술기업 간 스마트제조 선순환 생태계 고도화 방안. 중기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중심 스마트공장을 1만2000개 보급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현행 1%인 중소기업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24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제5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가 제시한 3대 전략은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스마트제조산업 전략적 육성 △제조AI 내재화 인프라 확충이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AI 도입률을 10%까지 올리고 산업재해율을 20%까지 줄이겠다는 목표다. 아울러 제조AI 전문기업 500개사를 육성해 글로벌 선진국 수준의 스마트제조 기술력 확보를 도모할 계획이다.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제조기업과 기술기업...
기사 본문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5 제조혁신코리아를 찾은 관람객이 AI 자율 제조 시스템을 살펴보고 있다.기사내용과 무관./사진=뉴시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제조업의 성장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AI)을 도입하는 등 제조분야 혁신에 나선다. 중기부는 24일 제5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목표가 담긴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대한민국 경제 핵심 성장동력인 제조업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제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대·중소기업 전반에 걸친 AI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그러나 자체적인 AI 도입이 가능한 대기업과는 달리 중소 제조기업은 비용 부담 등으로 AI 도입에 장애를 겪고 있다.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이유다. AI 도입 장애 요인으로는 △초기 비용 부담(44.2%) △인력 부족(20.5%) △전략 부재(14.9%) 등이, 필요 지...
기사 본문
정부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제조AI 전문기업 500개 육성 "제조 경쟁력 높이고 인력난 완화…中企 진짜 강소기업으로 성장"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정부가 2030년까지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 스마트공장 1만2천개를 구축하는 등 스마트제조혁신에 나선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24일 발표했다. 스마트제조혁신 3.0은 스마트공장에 AI를 접목해 생산성은 높이고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제조 현장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1.0 단계는 제조 현장에 ICT(정보통신기술) 접목, 2.0 단계는 스마트공장 확산이었다. 스마트제조혁신 3.0에서는 AI 스마트공장 1만2천개를 구축해 현재 1% 수준인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린다. AI 도입을 통해 산업재해를 20% 감소시키는 등 중소 제조업의 일자리 질...
기사 본문
중기부, 2030년 목표로 3번째 '스마트제조혁신' 로드맵 발표 정부 '국정과제' 선정돼 예산 확보…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주도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뉴스1) 장시온 기자 = #부산의 도금 전문 뿌리기업 동아플레이팅은 직원 중 80% 이상이 2030세대다. 최근 스마트공장을 도입하고 설비를 자동화하면서 기존 생산직 직원을 관리·연구직으로 재배치해 젊은 층이 선호하는 일자리가 늘어난 덕이다. #충남에서 쌀국수와 떡국 등 쌀 가공식품을 만드는 중소 제조사 백제식품도 스마트공장 도입 후 생산성이 33% 증가하면서 해외 판로를 개척하고 20여개국에 수출하는 어엿한 수출 강소기업으로 성장했다. 비용 부담으로 스마트공장 도입을 망설이는 중소기업을 위해 정부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1만 2000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AI 도입률을 현재 1% 수준에서 10%로 끌어올...
기사 본문
생산현장 '스마트팩토리'로 확 바꿔…1.2만개 구축 산업재해 20% 줄이고 제조AI 전문기업 500개 육성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뉴스1) 장시온 기자 = 비용 부담으로 인공지능(AI)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정부가 2030년까지 1만 2000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현재 1% 수준인 중소기업 AI 도입률을 1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아울러 산업재해율을 20% 낮추고 제조AI 전문기업 500곳을 육성해 글로벌 선진국 수준의 스마트제조 기술력 확보를 도모한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의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한국 경제 핵심 성장동력인 제조업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기업 전반에 AI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달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초기 비용...
기사 본문
5년 안에 중소제조업 AI 도입률 1→10% AI 대전환시대 중기 제조 경쟁력 확보 지원 제조 AI 전문기업 500개사 육성 중소벤처기업부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제조혁신을 본격 추진한다.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 전반에 걸친 'AI 대전환'을 촉진해 국내 제조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중기부는 24일 제5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4일 발표한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 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는 2030년까지 1만2000개사에 AI 중심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현재 1%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중소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산업재해율 20% 감소를 목표로 중소 제조기업의 일자리 질 개선도 추진, 제조AI 전문기업 500개사를 육성해 글로벌 선진국 수준의 스마트제조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중기부는 우선 수준별 ...
기사 본문
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정부가 중소 제조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을 지원해 선진국 수준의 스마트제조 기술 경쟁력 확보를 독려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현재 1% 수준인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24일) 제5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중기부는 중소 제조기업의 규모와 수준에 맞춰 버티컬 AI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전문가를 활용한 사전·사후 컨설팅을 강화하는 등 제조 AI 활용 전 주기 지원체계를 수립할 계획입니다. 또 중소 제조기업이 AI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함께 친환경 제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성과 평가 등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대기업이 보유한 거대언어모델 등을 활용해 중소 협력사의 AI 도입을 지원하는 '상생형 AI 공장'을 확대하는 등 개별 기업이 아닌 공급망 단위 중소기업의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