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적절 37%·부적절 44%…'보유세 현수준 유지' 33%[한국갤럽]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30대 57%가 '부적절', 40대는 53% '적절'…보유세 인상 26%·인하 27% 토지거래허가구역 오늘부터 효력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20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정부가 발표한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라 이날부터 서울 전 지역과 과천, 분당 등 경기 12개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된다. 2025.10.20 scape@yna.co.kr (서울=연합뉴스) 오규진 기자 = 수도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확대,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강화 등을 담은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오차범위 밖에서 더 높다는 여론조사가 24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적절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37%였다.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은 44%, 의견 유보에 해당하는 '모름·응답 거절'은 19%로 각각 집계됐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57%...
기사 본문
[한국갤럽] 주택 유무보다 지지정당·이념성향별 태도 따라 인식차 커... 보유세 강화·거래세 완화 방향엔 동의 더 많아 ▲ 20일 마포구의 한 부동산에 매물 정보가 써붙어 있다. 정부가 발표한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라 이날부터 서울 전 지역과 과천, 분당 등 경기 12개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된다. ⓒ 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곳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고 주택담보대출 한도제한을 강화하는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평가가 비등하게 엇갈렸다. 특히 주택 보유 유무보다 정치적 태도에 따라 엇갈렸다. 부동산 보유세 강화 혹은 인하 방향에 대한 인식도 마찬가지였다.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총통화 8163명, 응답률 12.3%)에게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다(오차범위 95% 신뢰수준에 ±3.1%p).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적절하다"는 응답은 37%, "...
기사 본문
갤럽 조사서 '부적절' 44%, '적절' 37% 20일 마포구의 한 부동산에 매물 정보가 써붙어 있다. 정부가 발표한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라 이날부터 서울 전 지역과 과천, 분당 등 경기 12개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된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영서 기자] 정부가 과열된 집값을 잡기 위해 내놓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10명 중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4일 나왔다. 수도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확대와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강화 등을 담은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에게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적절성을 물은 결과,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은 44%로 나타났다.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이보다 7%포인트 낮은 37%에 그쳤다. 의견 유보에 해당하는 '모름·응답 거절'...
기사 본문
‘보유세 현수준 유지’ 33% 보유세 인상 26%·인하 27% 서울 마포구 한 부동산에 붙은 매물 정보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 이후에도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상승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4일 나온 가운데, 해당 조사에서 ‘대책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오차범위 밖에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책에는 수도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확대와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강화 등이 담겨 ‘역대급 부동산 규제’라는 평가는 받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적절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37%였다.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은 44%, 의견 유보에 해당하는 ‘모름·응답 거절’은 19%로 각각 집계됐다. [한국갤럽] 이념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57%는 ‘적절하다’, 보수층의 67%는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중도층은 ‘적절하다’는 응답이 37%,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42...
기사 본문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와 일대 아파트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10·15 부동산 대책 발표에 따라 서울 전역이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면서 주요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지의 정비사업이 상당 부분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는 24일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와 일대 아파트 모습. 2025.10.24 yatoy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수도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확대와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강화 등을 담은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더 많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적절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37%,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은 44%로 집계됐습니다. 이념 성향별로 구분하면 진보층의 57%는 '적절하다'고, 보수층의 67%는 '적절하지 않다...
기사 본문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photo 뉴스1 정부가 지난 10월 15일 발표한 부동산 대책에 대해 국민 10명 중 4명이 "적절하지 않다"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혼부부와 생애 첫 주택 구매자가 많은 30대를 중심으로 반감이 뚜렷했다. 24일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적절성에 대해 물었다. 조사 결과 "적절하지 않다" 응답은 44%로, "적절하다" 37%보다 오차 범위(±3.1%포인트) 이상 높았다. "모름·무응답"은 19%였다. 10·15 부동산 대책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 등 수도권 일대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하고 15억원 초과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상환능력과 상관없이 최대 6억원에서 2억~4억원 수준으로 낮춘 것이 골자다. 정부는 이를 통해 주택시장 과열을 막겠다는 입장이지만, 실수요자에게 더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기사 본문
적절 응답자 우세 지역 호남뿐 보유세 인상 26%·인하 27%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마약, 스캠, 사이버 도박 등 국제적 불법 조직에 의한 초국가범죄 민생침해 사건 관련 긴급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고 보는 국민이 44%에 달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부동산 규제 지역 확대, 주택 담보 대출 한도 제한 강화 등 주택 시장 안정화 대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물음에 44%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적절하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은 7%포인트 낮은 37%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고 답하거나 응답을 거절한 사람은 19%였다. 지역별로는 10·15 대책이 ‘적절하다’는 응답자가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자보다 많은 곳은 호남뿐으로, 49%대 29%였다. 대구·경북에선 55%, 서울에선 49%, 부산·울산·...
기사 본문
▲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수도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확대,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강화 등을 담은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오차범위 밖에서 더 높다는 여론조사가 나왔습니다.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 명을 대상으로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적절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37%였습니다.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은 44%, 의견 유보에 해당하는 '모름·응답 거절'은 19%로 각각 조사됐습니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57%는 '적절하다', 보수층의 67%는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중도층은 '적절하다'는 응답이 37%,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42%였습니다. 신혼부부·생애 첫 주택 구매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30대 응답자의 절반 이상(57%)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고, '적절하다'고 응답한 30대는 24%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40대에서는 '적절하다'(53%)는 응답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