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관망세로…규제 효과 지속은 지켜봐야"

2025년 10월 1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8개
수집 시간: 2025-10-15 13:57:4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SBS 2025-10-15 11:24:18 oid: 055, aid: 0001299858
기사 본문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부가 오늘(15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고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등 내용을 담은 대책을 내놓자 전문가들은 당분간 시장이 숨 고르기로 돌아설 것으로 보면서도 집값이 안정세에 접어들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서울 마포구와 성동구, 광진구 등 한강 벨트는 물론 수도권 아파트값을 주도하는 경기도 과천시, 성남시, 용인시, 수원시 등 경기남부 벨트도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 전반적으로 숨 고르기 장세에 들어갈 듯하다"고 말했습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도 "서울 강남권과 한강 벨트의 포모(FOMO) 및 '패닉 바잉' 수요는 일부 숨을 고를 전망"이라며 "다주택자와 고가 주택 매입 대기자도 규제지역 세금 부담과 대출 문...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15 13:02:03 oid: 008, aid: 0005263012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서울=뉴스1) 김초희 디자이너 = 15일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는 부동산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확정·발표했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로 신규 지정되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다. 기존 강남 3구와 용산구 지정은 유지하고, 그 외 서울 21개 자치구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과천시, 광명시, 성남시 분당·수정·중원구, 수원시 영통·장안·팔달구, 안양시 동안구, 용인시 수지구, 의왕시, 하남시)이 신규 지정됐다.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초희 디자이너 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 주요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전면 확대 지정했다. 최근 서울 강남권과 수도권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반등세를 보이자 이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전방위 규제 패키지를 내놓은...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15 11:07:49 oid: 421, aid: 0008539039
기사 본문

갭투자 차단, 주담대·전세대출 규제 강화…단기 매수세 억제 장기적 집값 안정 효과 제한적…월세화·정비사업 지연 우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서울=뉴스1) 건설부동산부 = 정부가 서울 전역과 분당·수원을 포함한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지정하는 초강수 대책을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매수세를 억제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집값 안정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갭투자(전세 낀 매매)가 제한되면서 3개월가량 거래량이 줄겠지만, 강남권과 한강벨트 일대에서는 현금으로 매수하는 사례가 여전히 많아 집값 전반을 안정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정부는 15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부동산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의 핵심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하고,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것이다. 서울의 경우 기존 4개 자치구(강남·서초·송파·용산구)에 이어 나머지 21개 자치구가 추가 지정...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5 10:47:32 oid: 003, aid: 0013535379
기사 본문

부동산 관계장관회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3중 규제지역 확대 "한강벨트 패닉바잉 주춤" "현금 부자엔 제한적 영향…초양극화 고착화" "정비사업 활성화 정책과 상충…사업성 악화"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정부가 서울 전역을 비롯해 과천·분당 등 경기남부 일부 지역을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3중 규제' 내놓은 데 대해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거래가 줄면서 부동산시장이 관망세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대출, 세제, 전매, 청약, 정비사업 등 부동산 전반의 규제가 대폭 강화된 데다가 조합원 지위 양도가 제한되면서 도심 주택 공급을 위해 추진되던 정비사업이 멈춰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중 규제지역 확대…한강벨트 패닉바잉 당분간 관망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국무조정실, 국세청은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서울 25개 자치구 전역과, 경기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