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장관 "발전 공기업 통폐합 착수…재생에너지공사 설립 등 검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감현장] 김성환 "2040년 석탄 폐쇄 대비 공기업 체계 개편 검토"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후에너지환경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0.14/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발전공기업 통합과 관련해 "아직 논의 단계는 아니지만 의견 수렴에 착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14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발전 공기업 통합에 대한 의견을 묻는 박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김 장관은 "석탄발전소 위주로 근무하고 있는 발전 자회사 직원들의 정의로운 전환 차원에서 고민하고 있다"면서 "발전공기업 통합은 구조조정을 위한 것이 아니다. 큰 방향으로는 석탄발전을 축소하면서 재생에너지 공사를 따로 만들어 전환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으로 ...
기사 본문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주요 20개국(G20),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장관회의를 통해 국제 사회와 기후 위기 등 이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부는 지난 10일부터 오는 17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연이어 진행 중인 주요 G20 장관회의, 그리고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장관회의에서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전환, 에너지 안보 등 국제 현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의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기후부는 10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개최된 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 그리고 오는 16일부터 이틀간 케이프타운에서 열리는 G20 환경∙기후 장관회의를 비롯해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는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에너지 장관회의에 참석해 각국과 협력을 심화할 예정이다. 주요 20개국 장관회의의 경우, ...
기사 본문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후에너지환경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탈석탄 추진 과정에서 석탄발전을 하는 5개 발전공기업을 통합하고, 재생에너지공사를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김성환 장관은 이날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 이후 열린 첫 국정감사에서 발전공기업 통합에 대한 박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그 문제에 대한 의견 수렴에 착수해야 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석탄발전소 위주로 근무하고 있는 발전 자회사 직원들의 정의로운 전환 차원에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발전공기업 통합은 구조조정을 위한 것이 아니다”며 “큰 방향으로는 석탄발전을 축소하면서 재생에너지공사를 따로 만들어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공사 신설을 통해 석탄 발전소에서 근무하는 인력을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그는 다만 “...
기사 본문
G20·아세안+3 등 다자협의체 회의 잇따라 기후위기·에너지 전환 등 협력 논의 기후에너지환경부 전경. ⓒ데일리안 DB [데일리안 = 장정욱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연이어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및 아세안+3 및 동아시아 장관회의에서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전환, 에너지 안보 등 국제 현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G20 장관회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주최, 회원국 및 초청국과 주요 국제기구 고위급 관계자가 참석한다. 이들은 ‘평등‧연대‧지속가능성’이라는 공통 주제 아래 환경‧기후, 에너지 등 분야별로 회의를 이어간다. 앞서 열렸던 주요 20개국 에너지전환 장관회의에서는 ▲에너지안보 ▲에너지 경제성 확보 ▲취약계층 에너지 접근성 개선 ▲공정하고 포괄적인 에너지 전환 ▲청정기술 기반의 지속 가능한 산업화 ▲지역 전력 통합 등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행동계획, 자발적 원칙, 정책지침 도구 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