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일부 해외직구 어린이 코스튬, 국내 안전기준 부적합"

2025년 10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7개
수집 시간: 2025-10-24 23:38:5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MBC 2025-10-24 13:50:12 oid: 214, aid: 0001457117
기사 본문

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어린이용 파티 드레스나 코스튬 의상을 저렴하게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제품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코스튬 17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이 중 9개가 국내 기준에 부적합했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조사대상 제품 3개에서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알려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0.1%를 최대 624배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머리띠·손 장식물·장갑 등 부속품에서 검출됐으며, 벨트에서는 기준치를 2.3배 초과한 납이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불꽃에 얼마나 빠르게 불이 번지는지를 측정하는 화염전파속도 시험에서도 15개 제품 중 6개가 국내 안전 기준을 초과했습니다. 3개 제품은 화염전파속도가 기준치(30㎜/s)를 최대 1.5배 초과했고, 나머지 3개는 국내 안전기준에 따른 경고 표시가 없었...

전체 기사 읽기

KBS 2025-10-24 12:00:14 oid: 056, aid: 0012053180
기사 본문

해외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일부 어린이 코스튬 의상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됐다는 소비자원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코스튬 17개 제품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절반 가량인 9개 제품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했다고 오늘(24일) 밝혔습니다. 코스튬은 행사·공연·파티에서 주로 착용하는 특징적인 의상을 뜻합니다. 소비자원은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 등 국내 안전기준을 근거로, 유해물질과 물리적 안전성, 가연성 등 세 가지 항목의 안전성을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17개 제품 가운데 3개 제품에서 국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또는 납이 검출됐습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국내 안전기준이 0.1% 이하인데, 플라스틱으로 만든 머리띠에선 19.815%, 인조가죽 장갑에선 40.865%, 손 장식물에선 62.401%가 각각 검출됐습니다. 국내 안전기준을 최대 624배 초과한 겁니다. 특히 한 코스튬의 경우 프탈...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0-24 20:14:16 oid: 422, aid: 0000794519
기사 본문

알아두면 유용한 경제이야기, 오늘의 생활경제 시작합니다. <1> 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가격이 저렴한 해외 직구 사이트를 통해 어린이용 코스튬 의상을 구매하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상위에 노출된 제품들의 안전성을 조사했더니, 국내 안전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사례가 속출했습니다. 오주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평소엔 잘 입지 않지만 핼러윈데이를 앞두고 찾게 되는 어린이용 핼러윈 코스튬. 저렴하게 구매하기 위해 중국 해외직구 플랫폼을 찾는 소비자들도 많습니다. 그런데 한국소비자원이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상위에 노출된 17개 제품 안전성을 조사했더니, 절반 이상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3개 제품에선 어린이의 생식이나 성장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초과 검출됐습니다. 이 손 모양 핼러윈 코스튬에선 기준치의 무려 624배에 달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습니다. 1개 제품에선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납이 국...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4 12:00:00 oid: 421, aid: 0008560177
기사 본문

17개 제품 중 3개에서 국내 안전기준 초과하는 유해 물질 검출 화염전파속도 시험에서도 국내 기준 부적합 충북 음성군 한국소비자원 전경(소비자원 제공)/뉴스1 ⓒ News1 이철 기자 (세종=뉴스1) 심서현 기자 =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어린이용 코스튬 일부에서 국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24일 한국소비자원이 핼러윈데이를 앞두고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 등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코스튬 17개 제품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9개 제품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했다. 이들 가운데 3개 제품에서는 국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납이 검출됐다. 유해 물질이 검출된 제품은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여아용 녹색 팅커벨 드레스, 코스튬 요정 코스프레, 꽃 아기 공주 옷, 크리스마스 파티 복장(Princess Bebe Store) △여자를위한 고딕 의상 댄스 파티 드레스 2024 Wensday 블랙 파티 공 가운 어린이 할...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