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57% "10·15 부동산 대책, 적절치 않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부적절" 44% vs "적절" 37%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적절하다’고 보는 국민은 37%, ‘적절하지 않다’고 보는 국민은 44%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갤럽은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오늘(24일) 밝혔습니다. 의견 유보에 해당하는 ‘모름·응답 거절’은 19%입니다. 부동산 대책에 대해 성향별로 살펴보면 진보층의 57%는 ‘적절하다’고 평가한 반면, 보수층의 67%는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했습니다. 중도층은 ‘적절하다’는 응답이 37%,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42%입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신혼부부·생애 첫 주택 구매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30대 응답자의 절반 이상(57%)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적절하다’고 평가한 30대는 24%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40대에서는 ‘적절하다’는 응답이 53%로 ‘적...
기사 본문
보유세는 '현 수준 유지' 우세 서울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방송이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 남부 12곳을 규제지역으로 묶고 대출 한도 등을 강화한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부정 평가가 긍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보유세와 관련해서는 ‘현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한국갤럽은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으로 이번 대책에 관해 물었더니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37%,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44%로 조사됐다고 24일 발표했다. 19%는 의견을 유보했다. 진보층은 57%가 적절, 보수층은 67%가 부적절하다고 답해 정치적 견해에 따라 의견이 엇갈렸다. 부동산 보유세 수준에 관해서는 ‘현재보다 높여야 한다’가 26%, ‘현재보다 낮춰야 한다’는 27%, ‘현재대로 유지해야 한다’가 33%로 갈렸고, ‘의견...
기사 본문
[한국갤럽] 주택 유무보다 지지정당·이념성향별 태도 따라 인식차 커... 보유세 강화·거래세 완화 방향엔 동의 더 많아 ▲ 20일 마포구의 한 부동산에 매물 정보가 써붙어 있다. 정부가 발표한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라 이날부터 서울 전 지역과 과천, 분당 등 경기 12개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된다. ⓒ 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곳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고 주택담보대출 한도제한을 강화하는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한 평가가 비등하게 엇갈렸다. 특히 주택 보유 유무보다 정치적 태도에 따라 엇갈렸다. 부동산 보유세 강화 혹은 인하 방향에 대한 인식도 마찬가지였다.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총통화 8163명, 응답률 12.3%)에게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다(오차범위 95% 신뢰수준에 ±3.1%p).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적절하다"는 응답은 37%, "...
기사 본문
갤럽 조사서 '부적절' 44%, '적절' 37% 20일 마포구의 한 부동산에 매물 정보가 써붙어 있다. 정부가 발표한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라 이날부터 서울 전 지역과 과천, 분당 등 경기 12개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된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영서 기자] 정부가 과열된 집값을 잡기 위해 내놓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10명 중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4일 나왔다. 수도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확대와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강화 등을 담은 10·15 부동산 대책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에게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적절성을 물은 결과,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은 44%로 나타났다.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이보다 7%포인트 낮은 37%에 그쳤다. 의견 유보에 해당하는 '모름·응답 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