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플립 접힘 테스트' 이노테크, 반도체·2차전지로 확장 [IPO톡톡]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앵커> 전자제품과 부품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시험 장비를 만드는 기업, 이노테크가 코스닥 상장에 도전합니다. 이번 상장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비 중심에서 반도체·2차전지, 자동차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겠단 계획입니다. 김채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수만 번의 접힘을 견디는 폴더블폰. 삼성의 'Z플립'과 'Z폴드'가 출시되기 전 핵심 경쟁력인 '접힘 내구성'을 시험하는 장비를 국내 중소기업이 만들고 있습니다. 환경시험장비 전문기업 이노테크 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신뢰성 평가 장비 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는 11월 코스닥 상장을 계기로 글로벌 시험장비 선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주요 제품인 신뢰성 환경시험 장비는 저온·고온·고습 등 극한 조건에서 전자부품의 내구성과 결함을 검증하는 핵심 장비입니다. 그동안 매출의 대부분이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나왔지만, 앞으로는 반도체·전기전자·2차전지용 시험장비로 사업을 다각화할 계획입니다. [장석준 / 이...
기사 본문
기관 2227곳 참여, 경쟁률 1072대 1 27~28일 일반청약, 11월 7일 코스닥 시장 상장 이 기사는 10월 24일 16:10 마켓인사이트 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복합 신뢰성 환경시험 장비 전문기업 이노테크가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희망 공모가격(1만2900~1만4700원) 상단인 1만4700원으로 확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공모가 기준 공모금액은 259억원이며, 상장 시가총액은 1305억원이다. 이번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기관 2227곳이 참여했다. 경쟁률은 1072대 1로 집계됐다. 참여기관 전원(가격 미제시 포함)이 희망가격 상단인 1만4700원 이상의 가격에 주문을 넣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의 56.0%가 의무보유확약을 제시했다. 지난 7월 의무보유확약 제도가 강화된 이후 수요예측을 진행한 기업의 확약 비율을 살펴보면 에스투더블유 22.86%, 명인제약 62.08%, 노타 59.75% 등이다. 최근 국내 증시 호조세를 바탕으로 IPO 공모주를 받기 ...
기사 본문
밴드 최상단 1만 4700원 특수 시험 장비 전문 기업 이노테크 CI. 사진 제공=이노테크 [서울경제] 이노테크가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 흥행하며 공모가를 희망 범위(밴드) 최상단으로 확정했다. 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노테크는 16~22일 기관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공모가를 밴드(1만 2900~1만 4100원) 상단인 1만 4100원으로 확정했다. 국내외 2227개 기관이 수요예측에 참여해 경쟁률은 1072대 1로 집계됐다. 가격을 제시하지 않은 기관을 제외한 모드 기관이 밴드 상단 이상의 가격을 써내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번 공모가 확정에 다른 이노테크의 공모 금액은 259억 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1305억 원이다. 이노테크는 27~28일 일반 청약을 거쳐 11월 7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사는 KB증권이다. 이번 수요예측에서 기관의 의무보유 확악 비율은 56.0%%로 집계됐다. 이는 이날 9조 원 이상의 증거금을 받으며 일반 ...
기사 본문
수요예측 2227개 기관 참여…경쟁률 1072대 1 참여 기관 모두, 희망 밴드 상단 이상 가격 제시 의무 보유 물량도 56%…“신뢰성 시험 장비 선도”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복합 신뢰성 환경시험 장비 전문기업 이노테크는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최종 공모가를 1만 4700원으로 확정했다. 이노테크는 지난 16일부터 22일까지 국내·외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결과 희망 공모가 밴드(1만 2900~1만 4700원) 상단인 1만 4700원으로 확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장석준 이노테크 대표이사가 22일 서울 여의도에서 진행된 기업설명회에서 회사의 성장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노테크) 이번 수요예측엔 국내·외 2227개 기관이 참여해 총 1억 41557만 8000주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순 경쟁률은 1072대 1로 공모 금액은 약 259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1305억원 규모가 될 예정이다. 전체 참여 물량의 100.0%(가격 미제시 포...